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암 신경준의 『장자』 「소요유」 해석의 관점 - 풍토론 및 작은 것과 큰 것에 대한 분변의 철학
여암(旅庵)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이자 다방면에 걸쳐 뛰어난 학문적 성과를 남긴 인물이다. 그는 유가 철학자였지만, 특히 『장자』에 대한 해박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장준칙 장자선(文章準則莊子選)』을 저술하여 조선 후기 장자 철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여암의 저술은 『장자』 내편 중 앞의 세 편만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으며, 장자 철학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고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 글은 『문장준칙 장자선』 중 첫 번째 편인 「소요유」를 중심으로, 그의 장자관을 심층적으로...
        Saved in:
      
    
          | Published in | Yulgok sasang yŏn'gu Vol. 58; pp. 173 - 206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사)율곡연구원
    
        31.12.2024
     율곡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8236 2713-7236  | 
| DOI | 10.35436/yulgok.2024.58..173 | 
Cover
| Summary: | 여암(旅庵)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이자 다방면에 걸쳐 뛰어난 학문적 성과를 남긴 인물이다. 그는 유가 철학자였지만, 특히 『장자』에 대한 해박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장준칙 장자선(文章準則莊子選)』을 저술하여 조선 후기 장자 철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여암의 저술은 『장자』 내편 중 앞의 세 편만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으며, 장자 철학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고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 글은 『문장준칙 장자선』 중 첫 번째 편인 「소요유」를 중심으로, 그의 장자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여암은 장자의 인물 및 그의 철학을 남방 풍토론의 특정한 산물로 해석하고, ‘작은 것과 큰 것에 대한 분변’(小大之辨)을 철학적 핵심 개념으로 설정한다. 이에 이 글은 이 두 가지 특징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탐구한다. 분석 결과, 여암의 장자 해석이 유교적 관점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석 기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장자 철학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여암은 조선 후기 실학자답게 「소요유」 해석에서 ‘쓸모없음’과 ‘쓸모있음’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세상에서 쓸모없다고 간주하는 것들이 오히려 큰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장자의 철학에 주목하여, 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려 하였다. 이 글은 여암의 이러한 ‘쓸모없음의 쓸모’에 대한 관심을 심층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을 한계로 지적하며, 향후 연구 과제로 제시한다. 향후 장자의 ‘쓸모없음’에 대한 사유가 여암과 같은 실학자의 실학적 사유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탐구가 요청된다.
Yeoam (旅庵) Shin Gyeong-jun (申景濬, 1712-1781)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figure who left behind outstanding academic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Although he was a Confucian philosopher, he wrote Munjangjunchikjangjaseon (文章準則莊子選) based on his extensive understanding of Zhuangzi, opening new horizons for the study of Zhuangzi’s philoso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Yeoam's writings were based only on the first three inner chapters of the book Zhuangzi, and greatly contributed to stimulating the world's interest in Zhuangzi's philosophy.
This article aims to deeply analyze his view of Zhangzi, focusing on Xiaoyaoyou (逍遙遊, Free and Easy Wandering), the first part of Munjangjunchikjangjaseon. In particular, Yeoam interprets the character of Zhuangzi and his philosophy as a specific product of the theory of Southern natural features, and establishes the ‘Distinction of Small and Large’ (小大之辨) as a core philosophical concept. According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se two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their meaning and limitations. The analysis results also confirmed that Yeoam's interpretation of Zhangzi is based on a Confucian perspective, and that there may be misunderstandings about Zhangzi's philosophy that may arise due to this interpretation standard.
As a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Dynasty, Yeoam showed deep interest in the issues of ‘Uselessness’ and ‘Usefulness’ in his interpretation of Xiaoyaoyou. In particular, he focused on Zhangzi's philosophy that things that are considered useless in the world can actually have great value, and tri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through this.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Yeoam’s not being able to deeply explore the interest in the ‘Usefulness of Uselessness’ and suggests it as a subject for future research. In the future, a close examination is required of how Zhuangzi's thoughts on 'Uselessness' can be connected to the practical thinking of the scholars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uch as Yeoam. | 
|---|---|
| Bibliography: | Yul Gok Society | 
| ISSN: | 1738-8236 2713-7236  | 
| DOI: | 10.35436/yulgok.2024.58..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