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형이상학 정초』에서 선한 의지와 비대칭성 문제

본 논문에서 나는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오직 선한 의지만이 무제한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칸트 주장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지를 가치의 비대칭성 반론을 검토함으로써 탐구한다. 첫째로, 나는 무제한적 선의 후보로 칸트가 검토하는 세 후보,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 운으로 주어진 것, 의지는 공통적으로 행위와 관련된 실천적 선을 가진 것으로 본다면 이 분류가 완전하고 건전한 것일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로, 세 후보 중에서 의지는 행위자가 자신이 이뤄낸 것이라는 점에서 달리 주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우연적인 나머지 두 후보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칸트연구 Vol. 53; pp. 1 - 24
Main Authors 강은아, Kang Eun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칸트학회 15.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372
2734-0511
DOI10.32333/KS.53.1.1

Cover

Abstract 본 논문에서 나는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오직 선한 의지만이 무제한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칸트 주장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지를 가치의 비대칭성 반론을 검토함으로써 탐구한다. 첫째로, 나는 무제한적 선의 후보로 칸트가 검토하는 세 후보,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 운으로 주어진 것, 의지는 공통적으로 행위와 관련된 실천적 선을 가진 것으로 본다면 이 분류가 완전하고 건전한 것일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로, 세 후보 중에서 의지는 행위자가 자신이 이뤄낸 것이라는 점에서 달리 주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우연적인 나머지 두 후보와 구별되며, 이 점이 선한 의지에 무제한적인 가치를 가질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결론적으로, 나는 선한 의지와 다른 선한 것들의 가치의 비대칭성의 근저에는 자기가 이룬것과 우연히 주어진 것의 대비가 있음을 밝힌다. 둘은 각기 자신의 선함을 자기와 자연이라는 전혀 다른 원천으로부터 부여받으며, 이 원천의 차이가 가치의 비대칭성의 근거가 된다. 결국, 선한 의지의 무제한적 가치라는 보통 사람의 견해는 자연과 자기라는 대비에 근거해서 정당화된다. In the Groundwork, Kant asserts that good will, and only good will, has unlimited value. In this paper, I examine this assertion by considering the asymmetry of value objection. First, I argue that Kant’s classification of good things―the gifts of nature, the gifts of fortune, and the will―could be a complete and sound division if these candidates are considered practical goods. Second, I argue that the will is fundamentally distinct from the other two as it is not accidental at all, and that the agent has achieved it by himself. Thus, good will deserves special value in this respect. In conclusion, there is a contrast between what one has achieved and what happened to be given at the root of the asymmetry of the value of good will and other good things. Each of the two is endowed with their worth from completely different sources, self and nature, whe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sources serves as the basis for the asymmetry of values. After all, the common view of the unlimited value of good will is justified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the nature and self.
AbstractList 본 논문에서 나는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오직 선한 의지만이 무제한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칸트 주장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지를 가치의 비대칭성 반론을 검토함으로써 탐구한다. 첫째로, 나는 무제한적 선의 후보로 칸트가 검토하는 세 후보,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 운으로 주어진 것, 의지는 공통적으로 행위와 관련된 실천적 선을 가진 것으로 본다면 이 분류가 완전하고 건전한 것일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로, 세 후보 중에서 의지는 행위자가 자신이 이뤄낸 것이라는 점에서 달리 주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우연적인 나머지 두 후보와 구별되며, 이 점이 선한 의지에 무제한적인 가치를 가질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결론적으로, 나는 선한 의지와 다른 선한 것들의 가치의 비대칭성의 근저에는 자기가 이룬것과 우연히 주어진 것의 대비가 있음을 밝힌다. 둘은 각기 자신의 선함을 자기와 자연이라는 전혀 다른 원천으로부터 부여받으며, 이 원천의 차이가 가치의 비대칭성의 근거가 된다. 결국, 선한 의지의 무제한적 가치라는 보통 사람의 견해는 자연과 자기라는 대비에 근거해서 정당화된다. In the Groundwork, Kant asserts that good will, and only good will, has unlimited value. In this paper, I examine this assertion by considering the asymmetry of value objection. First, I argue that Kant’s classification of good things―the gifts of nature, the gifts of fortune, and the will―could be a complete and sound division if these candidates are considered practical goods. Second, I argue that the will is fundamentally distinct from the other two as it is not accidental at all, and that the agent has achieved it by himself. Thus, good will deserves special value in this respect. In conclusion, there is a contrast between what one has achieved and what happened to be given at the root of the asymmetry of the value of good will and other good things. Each of the two is endowed with their worth from completely different sources, self and nature, whe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sources serves as the basis for the asymmetry of values. After all, the common view of the unlimited value of good will is justified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the nature and self.
