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의 함의와 헌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지난 2021년, 앱마켓 사업자가 특정 결제 방식을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전 세계 최초로 시행됐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건전한 앱마켓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법 시행은 공정한 앱 마켓 생태계를 위한 출발점일 뿐, 정부를 중심으로 플랫폼, 콘텐츠 기업, 창작자, 이용자 등 생태계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및 참여, 그리고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시행 이후에도 구글은 이듬해 아웃링크를 금지하고 이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급결제학회지 Vol. 15; no. 2; pp. 407 - 425
Main Authors 이준복, Lee Joonb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한국지급결제학회 30.12.2023
한국지급결제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9253
2671-8677
DOI10.22898/kpsakr.2023.15.2.407

Cover

Abstract 지난 2021년, 앱마켓 사업자가 특정 결제 방식을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전 세계 최초로 시행됐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건전한 앱마켓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법 시행은 공정한 앱 마켓 생태계를 위한 출발점일 뿐, 정부를 중심으로 플랫폼, 콘텐츠 기업, 창작자, 이용자 등 생태계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및 참여, 그리고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시행 이후에도 구글은 이듬해 아웃링크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앱마켓에서 해당 앱을 삭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카오가 아웃링크를 유지하자 구글은 카카오톡 업데이트 심사를 거절하기도 했고, 결국 카카오는 이내 이를 포기하고 구글 정책을 따르기로 결정한 것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시행된 지 2년 남짓 흘렀으나 산업계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을 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인 전기통신사업법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제정 목적·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법리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해당 법의 의미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앱결제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해서 정리하고, 해외 주요 국가의 규제 동향을 분석한 후, 인앱결제의 헌법적 쟁점을 앱마켓 사업자와 앱마켓 운영사 및 앱 개발사, 소비자 등의 기본권 침해 가능성과 헌법상 경제민주화 위배 가능성 측면에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입법적 제언 등 개선 방향을 도출해 내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In 2021,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the so-called In-App Payment compulsory Prevention Act), which prohibits app market operators from forcing specific payment methods,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xpected that a healthy app market ecosystem would be established, but enforcement of the law is only the starting point for a fair app market ecosystem. It showed that interest and continuous monitoring are needed including platforms, content companies, creators, and users, are centered on the government. This is because when Kakao maintained outlinks, Google refused to review KakaoTalk updates, and in the end, Kakao soon gave up and decided to follow Google's policy. In this regard, although it has been about two years since the law to prevent forced in-app payments was implemented, the industry is questioning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take a legal approach to way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to prevent forced in-app payments. To execute this, we first summarize the concept and types of in-app payments and analyze regulatory trend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issues of in-app payments are reviewed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rights and viol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AbstractList 지난 2021년, 앱마켓 사업자가 특정 결제 방식을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전 세계 최초로 시행됐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건전한 앱마켓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법 시행은 공정한 앱 마켓 생태계를 위한 출발점일 뿐, 정부를 중심으로 플랫폼, 콘텐츠 기업, 창작자, 이용자 등 생태계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및 참여, 그리고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시행 이후에도 구글은 이듬해 아웃링크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앱마켓에서 해당 앱을 삭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카오가 아웃링크를 유지하자 구글은 카카오톡 업데이트 심사를 거절하기도 했고, 결국 카카오는 이내 이를 포기하고 구글 정책을 따르기로 결정한 것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시행된 지 2년 남짓 흘렀으나 산업계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을 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인 전기통신사업법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제정 목적·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법리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해당 