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디저트 전문점의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에 관한 연구 -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배경 국내 커피 전문점은 10만 개를 넘어섰고, 이중 다수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점포이다. 선택적 소비품목에서 소비자는 품질을 넘어서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며, 커피·디저트 업계도 브랜드 공간과 체험 요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반응이 높은 소상공인 사례를 통해 브랜드 공간 구성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첫째,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커피·디저트 업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브랜드 공간변화 양상을 논의한다. 둘째,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87; pp. 93 - 104
Main Authors 홍보람, Bo-ram Hong, 김시연, Si-ye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Cover

Abstract 연구배경 국내 커피 전문점은 10만 개를 넘어섰고, 이중 다수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점포이다. 선택적 소비품목에서 소비자는 품질을 넘어서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며, 커피·디저트 업계도 브랜드 공간과 체험 요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반응이 높은 소상공인 사례를 통해 브랜드 공간 구성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첫째,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커피·디저트 업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브랜드 공간변화 양상을 논의한다. 둘째,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을 도출하고 사례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셋째, 선정 된 5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를 조사한다. 연구결과 사례분석 결과, 브랜드 공간 요소의 표현정도 순위는 매력성, 조화성, 전체성, 상징성, 정보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점포들은 소비자에게 일상에서 벗어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매력성을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는 제품 외관, 공간적 환경, 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인적 요소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품 외관은 브랜드의 정체성을 가장 일관되게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소상공인, 종소기업의 커피·디저트 브랜드 공간에서 매력성과 공간적 환경의 중요성, 제품외관과 공간 아이덴티티의 일관성 확보, 그리고 정보성과 인적요소의 보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공간이 일관된 정체성을 유지하려면 제품과 공간이 하나의 통합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공간적 환경과 아이덴티티의 연결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In Korea, the number of coffee shops has surpassed 100,000, with a large proportion operated by small businesses and SMEs. As consumers increasingly prioritize experience and value over product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key components of brand space and experience providers based on successful small business cases.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ffee and dessert industry among small businesses and SMEs, and discusses the changes in their brand spaces. Second, it deriv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 through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ase analysis. Third, it investigates the expression intensity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 by analyzing five selected cases. Result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expression intensity of brand space elements was ranked as follows: attractiveness, harmony, wholeness, symbolism, and informativeness. The analyzed coffee and dessert shops mainly emphasized attractiveness as a key element to provide consumers with differentiated experiences from their daily lives. For experience providers, the expression intensity followed the order of product appearance, spatial environment, identity, communication, and human factors. Notably, product appearance played a crucial role in consistently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ttractiveness and spatial environment in the brand spac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ffee and dessert businesses. It also identifies the need to ensure consistency between product appearance and spatial identity, while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informativeness and human interaction. For a brand space to maintain a coherent identity, it must offer an integrated brand experience where products and physical space work together, emphasizing the strategic ne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patial environment and brand identity.
AbstractList 연구배경 국내 커피 전문점은 10만 개를 넘어섰고, 이중 다수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점포이다. 선택적 소비품목에서 소비자는 품질을 넘어서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며, 커피·디저트 업계도 브랜드 공간과 체험 요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반응이 높은 소상공인 사례를 통해 브랜드 공간 구성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첫째,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커피·디저트 업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브랜드 공간변화 양상을 논의한다. 둘째,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을 도출하고 사례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셋째, 선정 된 5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를 조사한다. 연구결과 사례분석 결과, 브랜드 공간 요소의 표현정도 순위는 매력성, 조화성, 전체성, 상징성, 정보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점포들은 소비자에게 일상에서 벗어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매력성을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는 제품 외관, 공간적 환경, 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인적 요소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품 외관은 브랜드의 정체성을 가장 일관되게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소상공인, 종소기업의 커피·디저트 브랜드 공간에서 매력성과 공간적 환경의 중요성, 제품외관과 공간 아이덴티티의 일관성 확보, 그리고 정보성과 인적요소의 보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공간이 일관된 정체성을 유지하려면 제품과 공간이 하나의 통합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공간적 환경과 아이덴티티의 연결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In Korea, the number of coffee shops has surpassed 100,000, with a large proportion operated by small businesses and SMEs. As consumers increasingly prioritize experience and value over product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key components of brand space and experience providers based on successful small business cases.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ffee and dessert industry among small businesses and SMEs, and discusses the changes in their brand spaces. Second, it deriv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 through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ase analysis. Third, it investigates the expression intensity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 by analyzing five selected cases. Result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expression intensity of brand space elements was ranked as follows: attractiveness, harmony, wholeness, symbolism, and informativeness. The analyzed coffee and dessert shops mainly emphasized attractiveness as a key element to provide consumers with differentiated experiences from their daily lives. For experience providers, the expression intensity followed the order of product appearance, spatial environment, identity, communication, and human factors. Notably, product appearance played a crucial role in consistently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ttractiveness and spatial environment in the brand spac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ffee and dessert businesses. It also identifies the need to ensure consistency between product appearance and spatial identity, while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informativeness and human interaction. For a brand space to maintain a coherent identity, it must offer an integrated brand experience where products and physical space work together, emphasizing the strategic ne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patial environment and brand identity.
