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 도제식 교육과 교리 학교, 그리고 수도원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와 양태에 대한 연구로서 초대 교회에서 형성된 신학 교육의 구체적 방식과 목적을 탐구한다. 고대에는 성직자 양성을 위한 공식적인 교육 기관과 프로그램은 부재했으나, 신앙적 가르침과 전수가 세 가지의 구체적 방식, 즉 도제식 교육과 교리학교, 그리고 학문적 수도공동체의 방식을 통해 실행되었음을 주장하고 논증하고자 한다. 우선 도제식 교육은 스승과 소수의 제자들 사이에서 형성된 깊은 인격적 관계를 통해 신학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심플리키아누스(Simplicianus)와 암브로시우스(Ambr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Yeogsa sinhag nonchong Vol. 45; pp. 9 - 39
Main Authors 김풍룡, Pung Ryo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7593
2671-5783
DOI10.26427/JHT.45.1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와 양태에 대한 연구로서 초대 교회에서 형성된 신학 교육의 구체적 방식과 목적을 탐구한다. 고대에는 성직자 양성을 위한 공식적인 교육 기관과 프로그램은 부재했으나, 신앙적 가르침과 전수가 세 가지의 구체적 방식, 즉 도제식 교육과 교리학교, 그리고 학문적 수도공동체의 방식을 통해 실행되었음을 주장하고 논증하고자 한다. 우선 도제식 교육은 스승과 소수의 제자들 사이에서 형성된 깊은 인격적 관계를 통해 신학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심플리키아누스(Simplicianus)와 암브로시우스(Ambrose),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또한 고대에는 오리게네스(Origen)가 알렉산드리아와 카이사레아에 세운 교리 학교를 통해 신학 교육이 실행되기도 한다. 오리게네스는 교리 학교의 교육적 비전과 모범을 제시하며, 신학과 철학,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복음적 삶이라는 세 요소를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가르치고자 노력했다. 비록 교리 학교가 신학생 양성의 목적으로 설립된 것은 아니었지만, 높은 수준의 신학 교육을 제공했으며, 기적자 그레고리우스(Gregory Thaumaturgus)와 같은 목회자들을 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운 수도원의 신학 및 목회 교육에 대하여도 살펴볼 것이다. 4세기 북아프리카에서 운영된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원은 성경을 바탕으로 신학과 목회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였으며, 육체노동과 사랑을 실천하는 장이기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적 수도원은 지역 교회나 사회와 단절된 채 개인 경건에만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잘 교육된 사역자들을 배출함으로써 교회 공동체를 적극적으로 섬기는 데 힘썼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istory and forms of ancient Christian theological education, exploring the specific methods and purposes of theological training developed in the early church. In ancient times, there were n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or programs for clergy training; however, the teaching and transmission of faith were carried out through three primary methods: mentorship, catechetical schools, and academic monastic communities. First, mentorship was conducted through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a master and a small number of disciples, as illustrated by the cases of Simplicianus, Ambrose, and Augustine. Additionally, theological education was pursued through the catechetical schools established by Origen in Alexandria and Caesarea. Origen presented an educational vision and model for these schools, aiming to teach students the integrated elements of theology, philosophy, and the evangelical life of believers. Although catechetical schools were not founded with the primary purpose of training seminarians, they provided high-quality theological education and produced clergy such as Gregory Thaumaturgu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pastoral education within the monastic communities es-tablished by Augustine. Augustine’s North African monasteries in the 4th century provided biblically based theological and pastoral training while also serving as places where physical labor and love were practiced. These monasteries did not focus solely on individual piety in isolation from local churches or society; rather, they produced well-educated ministers who actively served the church community.