법의 의미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앱결제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해서 정리하고, 해외 주요 국가의 규제 동향을 분석한 후, 인앱결제의 헌법적 쟁점을 앱마켓 사업자와 앱마켓 운영사 및 앱 개발사, 소비자 등의 기본권 침해 가능성과 헌법상 경제민주화 위배 가능성 측면에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입법적 제언 등 개선 방향을 도출해 내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In 2021,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the so-called In-App Payment compulsory Prevention Act), which prohibits app market operators from forcing specific payment methods,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xpected that a healthy app market ecosystem would be established, but enforcement of the law is only the starting point for a fair app market ecosystem. It showed that interest and continuous monitoring are needed including platforms, content companies, creators, and users, are centered on the government. This is because when Kakao maintained outlinks, Google refused to review KakaoTalk updates, and in the end, Kakao soon gave up and decided to follow Google's policy. In this regard, although it has been about two years since the law to prevent forced in-app payments was implemented, the industry is questioning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take a legal approach to way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to prevent forced in-app payments. To execute this, we first summarize the concept and types of in-app payments and analyze regulatory trend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issues of in-app payments are reviewed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rights and viol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지난 2021년, 앱마켓 사업자가 특정 결제 방식을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전 세계 최초로 시행됐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건전한 앱마켓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법 시행은 공정한 앱 마켓 생태계를 위한 출발점일 뿐, 정부를 중심으로 플랫폼, 콘텐츠 기업, 창작자, 이용자 등 생태계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및 참여, 그리고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시행 이후에도 구글은 이듬해 아웃링크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앱마켓에서 해당 앱을 삭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카오가 아웃링크를 유지하자 구글은 카카오톡 업데이트 심사를 거절하기도 했고, 결국 카카오는 이내 이를 포기하고 구글 정책을 따르기로 결정한 것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시행된 지 2년 남짓 흘렀으나 산업계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을 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인 전기통신사업법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제정 목적·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법리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해당 법의 의미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앱결제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해서 정리하고, 해외 주요 국가의 규제 동향을 분석한 후, 인앱결제의 헌법적 쟁점을 앱마켓 사업자와 앱마켓 운영사 및 앱 개발사, 소비자 등의 기본권 침해 가능성과 헌법상 경제민주화 위배 가능성 측면에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입법적 제언 등 개선 방향을 도출해 내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In 2021,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the so-called In-App Payment compulsory Prevention Act), which prohibits app market operators from forcing specific payment methods,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xpected that a healthy app market ecosystem would be established, but enforcement of the law is only the starting point for a fair app market ecosystem. It showed that interest and continuous monitoring are needed including platforms, content companies, creators, and users, are centered on the government. This is because when Kakao maintained outlinks, Google refused to review KakaoTalk updates, and in the end, Kakao soon gave up and decided to follow Google's policy. In this regard, although it has been about two years since the law to prevent forced in-app payments was implemented, the industry is questioning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take a legal approach to way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to prevent forced in-app payments. To execute this, we first summarize the concept and types of in-app payments and analyze regulatory trend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issues of in-app payments are reviewed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rights and viol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준복
Lee Joonbo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준복
– sequence: 2