본 논문에서 나는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오직 선한 의지만이 무제한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칸트 주장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지를 가치의 비대칭성 반론을 검토함으로써 탐구한다. 첫째로, 나는 무제한적 선의 후보로 칸트가 검토하는 세 후보,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 운으로 주어진 것, 의지는 공통적으로 행위와 관련된 실천적 선을 가진 것으로 본다면 이 분류가 완전하고 건전한 것일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로, 세 후보 중에서 의지는 행위자가 자신이 이뤄낸 것이라는 점에서 달리 주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우연적인 나머지 두 후보와 구별되며, 이 점이선한 의지에 무제한적인 가치를 가질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결론적으로, 나는 선한 의지와 다른 선한 것들의 가치의 비대칭성의 근저에는 자기가 이룬것과 우연히 주어진 것의 대비가 있음을 밝힌다. 둘은 각기 자신의 선함을 자기와자연이라는 전혀 다른 원천으로부터 부여받으며, 이 원천의 차이가 가치의 비대칭성의 근거가 된다. 결국, 선한 의지의 무제한적 가치라는 보통 사람의 견해는 자연과 자기라는 대비에 근거해서 정당화된다. In the Groundwork, Kant asserts that good will, and only good will, has unlimited value. In this paper, I examine this assertion by considering the asymmetry of value objection. First, I argue that Kant’s classification of good things—the gifts of nature, the gifts of fortune, and the will—could be a complete and sound division if these candidates are considered practical goods. Second, I argue that the will is fundamentally distinct from the other two as it is not accidental at all, and that the agent has achieved it by himself. Thus, good will deserves special value in this respect. In conclusion, there is a contrast between what one has achieved and what happened to be given at the root of the asymmetry of the value of good will and other good things. Each of the two is endowed with their worth from completely different sources, self and nature, whe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sources serves as the basis for the asymmetry of values. After all, the common view of the unlimited value of good will is justified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the nature and self.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강은아
Kang Euna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강은아
– sequence: 2
  fullname: Kang Euna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076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j9Lw0Achg9RsNYuri6ZhcS7--XucmMp_qkWBO1-pO1FQrSVZHKLmMFBrUuwhRa6ueggdLCfp2Ou38FgnZ7l4X3eHbTZH_Q1QnsEO0AB4PD8ymHgEIdsoAoV4NqYEbKJKoRJz5Yg6DaqJUnYwVhSD1wmK-hsmb4Ww6x4yVej3Ezn5vFhlY8tM8vN_GmZDs37m8kmlslmq7zEdGQ-UjNOrWKRFc-pWXyZ7NsqPn_MbLKLtgL_JtG1f1ZR-_io3Ti1WxcnzUa9ZUeMcdsVAiSlWgeMMEw1aEm7Xo_62nM1p-U3IiTrEo9rLmVPShIQ0XEDEJhz6vlQRQfr2X4cqKgbqoEf_vF6oKJY1S_bTUUwA5AeL-X9tRyFSaLu4vDWj--VS8oKF_ALTsJvC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32333/KS.53.1.1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도덕형이상학 정초』에서 선한 의지와 비대칭성 문제
Good Will and Asymmetry Objection in Groundwork
EISSN 2734-0511
EndPage 2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33986
410016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56-4773922eef51502e3e92c8d2ae84e62b001795c186e699d991f17b4f3706628a3
ISSN 1598-9372
IngestDate Fri Jun 20 03:20:31 EDT 2025
Tue Oct 29 02:26:24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6-4773922eef51502e3e92c8d2ae84e62b001795c186e699d991f17b4f3706628a3
Notes Koreanische Kant-Gesellschaft
PageCount 2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33986
kiss_primary_410016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15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1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15
  day: 1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칸트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칸트연구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칸트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칸트학회
SSID ssib009283459
ssib044750499
ssib001151301
Score 1.8858371
Snippet 본 논문에서 나는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오직 선한 의지만이 무제한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칸트 주장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지를 가치의 비대칭성 반론을...