AbstractList 본 논문은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와 양태에 대한 연구로서 초대 교회에서 형성된 신학 교육의 구체적 방식과 목적을 탐구한다. 고대에는 성직자 양성을 위한 공식적인 교육 기관과 프로그램은 부재했으나, 신앙적 가르침과 전수가 세 가지의 구체적 방식, 즉 도제식 교육과 교리학교, 그리고 학문적 수도공동체의 방식을 통해 실행되었음을 주장하고논증하고자 한다. 우선 도제식 교육은 스승과 소수의 제자들 사이에서형성된 깊은 인격적 관계를 통해 신학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심플리키아누스(Simplicianus)와 암브로시우스(Ambrose),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또한 고대에는 오리게네스(Origen)가 알렉산드리아와 카이사레아에 세운 교리 학교를 통해 신학 교육이 실행되기도 한다. 오리게네스는 교리 학교의 교육적 비전과모범을 제시하며, 신학과 철학,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복음적 삶이라는세 요소를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가르치고자 노력했다. 비록 교리 학교가 신학생 양성의 목적으로 설립된 것은 아니었지만, 높은 수준의 신학 교육을 제공했으며, 기적자 그레고리우스(Gregory Thaumaturgus)와같은 목회자들을 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운 수도원의 신학 및 목회 교육에 대하여도 살펴볼 것이다. 4 세기 북아프리카에서 운영된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원은 성경을 바탕으로 신학과 목회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였으며, 육체노동과 사랑을 실천하는 장이기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적 수도원은 지역 교회나 사회와단절된 채 개인 경건에만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잘 교육된 사역자들을배출함으로써 교회 공동체를 적극적으로 섬기는 데 힘썼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istory and forms of ancient Christian theological education, exploring the specific methods and purposes of theological training developed in the early church. In ancient times, there were n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or programs for clergy training; however, the teaching and transmission of faith were carried out through three primary methods: mentorship, catechetical schools, and academic monastic communities. First, mentorship was conducted through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a master and a small number of disciples, as illustrated by the cases of Simplicianus, Ambrose, and Augustine. Additionally, theological education was pursued through the catechetical schools established by Origen in Alexandria and Caesarea. Origen presented an educational vision and model for these schools, aiming to teach students the integrated elements of theology, philosophy, and the evangelical life of believers. Although catechetical schools were not founded with the primary purpose of training seminarians, they provided high-quality theological education and produced clergy such as Gregory Thaumaturgu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pastoral education within the monastic communities established by Augustine. Augustine’s North African monasteries in the 4th century provided biblically based theological and pastoral training while also serving as places where physical labor and love were practiced. These monasteries did not focus solely on individual piety in isolation from local churches or society; rather, they produced well-educated ministers who actively served the church community. KCI Citation Count: 0
본 논문은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와 양태에 대한 연구로서 초대 교회에서 형성된 신학 교육의 구체적 방식과 목적을 탐구한다. 고대에는 성직자 양성을 위한 공식적인 교육 기관과 프로그램은 부재했으나, 신앙적 가르침과 전수가 세 가지의 구체적 방식, 즉 도제식 교육과 교리학교, 그리고 학문적 수도공동체의 방식을 통해 실행되었음을 주장하고 논증하고자 한다. 우선 도제식 교육은 스승과 소수의 제자들 사이에서 형성된 깊은 인격적 관계를 통해 신학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심플리키아누스(Simplicianus)와 암브로시우스(Ambrose),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또한 고대에는 오리게네스(Origen)가 알렉산드리아와 카이사레아에 세운 교리 학교를 통해 신학 교육이 실행되기도 한다. 