  fullname: Lee Joonbo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103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D9Lw0AABfBDKlhrP4EImYXE-5u7G0vxT6EgSPfjkl4kRNuSTG7t3qFLqILFbOoW6-Jnai7fwdY6_eDx3jsGjdF4ZAA4Q9DDWEhxkUwynaQehph4iHnYo5AfgCb2OXKFz3kDNJHkvisxI0egnWVxACnlFAssm6BvVz82_9qsS1u8Opsy31GVn_Z9Wq1zu3p26vxji32ZOvVyvsuKmWPfZrZY2OXCqebTOt8OvwtblifgMNIPmWn_2wKDq8tB98bt3173up2-mzAmXRlwyUMZGh-GzNAgIDTCmkAiIo6wEVQTbVgUBcMQcTE0XBpEKA6YwYIPTUha4Hx_O0ojlYSxGuv4z_uxSlLVuRv0FIKEMSTltny6LydxlqlJGj_q9ElR6AuIEPkFHwZ10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2898/kpsakr.2023.15.2.40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의 함의와 헌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implications of the In-app payment compulsory prevention law & Constitutional issues
EISSN 2671-8677
EndPage 42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55199
406801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59-9b797c9ce60c5e4bb34f2a3038f712e84a3ae5ffbdc178de79e1342b5e287dec3
ISSN 1976-9253
IngestDate Thu Jan 11 06:22:12 EST 2024
Tue Feb 11 02:10:38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9-9b797c9ce60c5e4bb34f2a3038f712e84a3ae5ffbdc178de79e1342b5e287dec3
Notes KPSA(Korean Payment & Settlement Association)
PageCount 1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55199
kiss_primary_406801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2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2-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3
  text: 202312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지급결제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지급결제학회지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사)한국지급결제학회
한국지급결제학회
Publisher_xml – name: (사)한국지급결제학회
– name: 한국지급결제학회
SSID ssib044742829
ssib035521730
Score 1.8703365
Snippet 지난 2021년, 앱마켓 사업자가 특정 결제 방식을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이 전 세계 최초로 시행됐다. 이에...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407
SubjectTerms Consumer rights
Democratization of the economy
Freedom of business
In-app payment
In-app payment compulsory prevention law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경제민주화
경제학
소비자권리
영업수행의 자유
인앱결제
인앱결제강제방지법
전기통신사업법
Title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의 함의와 헌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6801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1037
Volume 1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지급결제학회지, 2023, 15(2), , pp.407-425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8677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2829
  issn: 1976-9253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8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BrjwgWBBmJ8RoKcqpbEcWL7mLSdxgScirRbFCcOQpHaqesuHFB332GXaiAx0RtwK-PCb1rT_8Czk3Rh9AC7xO7ze8_P7zn1e639jNAzL7Ed25Pq-BlEOoSLqClSAjGPFXnEYwm3Yr3b4rW3_Ybs7Lq7a9ee1HYtHYxEK36_8lzJVawKMLCrOiX7H5ZdMgUA1MG-8AQLw_OfbGx22ybvmAHTFdcMbLPrmwE2A0tBfMvk7YYGWaq5BgoUyOcaRNVuBwXBJRKw5AyQOuqzz5YgXeGAXbQBXfsPOmDO7IbG2oJa1Z-WBbC5pTsGItWfZl6J5yhEwAKhAqvuL9cE9NU4Gf97hBUvriu-lqqkqqZTpSiiW0g1YMcM3NqOpMbOYNAXZdBR_hKCHZ1v0VrOXfDIFROGTb9tYr4ciJYL1NW5msi1xQFctybHRXLj5erh1t4SXFsKSHGb7-UlCkOEq85dZHv7UaYS0mKnZbst3CrxL2X_JupuFHV2_Tqmnqeu6Hj1oVt9YYKvCBHlRfxHCCXqn3G9k6KUtTi1pnt9vqpPcEUgUtkH16o_TGuuVe8WulnGRIZfTPDbaC0bbKCX-emvfPLj_GyWTz8b57OJKuaz7_nX8fxskp9-NBaTb1Dkn8bG4uRIwaaHRv7lMJ8e5yfHxvxovJgA4c9pPpvdQb2tbq-93Syv_mhmEOI2uaCcxjyWnhW7kgjhkBRH4G2xlNpYMhI5kXTTVCSxTVkiKZe2Q7BwJWY0kbFzF633B315DxmMC4gAkoRRahEJDjEwIsIF3REsqcM30YYaf7hXJHcJS4VvoqegjzCL34UqAbsq3w7CbBhCmPkitJXqbc7vryZ-gG5czM-HaH00PJCPwHcdicfafr8BZqB3X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8%EC%95%B1%EA%B2%B0%EC%A0%9C+%EA%B0%95%EC%A0%9C+%EB%B0%A9%EC%A7%80%EB%B2%95%EC%9D%98+%ED%95%A8%EC%9D%98%EC%99%80+%ED%97%8C%EB%B2%95%EC%A0%81+%EC%9F%81%EC%A0%90%EC%97%90+%EB%8C%80%ED%95%9C+%EA%B3%A0%EC%B0%B0&rft.jtitle=%EC%A7%80%EA%B8%89%EA%B2%B0%EC%A0%9C%ED%95%99%ED%9A%8C%EC%A7%80&rft.au=%EC%9D%B4%EC%A4%80%EB%B3%B5&rft.au=Lee+Joonbok&rft.date=2023-12-30&rft.pub=%28%EC%82%AC%29%ED%95%9C%EA%B5%AD%EC%A7%80%EA%B8%89%EA%B2%B0%EC%A0%9C%ED%95%99%ED%9A%8C&rft.issn=1976-9253&rft.volume=15&rft.issue=2&rft.spage=407&rft_id=info:doi/10.22898%2Fkpsakr.2023.15.2.407&rft.externalDocID=406801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925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925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925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