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여성, 왜 직장을 그만두는가
이 논문은 여성의 고용지위 변동을 생애사건과 그에 수반되는 성역할 책임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규정하고 설명해온 기존 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다르게 질문함으로써 여성들이 처한 현실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분석하였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생애사건, 가족돌봄, 경영악화, 근로조건, 노동환경, 적극탈출, 기타 등 7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당시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여성의 연령대, 학력, 경력단...
Saved in:
Published in | 여성학연구 Vol. 28; no. 1; pp. 251 - 28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30.04.2018
여성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50X 2713-7538 |
DOI | 10.22772/pnujws.28.1.201804.251 |
Cover
Abstract | 이 논문은 여성의 고용지위 변동을 생애사건과 그에 수반되는 성역할 책임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규정하고 설명해온 기존 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다르게 질문함으로써 여성들이 처한 현실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분석하였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생애사건, 가족돌봄, 경영악화, 근로조건, 노동환경, 적극탈출, 기타 등 7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당시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여성의 연령대, 학력, 경력단절 기간, 당시 고용형태, 당시 배우자 유무, 당시 자녀 유무, 당시 사업장 규모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단절 기간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근로조건’에 해당하는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사업장 규모에 따라 세부 사유를 분석한 결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했던 여성은 ‘낮은 임금’을, 대규모 사업장에서 일했던 여성은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논문은 경력단절에 대한 그간의 질문 방식으로 인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등이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로 과잉 대표되면서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별을 개선하려는 동력이 오히려 약화된 것은 아닌지 질문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생애사건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경력단절로 상징되는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퇴장 문제를 보다 포괄적인 구조에 위치시키고 불평등한 성별관계와 여성 내부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는 문제 설정이 시급하고 절실하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argument that a change in the employment status of women is defined as career interruption caused by life event and responsibility of gender role that comes with it. The paper is also aimed at approaching the reality women faces by differently asking the reason why they quit their jobs. To this end, the survey conducted on women in their 30s and 40s living in Seoul was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reasons for quitting the job had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ages, level of education,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employment status at the time of quitting, whether they had a spouse or children and the size of the company. In all variants except for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reasons falling in the category of ‘working condi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for leaving their workplace. Reasons behind quitting the job were analyzed in more details by the size of their workplace. Women who worked at a small sized company quit their job mostly due to ‘low wage’ and those who worked at a large company left their workplace mainly due to ‘expiration of contract’. |
---|---|
AbstractList | 이 논문은 여성의 고용지위 변동을 생애사건과 그에 수반되는 성역할 책임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규정하고 설명해온 기존 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다르게 질문함으로써 여성들이 처한 현실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분석하였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생애사건, 가족돌봄, 경영악화, 근로조건, 노동환경, 적극탈출, 기타 등 7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당시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여성의 연령대, 학력, 경력단절 기간, 당시 고용형태, 당시 배우자 유무, 당시 자녀 유무, 당시 사업장 규모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단절 기간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근로조건’에 해당하는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사업장 규모에 따라 세부 사유를 분석한 결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했던 여성은 ‘낮은 임금’을, 대규모 사업장에서 일했던 여성은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논문은 경력단절에 대한 그간의 질문 방식으로 인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등이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로 과잉 