연구배경 국내 커피 전문점은 10만 개를 넘어섰고, 이 중 다수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점포이다. 선택적 소비 품목에서 소비자는 품질을 넘어서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며, 커피·디저트 업계도 브랜드 공간과 체험 요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반응이 높은 소상공인 사례를 통해 브랜드 공간 구성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첫째,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커피·디저트 업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브랜드 공간 변화 양상을 논의한다. 둘째,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특징을 도출하고 사례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셋째, 선정 된 5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를 조사한다. 연구결과 사례분석 결과, 브랜드 공간 요소의 표현정도 순위는 매력성, 조화성, 전체성, 상징성, 정보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점포들은 소비자에게 일상에서 벗어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매력성을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는 제품 외관, 공간적 환경, 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인적 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품 외관은 브랜드의 정체성을 가장 일관되게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소상공인, 종소기업의 커피·디저트 브랜드 공간에서 매력성과 공간적 환경의 중요성, 제품외관과 공간 아이덴티티의 일관성 확보, 그리고 정보성과 인적요소의 보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공간이 일관된 정체성을 유지하려면 제품과 공간이 하나의 통합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공간적 환경과 아이덴티티의 연결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In Korea, the number of coffee shops has surpassed 100,000, with a large proportion operated by small businesses and SMEs. As consumers increasingly prioritize experience and value over product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key components of brand space and experience providers based on successful small business cases.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ffee and dessert industry among small businesses and SMEs, and discusses the changes in their brand spaces. Second, it deriv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 through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ase analysis. Third, it investigates the expression intensity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 by analyzing five selected cases. Result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expression intensity of brand space elements was ranked as follows: attractiveness, harmony, wholeness, symbolism, and informativeness. The analyzed coffee and dessert shops mainly emphasized attractiveness as a key element to provide consumers with differentiated experiences from their daily lives. For experience providers, the expression intensity followed the order of product appearance, spatial environment, identity, communication, and human factors. Notably, product appearance played a crucial role in consistently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ttractiveness and spatial environment in the brand spac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ffee and dessert businesses. It also identifies the need to ensure consistency between product appearance and spatial identity, while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informativeness and human interaction. For a brand space to maintain a coherent identity, it must offer an integrated brand experience where products and physical space work together, emphasizing the strategic ne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patial environment and brand identity. KCI Citation Count: 0
Author 홍보람
김시연
Si-yeun Kim
Bo-ram Ho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홍보람
– sequence: 2
  fullname: Bo-ram Hong
– sequence: 3
  fullname: 김시연
– sequence: 4
  fullname: Si-yeun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375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E1LAlEUhocoyMxf0Oauo4Hx3rlznaVIH4IQhPvhemeMwdJwVu2MpogUUlK0GMPARQsXUkoDuernzJz5D43a6j3nPc9zdqTNaq1qbUgJTDOarDLGNuMZEyLrWKHbUspx7JKiqoxkMMEJyYOfcdRd_H6H3S6MGtGjj2DkhhMfRm0YDlDot8I3L3z2UPA1D6Yugtcu3LfgpYHgcxb1BzHuxScED4Ow-bFUoo4XDVwY9cInF_ptFMwaUc9D0J8G8wmS0VK_vYkdGPoHCMaduAj8KfTvYOiu9uYEvEX47u1KW2V-4Vip_0xKxaPDYu5ELpwe53PZglyhVJGFJnRqKUKoaWxyoWMNY1PRSqrGmCmI4IJmLEp0Yooy0RinXKNmiVPF1AjXqUKS0v76bbVeNirCNmrcXuV5zajUjexZMW-kFZYmbAXvreGK7TjGVd2-5PVrQ00zgikmfyHOoh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Journal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커피·디저트 전문점의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에 관한 연구 -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Brand Space Elements and Experience Providers(ExPros) in Coffee and Dessert Shops - Focus on Small Businesses and SMEs
EISSN 2586-4777
EndPage 10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13750
4173252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50-c6c95e0cc412dac92622d06b4677dc3cac58e5393dcf367a5a65dba50d63a9503
ISSN 2233-9205
IngestDate Tue May 27 03:25:03 EDT 2025
Thu Aug 21 02:14:07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0-c6c95e0cc412dac92622d06b4677dc3cac58e5393dcf367a5a65dba50d63a950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3758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13750
kiss_primary_417325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525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5-2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5
  text: 20250525
  day: 2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9247614
Snippet 연구배경 국내 커피 전문점은 10만 개를 넘어섰고, 이중 다수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점포이다. 선택적 소비품목에서 소비자는 품질을 넘어서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며,...
