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IOU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외국인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분석 - 부산 관광지 무인발권기 중심으로

연구배경 관광지의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국인관광객은 언어·문화적 장벽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국내 관광지를 방문한 외국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 경험을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의 관광지 중 한 곳인 해운대를 대상으로 외국인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자 2025년 5월 13일부터 5월 14일까지 2일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외국인 12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88; pp. 327 - 338
Main Authors 진위안위안, Yuan-yuan Jin, 이지혜, Ji-hye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Cover

Abstract 연구배경 관광지의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국인관광객은 언어·문화적 장벽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국내 관광지를 방문한 외국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 경험을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의 관광지 중 한 곳인 해운대를 대상으로 외국인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자 2025년 5월 13일부터 5월 14일까지 2일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외국인 12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고, 4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현장 관찰 및 인터뷰 결과, 사용 과정의 페인포인트로 언어 설정의 시인성 부족, 정보 탐색 흐름의 불명확성, 결제 단계 번역 누락, 오류 시 피드백 부족의 인터페이스 요소가 주요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접근성과 시각적 안내의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소도 사용 혼란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직관적이고 포용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언어 접근성, 정보구조, 피드백 시스템, 물리적 안내 요소 전반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 행태를 기반으로 UX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Unmanned ticketing kiosks at tourist destinations are widely used as a contactless service to enhance convenience for visitors. However, foreign tourists often face difficulties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kiosk usage experience of foreign users visiting tourist sites in Korea and to propose user-centered design improvem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Haeundae,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in Busan. From May 13 to 14, 2025,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with 12 foreign users of the ticketing kiosk located in Haeundae Blueline Park.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6 foreign visitor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Result Findings from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dentified several key pain points in the user experience: low visibility of language selection, unclear information flow, missing translations during the payment process, and insufficient feedback when errors occurr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mited physical accessibility and a lack of clear visual guidance also contributed to user confusion. Conclusion To offer an intuitive and inclusive experience to foreign tourists, ticketing kiosks must improve in areas such as language accessibility, information structure, feedback mechanisms, and physical guidance elem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user experience (UX) enhancement by presenting actionable design directions based on real user behavior.
AbstractList 연구배경 관광지의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국인 관광객은 언어·문화적 장벽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국내 관광지를 방문한 외국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 경험을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의 관광지 중 한 곳인 해운대를 대상으로 외국인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자 2025년 5월 13일부터 5월 14일까지 2일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외국인 12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고, 4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현장 관찰 및 인터뷰 결과, 사용 과정의 페인포인트로 언어 설정의 시인성 부족, 정보 탐색 흐름의 불명확성, 결제 단계 번역 누락, 오류 시 피드백 부족의 인터페이스 요소가 주요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접근성과 시각적 안내의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소도 사용 혼란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직관적이고 포용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언어 접근성, 정보 구조, 피드백 시스템, 물리적 안내 요소 전반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 행태를 기반으로 UX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Unmanned ticketing kiosks at tourist destinations are widely used as a contactless service to enhance convenience for visitors. However, foreign tourists often face difficulties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kiosk usage experience of foreign users visiting tourist sites in Korea and to propose user-centered design improvem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Haeundae,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in Busan. From May 13 to 14, 2025,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with 12 foreign users of the ticketing kiosk located in Haeundae Blueline Park.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6 foreign visitor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Result Findings from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dentified several key pain points in the user experience: low visibility of language selection, unclear information flow, missing translations during the payment process, and insufficient feedback when errors occurr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mited physical accessibility and a lack of clear visual guidance also contributed to user confusion. Conclusion To offer an intuitive and inclusive experience to foreign tourists, ticketing kiosks must improve in areas such as language accessibility, information structure, feedback mechanisms, and physical guidance elem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user experience (UX) enhancement by presenting actionable design directions based on real user behavior. KCI Citation Count: 0
연구배경 관광지의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국인관광객은 언어·문화적 장벽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국내 관광지를 방문한 외국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 경험을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의 관광지 중 한 곳인 해운대를 대상으로 외국인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자 2025년 5월 13일부터 5월 14일까지 2일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외국인 12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고, 4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현장 관찰 및 인터뷰 결과, 사용 과정의 페인포인트로 언어 설정의 시인성 부족, 정보 탐색 흐름의 불명확성, 결제 단계 번역 누락, 오류 시 피드백 부족의 인터페이스 요소가 주요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접근성과 시각적 안내의 부족과 같은 환경적 요소도 사용 혼란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직관적이고 포용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언어 접근성, 정보구조, 피드백 시스템, 물리적 안내 요소 전반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 행태를 기반으로 UX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Unmanned ticketing kiosks at tourist destinations are widely used as a contactless service to enhance convenience for visitors. However, foreign tourists often face difficulties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kiosk usage experience of foreign users visiting tourist sites in Korea and to propose user-centered design improvem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Haeundae,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in Busan. From May 13 to 14, 2025,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with 12 foreign users of the ticketing kiosk located in Haeundae Blueline Park.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6 foreign visitor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Result Findings from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dentified several key pain points in the user experience: low visibility of language selection, unclear information flow, missing translations during the payment process, and insufficient feedback when errors occurr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mited physical accessibility and a lack of clear visual guidance also contributed to user confusion. Conclusion To offer an intuitive and inclusive experience to foreign tourists, ticketing kiosks must improve in areas such as language accessibility, information structure, feedback mechanisms, and physical guidance elem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user experience (UX) enhancement by presenting actionable design directions based on real user behavior.