대표되면서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별을 개선하려는 동력이 오히려 약화된 것은 아닌지 질문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생애사건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경력단절로 상징되는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퇴장 문제를 보다 포괄적인 구조에 위치시키고 불평등한 성별관계와 여성 내부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는 문제 설정이 시급하고 절실하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argument that a change in the employment status of women is defined as career interruption caused by life event and responsibility of gender role that comes with it. The paper is also aimed at approaching the reality women faces by differently asking the reason why they quit their jobs. To this end, the survey conducted on women in their 30s and 40s living in Seoul was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reasons for quitting the job had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ages, level of education,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employment status at the time of quitting, whether they had a spouse or children and the size of the company. In all variants except for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reasons falling in the category of ‘working condi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for leaving their workplace. Reasons behind quitting the job were analyzed in more details by the size of their workplace. Women who worked at a small sized company quit their job mostly due to ‘low wage’ and those who worked at a large company left their workplace mainly due to ‘expiration of contract’. KCI Citation Count: 7 이 논문은 여성의 고용지위 변동을 생애사건과 그에 수반되는 성역할 책임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규정하고 설명해온 기존 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다르게 질문함으로써 여성들이 처한 현실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직장을 그만둔 이유를 분석하였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생애사건, 가족돌봄, 경영악화, 근로조건, 노동환경, 적극탈출, 기타 등 7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당시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여성의 연령대, 학력, 경력단절 기간, 당시 고용형태, 당시 배우자 유무, 당시 자녀 유무, 당시 사업장 규모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단절 기간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근로조건’에 해당하는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사업장 규모에 따라 세부 사유를 분석한 결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했던 여성은 ‘낮은 임금’을, 대규모 사업장에서 일했던 여성은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논문은 경력단절에 대한 그간의 질문 방식으로 인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등이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로 과잉 대표되면서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별을 개선하려는 동력이 오히려 약화된 것은 아닌지 질문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생애사건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경력단절로 상징되는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퇴장 문제를 보다 포괄적인 구조에 위치시키고 불평등한 성별관계와 여성 내부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는 문제 설정이 시급하고 절실하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argument that a change in the employment status of women is defined as career interruption caused by life event and responsibility of gender role that comes with it. The paper is also aimed at approaching the reality women faces by differently asking the reason why they quit their jobs. To this end, the survey conducted on women in their 30s and 40s living in Seoul was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reasons for quitting the job had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ages, level of education,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employment status at the time of quitting, whether they had a spouse or children and the size of the company. In all variants except for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reasons falling in the category of ‘working condi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for leaving their workplace. Reasons behind quitting the job were analyzed in more details by the size of their workplace. Women who worked at a small sized company quit their job mostly due to ‘low wage’ and those who worked at a large company left their workplace mainly due to ‘expiration of contract’. |
