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인 생의학적 도덕 향상에 대한 칸트적 옹호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 자율성의 ‘실현’ 과정에 개입하는 생의학적 도덕 향상(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의 자발적 사용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칸트적 관점에서BME를 비판 및 옹호하는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자율성 훼손’이라는 비판자들의 문제 제기에 대해, 기존의 칸트적 BME 옹호 시도들이 칸트적 관점에서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충분히 정당화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3장에서는 칸트의 저작 속에서 BM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칸트연구 Vol. 54; pp. 1 - 34
Main Authors 윤준식, Yoon Junsi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칸트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372
2734-0511
DOI10.32333/KS.54.2.1

Cove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 자율성의 ‘실현’ 과정에 개입하는 생의학적 도덕 향상(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의 자발적 사용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칸트적 관점에서BME를 비판 및 옹호하는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자율성 훼손’이라는 비판자들의 문제 제기에 대해, 기존의 칸트적 BME 옹호 시도들이 칸트적 관점에서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충분히 정당화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3장에서는 칸트의 저작 속에서 BME 옹호를 위한 문헌적 근거를 확보한다. 먼저 『도덕형이상학 정초』와 『실천이성비판』에서 언급되는 자율성에 대한 설명과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의 도덕 심리학적 논의 및 처방을 중심으로, 칸트가 자율성의 온전한 실현을 위해서는 주체의 의지적 노력뿐만 아니라 주체 외적 요소의 긍정적인 영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음을 밝힌다. 이후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 에서 드러나는 칸트의 도덕적 진보 사상이 도덕적 소질을 비롯한 인간의 모든 자연적 소질이 역사 속에서 전개되는 인류-문화의 공진보(co-progress) 과정을 통해 완전히 계발될 것이라는 이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판단력비판』의 논의를 근거로 칸트의 문화 개념이 그 정의상 과학 기술을 포함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BME가 자율성의 더 나은 실현에 기여하는 ‘훈육의 문화’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BME 기술의 개발 및 자발적 사용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voluntary 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 which influences an agent’s process of realizing moral autonomy, is morally permissible within the Kantian ethical framework. To support this claim, Section 2 critically examines previous studies that both critique and defend BME from a Kantian perspective,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antian defenses addressing critics’ concerns about the “violation of autonomy.” Section 3 provides textual evidence from Kant’s work to support the permissibility of BME. Drawing on Kant’s discussions of autonomy in the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s well as his moral-psychological insights in Religion within the Boundaries of Mere Reason, this section demonstrates that Kant considered not only the agent’s own rational efforts but also the positive role of external factors as essential to fully realizing moral autonomy.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Kant’s idea of moral progress―as articulated in “Idea for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Aim”― encompasses the view that all natural predispositions of humanity, including morality, will be fully developed through the co-progress of humanity and culture over the course of history. Finally, Section 4 explores Kant’s concept of “culture” in the Critique of Judgment, arguing that it includes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BME can be interpreted as a form of “culture of discipline”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d realization of autonomy, the development and voluntary use of BME technology are thus morally permissible from a Kantian perspective.
AbstractList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 자율성의 ‘실현’ 과정에 개입하는 생의학적 도덕 향상(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의 자발적 사용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칸트적 관점에서BME를 비판 및 옹호하는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자율성 훼손’ 이라는 비판자들의 문제 제기에 대해, 기존의 칸트적 BME 옹호 시도들이 칸트적관점에서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충분히 정당화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3 장에서는 칸트의 저작 속에서 BME 옹호를 위한 문헌적 근거를 확보한다. 먼저도덕형이상학 정초와 실천이성비판에서 언급되는 자율성에 대한 설명과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의 도덕 심리학적 논의 및 처방을 중심으로, 칸트가 자율성의 온전한 실현을 위해서는 주체의 의지적 노력뿐만 아니라 주체 외적 요소의 긍정적인 영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음을 밝힌다. 