Author Ji-hye Lee
Yuan-yuan Jin
이지혜
진위안위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진위안위안
– sequence: 2
  fullname: Yuan-yuan Jin
– sequence: 3
  fullname: 이지혜
– sequence: 4
  fullname: Ji-hye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279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0FLwmAch0cYZOYn6PKeg8G79323dzuKWAmCEHYem9tirDTcqZvJDlEdEoq0phQsIlggYeLBvtD233doZKfnd3h44LctFDrdjr0hFImsKiLjnBfyTSgVNYLlLaHs-66JGeNUJZQUhaBSqzePUXYfpC9XMA3g-Ta7jNO3FcrGITx9ZA8hgvEy-f6EyRImI5QNIhhFcB3lGoJBnDswvUPJ10_2OELpIoBggsR89GEwQ8m8n8yH8N5HaTzPC-ksTBa3yXKGIBrCTQzhKn0Nd4RNxzj17fI_S0Jrv9aqHoqN5kG9WmmIniwzkWjYVDSHc2qaTNWktqISRZMZtbCNuaHmXy3Lshll3KS242imrMgGMSRDphhzSkvC3jrb6Tm613b1ruH-8aSrez29ctSq6xLmjBHKcnl3LXuu7-vnPffM6F3oTNIwUyj9BeMskC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EIOU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외국인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분석 - 부산 관광지 무인발권기 중심으로
An Analysis of Foreign Users’ Kiosk Experience Using the AEIOU Framework - Focused on Unmanned Ticketing Kiosks at Tourist Attractions in Busan
EISSN 2586-4777
EndPage 33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44234
419046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54-290b69f773bb4891c68269543d0e07a8777ddde4347b3eff9b565a2a1a5300733
ISSN 2233-9205
IngestDate Wed Aug 27 05:03:08 EDT 2025
Thu Sep 11 02:10:2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4-290b69f773bb4891c68269543d0e07a8777ddde4347b3eff9b565a2a1a530073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2796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4234
kiss_primary_419046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825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8-2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5
  text: 20250825
  day: 2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9327843
Snippet 연구배경 관광지의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국인관광객은 언어·문화적 장벽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배경 관광지의 무인발권기 키오스크는 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비대면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국인 관광객은 언어·문화적 장벽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327
SubjectTerms AEIOU Framework
AEIOU 프레임워크
Kiosk
UX
디자인
키오스크
Title AEIOU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외국인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분석 - 부산 관광지 무인발권기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9046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2796
Volume 8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25, 30(3), 88, pp.327-33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586-4777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32
  issn: 2233-920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T15EqWL9IqBzWiL5mElmjkk2pRWqlxZ6W5JsIrLQytpePEgtexDtwYJiq9uisCLCCkVq6aH-P7I7-z_4Zia7TaVI6yU8Xt783pv3Jsl7SWZG0-6mLI3rlGDDdnPPwHHsGLHFcoPSjHjwiK87WMx3nnvgzizg-4tkcWz8d-mvpdWV5F767NR5Jf8TVeBBXMUs2XNEdgQKDKAhvnCECMPxTDH2o9mHCxUUVRGDlBCjKEC-iShFUYhYJDlABIiGQoZayA-lDEFBqJoxxEIp5COfSQ4BTkWyGAoAyUcBQX5VcqqSIwlGJQC1ka-00IKgviQKdRJJCJW1SOOYWZHgNgqqUrGnMAMUuIXlcGTVijFimgVYUDTFkiUJZolzvgccKQ76AlyyGQBM2VVfIimCKqRQGKwAaDC0FNorX1lAlzP4kZNKrgmE_xke9aykGPwwXbidTQtMGNKOCWl9-Q330HZcKXQXkSMQy1NY5WZCDR71XRpHhxYXL3NsIt5Oq4nf8vI7fxf8wolidKm-OLK5wlEDx4dTx48VyAcdg9mm0popHqGugb1iQx31KHPUmg1FVuSoNXhOLlj-VyJxYsnyRvq49mi51mjWoDCbrYn_fiFzx-PauGOJnUbmnkfD-77tMWqWylyMPfF1WnwAHBkLGRMUVE8hA1xq5qUMcP6SdrEo3XRfXYeXtbHG8qTWktegPnjb6n96yXdb_OPG4EW3_-VIH2y3-Ydvg3dtnW8f9n5-5zuHfGdLH6x3-FaHv-qAmM7XuyDDd9_ovR-_Bu-39P5Bi7d2dAOINb6-p_f213r7m_zrmt7v7gNCf6_dO9joHe7pvLPJX3d5-6j_uX1Fm5-O5sMZo9jZxGgQcV9kZuKy3POcJMGUWakLvWcEO3UzM71YLNFZh7QDO9hLnCzPWQJlV2zHVkwcucvqVW1iaXkpu6bpeRrnUFNQkiU5xjiJMSYss-ogntYtak5pk8JvtSdq7ZoahgIAu86Udgf8KIP0j2BdP5PUDe3C8VC-qU2sNFezW5CpryS3ZZj_ANRYxE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AEIOU+%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EB%A5%BC+%ED%99%9C%EC%9A%A9%ED%95%9C+%EC%99%B8%EA%B5%AD%EC%9D%B8%EC%9D%98+%ED%82%A4%EC%98%A4%EC%8A%A4%ED%81%AC+%EC%82%AC%EC%9A%A9%EC%9E%90+%EA%B2%BD%ED%97%98+%EB%B6%84%EC%84%9D+-+%EB%B6%80%EC%82%B0+%EA%B4%80%EA%B4%91%EC%A7%80+%EB%AC%B4%EC%9D%B8%EB%B0%9C%EA%B6%8C%EA%B8%B0+%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2C+30%283%29&rft.au=%EC%A7%84+%EC%9C%84%EC%95%88+%EC%9C%84%EC%95%88&rft.au=%EC%9D%B4%EC%A7%80%ED%98%9C&rft.date=2025-08-25&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eissn=2586-4777&rft.spage=327&rft.epage=33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4423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