연구배경 국내 커피 전문점은 10만 개를 넘어섰고, 이 중 다수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점포이다. 선택적 소비 품목에서 소비자는 품질을 넘어서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며,...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93
SubjectTerms Brand space
Experience Providers(Expros)
SMEs coffee and dessert brands
디자인
브랜드 공간
체험 제공 수단
커피·디저트 중소기업 브랜드
Title 커피·디저트 전문점의 브랜드 공간 요소와 체험 제공 수단의 표현정도에 관한 연구 -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7325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3758
Volume 8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25, 30(2), 87, pp.93-10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586-4777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32
  issn: 2233-920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NSevIhSxfpFQHNaI9kkk8wcN-kuVdFThd6WbDYrZemurO1BD1JxFbEFW9yyq6SyQg8eeija4oI9-XM2s7_Ai-9NstlUerBCSCbva968lzDvTWYmknRLz3sValchybFqpmpSr6KymljG5fk1D1gCsb7iwUNr_pF5b5EsTp35nZm1tLpSueM_P3Fdyf94FWDgV1wlewrPpkIBAGXwL5zBw3D-Jx8rRVdxHKVgKsU5hZmK4yqurji2UnTwFg4gKGg4mwEIaEFxaG4MMpGoAPw0gTANCwwEIZGDCOoKSUWFxQUDCoADOYbiEFFASUImKyT1UUvwAYRBxQLngFKxjnYsPa7QTUUJEKWAxHooKEazysAlL8jxXqgeCyCCupRAULgWq2cmTQYKobFAgq6II9DqnJo7pio1IKLONExUDQbQY2YwMCgwYUBDCnFCLh0zJJaYUAsDI85F16C9sRnZfCBVcqza3DHfoem1iTroxJKQCTQlxUlHuIUYMLfgxjaYieNoSuI01Za3nJtvJqGK4II6mTCVUJa5qaXSgbcl9Vmw2sjdX1rOjg_pBKc2xGvJxRt9-nYIG6JJtPFjZoxdTLAtWCiM9Rc9FYSYhsp0jWS71SSOivvF-C-Yf-1sbuZtQycQP52BTgdn3b4ojrsC3WZUy2S-pmnjB2v8JphWBkEU5FhPIShstGqZoHDhvHQuyebkQvxqXpCm6s0ZKeQ_d0edo18_ok6H99dG7wYy77ejvQHvb_KdnhwNNqLPYfQhlIffD4f7bZl_6vA3G_zjmsy_HYy6PSAPASXzt71o_SuyjLbCUa_N-9vR-zbvbsrDg7XRdijz7v7wcE9WZWR_9RJ4-M7gtsx3twAwHOzz7mu-0xb363s8PIq-hBelhVJxwZ1Xk5-gqHVCNNW3fEYCzffNvF71fNzdU69qVgXiG7vqG77nExoQgxlVv2ZYtkc8i1QrHtGqluExohmXpOlGsxFclmQr0H3I3kzb86mpBzWmVYnOaJCvMeikK96sNIP2LD-Jt7kpJ-6ZlW6Cfct1f6mMW9Hj9XGzXG-VIeG-W87jKBdkHVdOZr4qnZ08k9ek6ZXWanAdoviVyg3h7z8szdJD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B%A4%ED%94%BC%C2%B7%EB%94%94%EC%A0%80%ED%8A%B8+%EC%A0%84%EB%AC%B8%EC%A0%90%EC%9D%98+%EB%B8%8C%EB%9E%9C%EB%93%9C+%EA%B3%B5%EA%B0%84+%EC%9A%94%EC%86%8C%EC%99%80+%EC%B2%B4%ED%97%98+%EC%A0%9C%EA%B3%B5+%EC%88%98%EB%8B%A8%EC%9D%98+%ED%91%9C%ED%98%84%EC%A0%95%EB%8F%84%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EC%86%8C%EC%83%81%EA%B3%B5%EC%9D%B8%2C+%EC%A4%91%EC%86%8C%EA%B8%B0%EC%97%85%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rft.au=%ED%99%8D%EB%B3%B4%EB%9E%8C&rft.au=Bo-ram+Hong&rft.au=%EA%B9%80%EC%8B%9C%EC%97%B0&rft.au=Si-yeun+Kim&rft.date=2025-05-25&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volume=87&rft.spage=93&rft.externalDocID=417325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