오리게네스는 교리 학교의 교육적 비전과 모범을 제시하며, 신학과 철학,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복음적 삶이라는 세 요소를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가르치고자 노력했다. 비록 교리 학교가 신학생 양성의 목적으로 설립된 것은 아니었지만, 높은 수준의 신학 교육을 제공했으며, 기적자 그레고리우스(Gregory Thaumaturgus)와 같은 목회자들을 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운 수도원의 신학 및 목회 교육에 대하여도 살펴볼 것이다. 4세기 북아프리카에서 운영된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원은 성경을 바탕으로 신학과 목회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였으며, 육체노동과 사랑을 실천하는 장이기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적 수도원은 지역 교회나 사회와 단절된 채 개인 경건에만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잘 교육된 사역자들을 배출함으로써 교회 공동체를 적극적으로 섬기는 데 힘썼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istory and forms of ancient Christian theological education, exploring the specific methods and purposes of theological training developed in the early church. In ancient times, there were n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or programs for clergy training; however, the teaching and transmission of faith were carried out through three primary methods: mentorship, catechetical schools, and academic monastic communities. First, mentorship was conducted through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a master and a small number of disciples, as illustrated by the cases of Simplicianus, Ambrose, and Augustine. Additionally, theological education was pursued through the catechetical schools established by Origen in Alexandria and Caesarea. Origen presented an educational vision and model for these schools, aiming to teach students the integrated elements of theology, philosophy, and the evangelical life of believers. Although catechetical schools were not founded with the primary purpose of training seminarians, they provided high-quality theological education and produced clergy such as Gregory Thaumaturgu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pastoral education within the monastic communities es-tablished by Augustine. Augustine’s North African monasteries in the 4th century provided biblically based theological and pastoral training while also serving as places where physical labor and love were practiced. These monasteries did not focus solely on individual piety in isolation from local churches or society; rather, they produced well-educated ministers who actively served the church community.
Author 김풍룡
Pung Ryong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풍룡
– sequence: 2
  fullname: Pung Ryong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689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9Lw1AUxR-iYK0dnF3eLKbm_cvLcytFbaUgSPaQpKnEaFuSyU2kglChdRArptCCOFUQitihnyh5fgdfbe9yzr33d84WWG-2mj4AO0gvYoNifnBasYqUFdEayGGDI41xk6yDHMJYaJwJsgkKcXypq-FUJybNgXY6HWWPtzCdfWW9-_S7D2V39Pv8CpWVyVgOB1C-fMq7ySHMeh05SmR3uPql0_nCZR8TqALK7cP0Z6ZWVQnlw2DBv_XlsAPl-5PsTmQyz8bJNthoOFexX1hpHljHR1a5otXOTqrlUk0LGcOagbyGMKlZ90yKBOJm3VUnxDlyDcIb1DccnTDsmtRRmPCRqBumcAXTPY8R1yd5sLesbUYNO_QCu-UE_3rRssPILp1bVRvpBqeMYwXvLuEwiGO7HQXXTnRjU0SFAsgfq_CHV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6427/JHT.45.1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Religion
DocumentTitleAlternate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 도제식 교육과 교리 학교, 그리고 수도원을 중심으로
Foundations of Ancient Christian Theological Education: An Examination of Mentorship, Catechetical Schools, and Monastic Traditions
EISSN 2671-5783
EndPage 3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74572
