과체중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et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on body fat reductio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 $23\;kg/m^2$ or body fat > 27%) who were not diagnosed any type of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gree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ʼguk yongyang hakhoe chi Vol. 43; no. 4; pp. 374 - 381
Main Authors 박주연(Park Ju Yeon), 김지영(Kim Ji Young), 이성표(Lee Sung Pyo), 이종호(Lee Jong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463
2005-71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et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on body fat reductio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 $23\;kg/m^2$ or body fat > 27%) who were not diagnosed any type of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green coffee bean extract group (n = 23) or placebo group (n = 20).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bdominal fat distribution by computed tomography and blood components before and after the 8-weeks intervention period. After supplementation, green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body weight (p < 0.01), body fat percent (p < 0.01), total fat area at L1 vertebra (-4.8%, p < 0.05) and visceral fat area at L4 vertebra was(-4.7%, p < 0.05). In addition, total fat area and visceral fat area at L1 vertebra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een coffee bean extract group compared with placebo group (p < 0.05, p < 0.05 respectively). The result of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for 8 weeks can give beneficial effects on body fat reduction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본 연구는 체질량지수가 $23\;kg/m^2$ 이상 또는 체지방률이 27% 이상인 과체중 혹은 비만인 여성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대조 연구 디자인을 통해 8주간의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시험군 또는 대조군으로 배정된 대상자는 시험제제 또는 placebo제제를 하루 2번 2캡슐씩 식전에 물과 함께 섭취하게 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평상시 식습관 및 커피 섭취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험제제에는 1캡슐 당 생커피두 엑기스 50 mg와 덱스트린 150 mg을 함유하였고, placebo제제에는 200 mg의 덱스트린을 함유하였다. 생커피두 엑기스에는 28.4%의 클로로겐산과, 49.3%의 클로로겐산 류 (ferulic acid, coumalic acid, neochlorogenic acid 등), 그리고 12.6%의 카페인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총 48명이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이 중 섭취율 미달로 유효성 평가가 불가능한 5명을 제외한 43명을 대상으로 결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험군 23명 대조군 20명이었다.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복부지방면적 측정결과, 상복부에서는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군에서 총 지방 면적은 섭취 전 $231.2\;{\pm}\;12.2\;cm^2$에서 8주 후 $220.1\;{\pm}\;11.2\;cm^2$으로 4.8%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 < 0.05), 내장지방 면적은 섭취 전 $86.4\;{\pm}\;6.08\;cm^2$에서 8주 후 $82.4\;{\pm}\;5.84\;cm^2$으로 4.6%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 = 0.062). 하복부에서는 생커피두 엑기스 섭취군에서 내장지방 면적은 섭취 전 $71.8\;{\pm}\;4.81\;cm^2$에서 8주 후 $68.4\;{\pm}\;4.72\;cm^2$으로 4.7%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또한 상복부의 총 지방 면적 (p < 0.05)과 내장지방 면적 (p < 0.05)의 변화량은 군간 비교에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커피두 엑기스를 섭취하는 기간 동안 식사 섭취량 조절 없이 평상시 식습관을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복부 내장지방의 유의적인 감소로 체지방 분포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와 병행하여 식사조절과 운동이 실시 될 경우 체지방 감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대상자 수의 확대 및 복용기간의 연장 등을 통한 생커피두 엑기스의 체지방 분포 개선 효과 및 대사 관련 지표 개선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027742026503
ISSN:0367-6463
2005-7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