본 논문에서 나는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오직 선한 의지만이 무제한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칸트 주장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지를 가치의 비대칭성 반론을...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
SubjectTerms asymmetry of value objection
gifts of fortune
gifts of nature
good will
unlimited value
무제한적 가치
비대칭성 반론
선한 의지
운으로 주어진 것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
철학
Title 『도덕형이상학 정초』에서 선한 의지와 비대칭성 문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0016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0766
Volume 5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칸트연구, 2024, 0(53), , pp.1-2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34-051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50499
  issn: 1598-937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09bxMx1AplYUGggihfOgk8RRfuzvdhj5fkolJUForU7ZS7-CoUKUEhWRhQEBkYgLJEtFIrZWOBAakD_QP8kY5x_gPPPid3SBmAxffy7Gc_-zn2e5bfM0IPiZ86FHY6M2WuZ7o8S8yE0tTMOoyDdk99nkgH592n_vZzd2ff269UfpVuLY2GSS19vdav5H-kCjiQq_SS_QfJrioFBMAgX0hBwpD-lYxxRORNBRrhqI5pC1NXAU3MPBxBShXQwKyJ664EKJS3VZaHGatKVGjpQlCC0mWNLUUWYGYpMhezRlVDQKAryFFMNSRrCiSpxDAAqpKVOlvy1NB5gAmbuqa6rQqFgKVLVhplbVkTyNwmpqEuBmzVoS746eEicqRCWEWHNSsepoV7T7t3UI1G-Xvhy6MOx5VXsnJnTzU5V71bNtFcx4YeQgWE0L3y4s5gcSfBH6u_R0rLt71uUyEOkaferSfPah6p2TW72DpXFxpdW_lzXEKXHdhd5BMiu2-iQi0FtYpYxTrKQKcrxfCRMRel5alC-2oW80i6qulHq4ZBbQCr4hWoQb1BVlKD9q6hq9p-McJ8Ml5HlW5_E-1cjD_NDyfzj9PF0VScnol3bxfTY0PMpuLs_cX4UHz5LCYnhpjMFlP4nB6Jr2NxPDbm55P5h7E4_y4mP4z5t59idnID7bWivca2qR_pMLue55tuEICG7XCegWJsOZxw5qS047Q5dbnvqDMG5qU2_Ol9xjpgjWR2kLgZCeTTA7RNbqKNXr_HbyEDOmtl1E2ztrRxGUl8Dua0TZKUg1Hrd7bQpux9_DIPwxLrMd9CD2A04m76Ipah0uX3oB93BzEYhI9jW_qaM-rfXk98B10pJtpdtDEcjPg90DKHyX0lwt9nUmDN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3%80%8E%EB%8F%84%EB%8D%95%ED%98%95%EC%9D%B4%EC%83%81%ED%95%99+%EC%A0%95%EC%B4%88%E3%80%8F%EC%97%90%EC%84%9C+%EC%84%A0%ED%95%9C+%EC%9D%98%EC%A7%80%EC%99%80+%EB%B9%84%EB%8C%80%EC%B9%AD%EC%84%B1+%EB%AC%B8%EC%A0%9C&rft.jtitle=%EC%B9%B8%ED%8A%B8%EC%97%B0%EA%B5%AC&rft.au=%EA%B0%95%EC%9D%80%EC%95%84&rft.au=Kang+Euna&rft.date=2024-06-15&rft.pub=%ED%95%9C%EA%B5%AD%EC%B9%B8%ED%8A%B8%ED%95%99%ED%9A%8C&rft.issn=1598-9372&rft.volume=53&rft.spage=1&rft_id=info:doi/10.32333%2FKS.53.1.1&rft.externalDocID=410016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37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37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37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