4149674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52-61cf9848dc8419178db61c1771b637f4e6a0352b84a9849e19d689b950cc53be3
ISSN 1229-7593
IngestDate Sun Jul 20 03:11:08 EDT 2025
Thu Jul 03 04:25:00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2-61cf9848dc8419178db61c1771b637f4e6a0352b84a9849e19d689b950cc53be3
Notes Korea Evangelical Historical-Theological Society
PageCount 3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74572
kiss_primary_414967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4
  text: 202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Yeogsa sinhag nonchong
PublicationTitleAlternate 역사신학 논총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SSID ssj0000740384
ssib044765185
ssib017603804
ssib001149743
Score 1.9074037
Snippet 본 논문은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와 양태에 대한 연구로서 초대 교회에서 형성된 신학 교육의 구체적 방식과 목적을 탐구한다. 고대에는 성직자 양성을 위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9
SubjectTerms Ancient Christian Theological Education
Catechetical Schools
Mentorship-based Theological Education
Monastic Theological Education
고대 기독교의 신학 교육
교리 학교
기독교신학
도제식 신학 교육
수도원의 신학 교육
Title 고대 기독교 신학 교육의 역사: 도제식 교육과 교리 학교, 그리고 수도원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4967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6891
Volume 4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역사신학논총, 2024, 45(0), , pp.9-39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5783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65185
  issn: 1229-7593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6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QVxIuoVaxfBHROa-ommcnMeEuyW2qlelmhnkI-17K4W_px0IOIVBAqtB7EiltoQTxVEIrYQ3_RbvwPvpkkm4h7UC_Zt--9eXlv3izvzezMG0W5xQIa6aYea36kEw1DgNV4bDHNSqgZGTiJLXlubfGBNf8ILyyRpYnJh5VdSxvrwWz4fOy5kv_xKuDAr-KU7D94diQUEACDf-EJHobnX_kYNW3kmMiuo6aDmItYvSZRDDkZag4xIjEEcUEDFkeyNxAHFK-NiILGXWTrEgAyk-ycIrsh2xnIdsXyQSEXCyyIgkaZWN4YK01q6LhVGqhggbTaSI2SZuSMVBhRMI7MzCxgoNxvWnCneGUDMJLJxojrhb1uro7jSpE6wNWc_HHca6_5tbXl7hO_Xev2uhAR8ngOI1G-nIsNIUJbA7GGFALqlGFlQ2xhfCZubbq__LS6jmKMqjXmI78w2c1NtqU00UOkMEBqa5tS29wVYzzxhyslYEPzSpgxDK5Rkt0NWcQhTCqBhI8Lb5C8GuIf9oX51iwms3oZw0c7KzHMeC2KJ5VTBoQ5cZfJ4otmmR8DlZb113Rq1U1WzscxphYpihnJVIZiYJA7MwqNs-pcUpM7hR6QzsBsZw3Ss-5qUknPWueUs_m8SrWzH8l5ZaLTu6CcLjbcTysrg6P94duX6uD423D79eD7jppu7f98_1EFMO0fpHu7avrha_rq8K463N5M9_vp1l5OGxydCGj45VCFBgDdVgc_juEriFTTN7uC_9NOureppp_fpVuHaf9keNC_qLTmmi13XstvG9E6hBiapYcJZ5hFIcNiDYNFAaB0SvXAMmmCY8sXpYMDhn1g47HOI4vxgJN6GBIziM1LyhSM0PiyogZJTEMjwFYU-1inph9SE_L02OAk0UmMZ5Rp0V3eSlZPxst9NqPchO7zOuGyJ2q-i892z-usejCzveeJUo-YUOPK-MZXlTPloL6mTK2vbsTXIV1eD27IIfALHXOhT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A0%EB%8C%80+%EA%B8%B0%EB%8F%85%EA%B5%90+%EC%8B%A0%ED%95%99+%EA%B5%90%EC%9C%A1%EC%9D%98+%EC%97%AD%EC%82%AC%3A+%EB%8F%84%EC%A0%9C%EC%8B%9D+%EA%B5%90%EC%9C%A1%EA%B3%BC+%EA%B5%90%EB%A6%AC+%ED%95%99%EA%B5%90%2C+%EA%B7%B8%EB%A6%AC%EA%B3%A0+%EC%88%98%EB%8F%84%EC%9B%90%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Yeogsa+sinhag+nonchong&rft.au=%EA%B9%80%ED%92%8D%EB%A3%A1&rft.au=Pung+Ryong+Kim&rft.date=2024-12-31&rft.pub=%ED%95%9C%EA%B5%AD%EB%B3%B5%EC%9D%8C%EC%A3%BC%EC%9D%98%EC%97%AD%EC%82%AC%EC%8B%A0%ED%95%99%ED%9A%8C&rft.issn=1229-7593&rft.volume=45&rft.spage=9&rft_id=info:doi/10.26427%2FJHT.45.1&rft.externalDocID=414967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759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759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759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