Author | Kuk Mi Ae 국미애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국미애 – sequence: 2 fullname: Kuk Mi Ae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397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D9Lw0AYhw9RsNZ-Age7CibevW8udxlL8U-hIEgHt-NyTSRG05Ig4qbQQdRBQRBBpUupg4O66OIXau5DWKzDj-c3PDxLZD7rZREhq4y6AELARj87OTwtXJAuc4EyST0XOJsjFRAMHcFRzpMK44F0Ak73F0mtKJKQUsa8QCCvEDb5_CmHo_L61Q4v7cObHXys1-3jU92OL-zLyD4P6pOv73J8U97dllf3k_fzZbIQ66Miqv2zSjpbm53mjtPe3W41G20n5Z50DBUwnWEUYhQGfSN0qI1Gz3i6G8cgqUHNNICJtI5DwaHLQj_inj_9PmKVrM2yWR6r1CSqp5M_HvRUmqvGXqelEClKIafuysxNk6JQ_Tw51vmZQj9AXwj8BdsoZIc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OI | 10.22772/pnujws.28.1.201804.251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경력단절여성, 왜 직장을 그만두는가 Career-interrupted women, why did they quit their jobs? |
EISSN | 2713-7538 |
EndPage | 282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3303878 3693677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
ID | FETCH-LOGICAL-k548-c072c07c102f37c36c7abaca34c4adff280c3a1a22ceaafb752d1b6e546b75633 |
ISSN | 1598-950X |
IngestDate | Tue Nov 21 21:28:39 EST 2023 Sat Aug 30 02:20:35 ED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1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48-c072c07c102f37c36c7abaca34c4adff280c3a1a22ceaafb752d1b6e546b75633 |
Notes | Women`s Studies Center , Pusan National University |
PageCount | 32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3303878 kiss_primary_3693677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804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8-04-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4 year: 2018 text: 201804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여성학연구 |
PublicationTitleAlternate | 여성학연구 |
PublicationYear | 2018 |
Publisher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연구소 |
Publisher_xml | – name: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 name: 여성연구소 |
SSID | ssib001149735 ssib044765197 ssib006781343 |
Score | 1.6662215 |
Snippet | 이 논문은 여성의 고용지위 변동을 생애사건과 그에 수반되는 성역할 책임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규정하고 설명해온 기존 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직장을 그만둔...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251 |
SubjectTerms | Career/employment interruption caring of family member expiration of contract low wage size of company working condition 가족돌봄 경력/고용단절 계약기간 만료 근로조건 사업장 규모 여성학 저임금 |
Title | 경력단절여성, 왜 직장을 그만두는가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9367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3976 |
Volume | 2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여성학연구, 2018, 28(1), 43, pp.251-282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753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65197 issn: 1598-950X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29b9QwFLdKWVgQqCDKl04IT8cdie34Y0yuqQqoTEXqFjlugspJV9T2hMSAQOqAgAEkJIQEqEtVBgZggYWdv6WXP4L3nKMXlRuA4XJPL35-z3mW83uO_UzIVdw8tcYEjH5G8I6wJu8YqXgnBLDgcmkKXuDUwPJtuXRH3FyNVmdmfjZWLQ238657OHVfyf94FXjgV9wl-w-ePawUGECDf-EKHobrX_mYpjFNGE0WaJrQOKBxhIQGWtO0hxztCaNo3ENCC5qE-FQ911BTU7ECQOlZqa8DiAUo2_b1K5poXz8U6iFhQmoCryimRvgyoChowtwpStMFaiLUWd8CERSM6CT3429G3ZpFr7aHQvHhJ5Vbw357eb0dF83JilA3vrtg90L5ROIaDtTOvK4EjUfOoRlemQna02w9aqK_BTX2mmO4gTE8ClabgzzTf3Tm8Yhd57s9-iZhDMIOPP94MLz3YKvLdBcnE0IdiO5Y4kiabi4Nl0odI8eZkhLP0lh-lE6AKQSiqgFMASKEfJIITQglcQexT-47tr5ejOjtuD7dCkAREGRsASoabJYNVLRyipwchzOtuO6bp8lMf2OOhAdff4x290bPP1a7T6s3n6qdL9da1dt3rWr_SfVhr3q_0zr49n20_2L06uXo2euDz4_PkJXFdKW31BkfzdHpQ4jbcYFi8HOATkuuHJdO2dw6y4UTdq0smQ4ct6FlzBXWlrmK2FqYyyISEmjJ-VkyO9gYFOdIqywc41Y4gJ1WqEDlujBCamfh7WNVyebJHDYyu18nX8nGz3meXIFGZ323nmGCdPy_u5H1NzMIA29knOOqDH1-uuwFcmLSNy-S2e3NYXEJoOV2ftl77RdzxVjC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2%BD%EB%A0%A5%EB%8B%A8%EC%A0%88%EC%97%AC%EC%84%B1%2C+%EC%99%9C+%EC%A7%81%EC%9E%A5%EC%9D%84+%EA%B7%B8%EB%A7%8C%EB%91%90%EB%8A%94%EA%B0%80&rft.jtitle=%EC%97%AC%EC%84%B1%ED%95%99%EC%97%B0%EA%B5%AC&rft.au=%EA%B5%AD%EB%AF%B8%EC%95%A0&rft.au=Kuk+Mi+Ae&rft.date=2018-04-30&rft.pub=%EB%B6%80%EC%82%B0%EB%8C%80%ED%95%99%EA%B5%90+%EC%97%AC%EC%84%B1%EC%97%B0%EA%B5%AC%EC%86%8C&rft.issn=1598-950X&rft.volume=28&rft.issue=1&rft.spage=251&rft_id=info:doi/10.22772%2Fpnujws.28.1.201804.251&rft.externalDocID=3693677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50X&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50X&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50X&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