이후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 의 이념 에서 드러나는 칸트의 도덕적 진보 사상이 도덕적 소질을 비롯한 인간의모든 자연적 소질이 역사 속에서 전개되는 인류-문화의 공진보(co-progress) 과정을 통해 완전히 계발될 것이라는 이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판단력비판의 논의를 근거로 칸트의 문화 개념이 그 정의상 과학 기술을 포함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BME가 자율성의 더 나은 실현에 기여하는 ‘훈육의 문화’로 해석될수 있으므로, BME 기술의 개발 및 자발적 사용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voluntary 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 which influences an agent’s process of realizing moral autonomy, is morally permissible within the Kantian ethical framework. To support this claim, Section 2 critically examines previous studies that both critique and defend BME from a Kantian perspective,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antian defenses addressing critics’ concerns about the “violation of autonomy.” Section 3 provides textual evidence from Kant’s work to support the permissibility of BME. Drawing on Kant’s discussions of autonomy in the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s well as his moral-psychological insights in Religion within the Boundaries of Mere Reason, this section demonstrates that Kant considered not only the agent’s own rational efforts but also the positive role of external factors as essential to fully realizing moral autonomy.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Kant’s idea of moral progress—as articulated in “Idea for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Aim”— encompasses the view that all natural predispositions of humanity, including morality, will be fully developed through the co-progress of humanity and culture over the course of history. Finally, Section 4 explores Kant’s concept of “culture” in the Critique of Judgment, arguing that it includes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BME can be interpreted as a form of “culture of discipline”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d realization of autonomy, the development and voluntary use of BME technology are thus morally permissible from a Kantian perspective. KCI Citation Count: 0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 자율성의 ‘실현’ 과정에 개입하는 생의학적 도덕 향상(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의 자발적 사용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칸트적 관점에서BME를 비판 및 옹호하는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자율성 훼손’이라는 비판자들의 문제 제기에 대해, 기존의 칸트적 BME 옹호 시도들이 칸트적 관점에서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충분히 정당화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3장에서는 칸트의 저작 속에서 BME 옹호를 위한 문헌적 근거를 확보한다. 먼저 『도덕형이상학 정초』와 『실천이성비판』에서 언급되는 자율성에 대한 설명과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의 도덕 심리학적 논의 및 처방을 중심으로, 칸트가 자율성의 온전한 실현을 위해서는 주체의 의지적 노력뿐만 아니라 주체 외적 요소의 긍정적인 영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음을 밝힌다. 이후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 에서 드러나는 칸트의 도덕적 진보 사상이 도덕적 소질을 비롯한 인간의 모든 자연적 소질이 역사 속에서 전개되는 인류-문화의 공진보(co-progress) 과정을 통해 완전히 계발될 것이라는 이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판단력비판』의 논의를 근거로 칸트의 문화 개념이 그 정의상 과학 기술을 포함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BME가 자율성의 더 나은 실현에 기여하는 ‘훈육의 문화’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BME 기술의 개발 및 자발적 사용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voluntary 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 which influences an agent’s process of realizing moral autonomy, is morally permissible within the Kantian ethical framework. To support this claim, Section 2 critically examines previous studies that both critique and defend BME from a Kantian perspective,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antian defenses addressing critics’ concerns about the “violation of autonomy.” Section 3 provides textual evidence from Kant’s work to support the permissibility of BME. Drawing on Kant’s discussions of autonomy in the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s well as his moral-psychological insights in Religion within the Boundaries of Mere Reason, this section demonstrates that Kant considered not only the agent’s own rational efforts but also the positive role of external factors as essential to fully realizing moral autonomy.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Kant’s idea of moral progress―as articulated in “Idea for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Aim”― encompasses the view that all natural predispositions of humanity, including morality, will be fully developed through the co-progress of humanity and culture over the course of history. Finally, Section 4 explores Kant’s concept of “culture” in the Critique of Judgment, arguing that it includes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BME can be interpreted as a form of “culture of discipline”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d realization of autonomy, the development and voluntary use of BME technology are thus morally permissible from a Kantian perspective.
