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문화: 개혁주의 신앙윤리의 해석학
그리스도인들은 문화에 대해 어떤 관점을 지녀야 하는가? 리차드 니버는 지난 역사 속에서 기독교 인물들의 문화관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그 가운데 자신만의 확신을 가지고서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문화관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니버의 주장은 포스트모던의 다원주의 세계관을 표방하고 있다. 니버에게 문화를 해석하고 실천하는 주체는 책임있는 인간이며, 문화 해석권은 인간의 결정에 귀속되며, 따라서 문화에 대한 가장 타당한 해석학적 관점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기독교 문화관들에 대한 그의 해석에는 다양한 오류가 발견된다....
Saved in:
Published in | Yeogsa sinhag nonchong Vol. 45; pp. 117 - 15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7593 2671-5783 |
DOI | 10.26427/JHT.45.4 |
Cover
Summary: | 그리스도인들은 문화에 대해 어떤 관점을 지녀야 하는가? 리차드 니버는 지난 역사 속에서 기독교 인물들의 문화관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그 가운데 자신만의 확신을 가지고서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문화관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니버의 주장은 포스트모던의 다원주의 세계관을 표방하고 있다. 니버에게 문화를 해석하고 실천하는 주체는 책임있는 인간이며, 문화 해석권은 인간의 결정에 귀속되며, 따라서 문화에 대한 가장 타당한 해석학적 관점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기독교 문화관들에 대한 그의 해석에는 다양한 오류가 발견된다.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 본고는 개혁주의 신앙윤리의 해석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참된 문화는 도덕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인간의 도덕적 의무와 생활은 그리스도의 계시에 토대를 둔다. 테르툴리아누스로부터 시작하여 칼빈주의에 이르기까지 개혁신앙을 가졌던 이들은 세상의 우상숭배 및 인간성을 저버린 불건전하고 비도덕적인 문화의 생명줄을 끊고, 보다 참되고 건전한 사회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세속 문화가 하나님의 계시에 기초하지 않을 때, 개혁주의 신앙윤리는 그러한 문화를 반대한다. 왜냐하면, 기독교와 문화 사이의 대립은 기독교 신앙과 화해할 수 없는 영역, 계시의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계시에 입각한 문화여야만 참된 문화의 회복과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개혁주의 신앙윤리의 해석학적 적용을 결혼의 원리와 직업의 목적을 통해 살펴보았다. 하나님의형상대로 지음받은 인간은 도덕적 존재로서 결혼을 통해 문화를 창조하고 발전시켜야 할 소명을 부여받았다. 더 나아가 결혼과 가정에 주어진 도덕적 의무는 직업의 소명과 목적을 통해 확대된다. 인간은 다양한 직업, 신분, 지위를 통하여 공공선을 창출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개혁주의 신앙윤리는 문화의 목적을 도덕에서 찾고, 도덕의 원리를 계시에서 발견함으로써, 참된 기독교 문화를 창조하고 발전시켰다.
What Perspective Should Christians Have on Culture? Richard Niebuhr classifies the views on culture held by Christian figures throughout history into five types, arguing that individuals must decide, with personal conviction, which cultural perspective is most appropriate. However, Niebuhr’s argument aligns with the pluralistic worldview of postmodernism. In his view, the subject responsible for interpreting and practicing culture is the individual, and the authority to interpret culture belongs to human decisions. Therefore, no single, most valid hermeneutical perspective on culture exists. Additionally, various errors can be found in Niebuhr’s interpretation of Christian views on cultur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this paper presents a hermeneutical perspective grounded in Reformed ethics. True culture is closely tied to morality, and human moral obligations and life must be founded upon Christ's revelation. From Tertullian to Calvinism, figures rooted in Reformed faith have sought to cut off the lifeline of idolatrous and immoral culture that denies human dignity and instead aimed to create a more true and wholesome social culture. Reformed ethics oppose secular culture, when it is not based on God’s revelation. This opposition arises because the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occurs within the realm of revelation-an area incompatible with non-Christian beliefs. Only a culture grounded in revelation can be considered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true culture.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of Reformed ethics to the principles of marriage and the purpose of vocation. Human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re called to create and develop culture through marriage as moral beings. Furthermore, the moral obligations given within marriage and family extend through the calling and purpose of work. Individuals are called to contribute to the common good through various professions, statuses, and roles. In conclusion, Reformed ethics identify the purpose of culture in morality and discover the principles of morality in revelation, thus creating and advancing true Christian culture. |
---|---|
Bibliography: | Korea Evangelical Historical-Theological Society |
ISSN: | 1229-7593 2671-5783 |
DOI: | 10.26427/JHT.4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