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과 TPACK 역량을 위해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원양성대학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개선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협동학습의 Jigsaw 모형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과정을 토대로 동료협력수업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15주차에 해당하는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자료는 수업 종료 후 실시한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범주화와 내용 분석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교육연구지 Vol. 49; no. 2; pp. 188 - 200
Main Authors 송영욱, Youngwook S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8.2025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5.49.2.18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과 TPACK 역량을 위해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원양성대학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개선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협동학습의 Jigsaw 모형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과정을 토대로 동료협력수업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15주차에 해당하는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자료는 수업 종료 후 실시한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범주화와 내용 분석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첫째, 디지털 도구와 에듀테크 활용 가능성, 둘째, 동료와의 협력을 통한수업 계획의 체계화, 셋째, 역할 분담의 공정성과 교수자 지원의 필요성, 넷째, 시간 관리와 피드백 구조의 중요성, 다섯째, 교육 내용의 심층화와 자료 활용의 적절성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예비교사에게 내용지식(CK), 교수지식(PK), 기술지식(TK)을 실제 수업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며, 향후 교사교육의 수업설계와 적용을 보완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eer-collaboration-based TPACK teaching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and to apply it to the science curriculum of a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in order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and areas for improvement. The program was designed by incorporating the Jigsaw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based on this design, a 15-week peer-collaboration-based TPACK program was develop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were analyzed using categorization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1) the potential of digital tools and educational technologies, (2) the systematization of lesson planning through peer collaboration, (3) the fairness of role distribution and the need for instructor support, (4)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and feedback structures, and (5) the deepening of subject content and the appropriateness of resource 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peer-collaboration-based TPACK program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integration of content knowledge (CK), pedagogical knowledge (PK), and technological knowledge (TK) within authentic teaching contexts, and it can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enhanci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Bibliography: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ttp://dx.doi.org/10.21796/jse.2025.49.2.188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5.49.2.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