Author 윤준식
Yoon Junsi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준식
– sequence: 2
  fullname: Yoon Junsi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746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b9Lw0AcxQ-pYK1dXF0yC4n3vR9JbqzFH8WCoNmPa3qREG0lmdwsdSqKXaoVWnFxd0z_plz-B1Pr8h6P9-G9XVQbDAcaoX3ADiWU0qOLa4czhziwherEo8zGHKCG6sCFbwvqkR3UzLK4h7EgPmVc1NGx-ZwWPwvzNTLL3DLjpVnOy9lHla3i9al4mVnl27cZj8z71CqeH8vZwjKrvJzka8LMV-U830PbkbrNdPPfGyg4PQna53b38qzTbnXthHNh65Bh3cNcgFCRptoNNQCG0BehcsHlrF-VjPRcLhTpgwIAt9LIV4R4DARtoMPN7CCNZBLGcqjiP78ZyiSVraugIwG7nFO2hg82cBJnmbxP4zuVPkgG1YPP6S-2Qmn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32333/KS.54.2.1
DatabaseNam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자발적인 생의학적 도덕 향상에 대한 칸트적 옹호
A Kantian Defense of Voluntary Biomedical Moral Enhancement
EISSN 2734-0511
EndPage 3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55349
4154285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59-ec40eb05919afe3e6ce1101c89ca61654db0542b659a2d1a11161a1f8a2274193
ISSN 1598-9372
IngestDate Fri Jun 20 03:20:23 EDT 2025
Tue Feb 25 02:11:56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9-ec40eb05919afe3e6ce1101c89ca61654db0542b659a2d1a11161a1f8a2274193
Notes Koreanische Kant-Gesellschaft
PageCount 3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55349
kiss_primary_415428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4
  text: 202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칸트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칸트연구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칸트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칸트학회
SSID ssib009283459
ssib044750499
ssib001151301
Score 1.9072386
Snippet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적 관점에서 도덕적 자율성의 ‘실현’ 과정에 개입하는 생의학적 도덕 향상(Biomedical Moral Enhancement, BME)의 자발적 사용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
SubjectTerms autonomy
biomedical moral enhancement
culture of discipline
Kantian ethics
moral progress
moral psychology
도덕 심리학
도덕적 진보
생의학적 도덕 향상
자율성
철학
칸트 윤리학
훈육의 문화
Title 자발적인 생의학적 도덕 향상에 대한 칸트적 옹호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5428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7461
Volume 5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칸트연구, 2024, 0(54), , pp.1-3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selected full-text only)
  customDbUrl:
  eissn: 2734-051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50499
  issn: 1598-937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29j9MwFLfKsbAg0IE4vhQJPFUp-a49JrlUx6FjoUi3RUmaIFSpRaW3MCBOx4RA3FIo0hWxsCLG3t_U9H_gZyckQeoALK6_8p7tZz3_nms_E3Lfwiqe2VmiakmmqZgUAzUCalAdpmVxCqEb8h_8g8fO3lNr_9A-bLV-NE4tHU3jTvJq472S_5Eq8iBXcUv2HyRbEUUG4pAvQkgY4V_JmAY-5QHlGg086mmU-yLH1QAPZdEu9VhbxJgpEkUWZzRAaFPOq9ptQYD1KLNkRBS3ZS2HunZJoKTZBbuiui9OSZSkfMnG42AospgrIzV1X7BFcSD5e6yJiTd_CUboUYCkTWv_kLIEZC1J3JItQDs8dKzWX5jQ--Lpk2FzS8OoHCeWk7Bq-m8mu5saUo0UIi763FTiHErc7P6h5W2roab1TYuHaZhid7v36ElH7LZ19HqJrA4uAu7AXrMvkIsGVhHxVMjB66CGn4BPplbrSw7s1vDVI3wrCgtTuvAtm1h4zJWsH1SMAQ9gPbwE3BlNsgbc6V8hl0s7RXGLSXeVtIbjbeLlX09XP8_yb8f5YqnkJ4t8MV_PviCtrD6-XX2YKetP3_OT4_zzqbJ6_2Y9O1Py8-X63VLUyOfn6_nyGun3gr6_p5aPcKhDGJtqmlhaGgOD6zzKUjN1khSAUU8YTyJH3IQboNAyYsfmkTHQIyydDsKMRYZwjMTN62RrNB6lN4gSARclXT1OTRMwODYiLA1xZsGiZlpkZN0dsi16Hb4o3KyE5VjvkHsYhXCYPA-FK3Tx-2wcDichDL6HoQ4IbZsWv7n541vkUj3BbpOt6eQovQMUOY3vStH9AtZ2Vr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E%90%EB%B0%9C%EC%A0%81%EC%9D%B8+%EC%83%9D%EC%9D%98%ED%95%99%EC%A0%81+%EB%8F%84%EB%8D%95+%ED%96%A5%EC%83%81%EC%97%90+%EB%8C%80%ED%95%9C+%EC%B9%B8%ED%8A%B8%EC%A0%81+%EC%98%B9%ED%98%B8&rft.jtitle=%EC%B9%B8%ED%8A%B8%EC%97%B0%EA%B5%AC&rft.au=%EC%9C%A4%EC%A4%80%EC%8B%9D&rft.au=Yoon+Junsik&rft.date=2024-12-31&rft.pub=%ED%95%9C%EA%B5%AD%EC%B9%B8%ED%8A%B8%ED%95%99%ED%9A%8C&rft.issn=1598-9372&rft.volume=54&rft.spage=1&rft_id=info:doi/10.32333%2FKS.54.2.1&rft.externalDocID=415428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37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37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37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