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복잡계이론을 중심으로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 정부, 그리고 정부의 다양한 정책도구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고도의 질서를 갖는 사회문제 해결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복잡적응계라는 규범적인 설명은 한계를 갖는다. 복잡계이론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것은 사실이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을 보장해주...
Saved in:
Published in | 국정관리연구 Vol. 6; no. 1; pp. 1 - 3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30.06.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8324 2671-6259 |
DOI | 10.16973/jgs.2011.6.1.001 |
Cover
Abstract |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 정부, 그리고 정부의 다양한 정책도구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고도의 질서를 갖는 사회문제 해결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복잡적응계라는 규범적인 설명은 한계를 갖는다. 복잡계이론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것은 사실이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복잡적응계가 갖는 창발적인 특성이 언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는 복잡적응계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바람직한 창발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부는 수평적, 다중심적, 하의상달식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행위자들의 행태적 규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을 위하여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조건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제2세대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Complexity theory provides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y of network governance. Network governance shares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with complex adaptive system(hereafter, CAS) in that social problems are solv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acto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thout centralized control in the system level. However, the explanation that network governance is a CAS is not good enough. Even though complexity theory allows us a new perspective, it cannot always guarantee the success of network governance. Emergent property of CAS is not always desirable. In order for network governance as a CAS to be of desirable property, government should play a new role to make people change their patterns of behavior in horizontal, multicentric and bottom-up ways. We need a ‘second-generation network governance theory’, with which we can explain the conditions of successful network governance and new roles of government in network governance. |
---|---|
AbstractList |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사회구성원과 정부, 그리고 정부의 다양한 정책도구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고도의 질서를 갖는 사회문제 해결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복잡적응계라는 규범적인 설명은 한계를 갖는다. 복잡계이론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것은 사실이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복잡적응계가 갖는 창발적인 특성이 언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는 복잡적응계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바람직한 창발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부는 수평적, 다중심적, 하의상달식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행위자들의 행태적 규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을 위하여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조건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제2세대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Complexity theory provides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y of network governance. Network governance shares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with complex adaptive system(hereafter, CAS) in that social problems are solv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acto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thout centralized control in the system level. However, the explanation that network governance is a CAS is not good enough. Even though complexity theory allows us a new perspective, it cannot always guarantee the success of network governance. Emergent property of CAS is not always desirable. In order for network governance as a CAS to be of desirable property, government should play a new role to make people change their patterns of behavior in horizontal, multicentric and bottom-up ways. We need a ‘second-generation network governance theory’, with which we can explain the conditions of successful network governance and new roles of government in network governance. KCI Citation Count: 19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 정부, 그리고 정부의 다양한 정책도구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고도의 질서를 갖는 사회문제 해결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복잡적응계라는 규범적인 설명은 한계를 갖는다. 복잡계이론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것은 사실이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복잡적응계가 갖는 창발적인 특성이 언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는 복잡적응계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바람직한 창발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부는 수평적, 다중심적, 하의상달식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행위자들의 행태적 규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을 위하여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조건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제2세대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Complexity theory provides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y of network governance. Network governance shares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with complex adaptive system(hereafter, CAS) in that social problems are solv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acto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thout centralized control in the system level. However, the explanation that network governance is a CAS is not good enough. Even though complexity theory allows us a new perspective, it cannot always guarantee the success of network governance. Emergent property of CAS is not always desirable. In order for network governance as a CAS to be of desirable property, government should play a new role to make people change their patterns of behavior in horizontal, multicentric and bottom-up ways. We need a ‘second-generation network governance theory’, with which we can explain the conditions of successful network governance and new roles of government in network governance. |
Author | 이명석 Myung Suk Lee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명석 – sequence: 2 fullname: Myung Suk Lee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935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L1OwlAYQG8MJiLyAMalq0Prd9vePzdC_CEhmhj2pi29pFbBtJMbJp2QxYGoEUxJGDFRUePgE9HLO0jE6SznnE1UaHfaAULbGAxMBbP2zluJYQLGBjWwAYDXUNGkDOvUJKKAilgwonPLtDdQOUlCDzAHTjkVRXSSp5NF71s99Rc3U23-9pq_p3naV72JeuxqKhvkX101etDU_ctikO1r-exTPY_ns1SNPvJxpkappiZ36naqhj_5eLiF1qV7kQTlf5ZQ4_CgUT3W66dHtWqlrkfEZjrhbsAD2yXMx74E4hEffBF4kns-tSDwmqbNbGFiSSQB2RQ2cAZYyGXDiASrhHZX23YsncgPnY4b_rHVcaLYqZw1ag7Gps0JW7o7KzcKk8S5isNLN752LIsDY2D9AnlWdbQ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OI | 10.16973/jgs.2011.6.1.001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Government |
DocumentTitleAlternate |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복잡계이론을 중심으로 New Roles of Government in Network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xity Theory |
EISSN | 2671-6259 |
EndPage | 31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124857 3380770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
ID | FETCH-LOGICAL-k547-58ae8e4a57c1cf05b5c0c9ebf8bc630ebd2474921f5f50fd94087019fe4a75f03 |
ISSN | 1975-8324 |
IngestDate | Tue Nov 21 21:38:08 EST 2023 Fri Jul 25 02:12:04 ED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1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47-58ae8e4a57c1cf05b5c0c9ebf8bc630ebd2474921f5f50fd94087019fe4a75f03 |
Notes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G704-SER000001525.2011.6.1.004 |
PageCount | 32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24857 kiss_primary_3380770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106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1-06-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11 text: 201106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국정관리연구 |
PublicationTitleAlternate | 국정관리연구 |
PublicationYear | 2011 |
Publisher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Publisher_xml | – name: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SSID | ssib018086869 ssib044738095 ssib007783019 |
Score | 1.4734004 |
Snippet |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사회...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 |
SubjectTerms | Complexity Theory government Network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or Roles of Government 네트워크 거버넌스 복잡계이론 정부의 역할 정책 행정학 |
Title |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복잡계이론을 중심으로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8077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9353 |
Volume | 6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국정관리연구, 2011, 6(1), 10, pp.1-31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625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095 issn: 1975-832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6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QwMGrLhQsCFUR5KUL4tEqJEz-5JdmggtSeFqm3VZONK1iprfq4cEBF2lPphUMFiBa10h6LBBQQB76oSf-BsZPdpg-kwiXyjmfGY0_smfE6Y8t6oAjMMM5SRwnKHP2tpCN95TmwVmKWZkRlJk_B9AybekaeztLZkdG0dmppbTWZTF-e-13J_2gVYKBX_ZXsP2h2yBQAUAb9whM0DM8L6RjFIRIEBQTFTSQCFAoUR0gCMDIQjIKogWKowCh0NXboaYKSTCNFmkzTA5lEwm3oUuAiSQ020wchdF0TSWHqJEdBUzMHDMDzg4ZB9FFITXWMAmxa9E1DhjQ0LQI8GDATpGyIIImNEFBtpJERCqMKW0Z1z9kwpabxoYSBZi1MxwI24MBNV0vkSL9BTOeiqu14nJQqQMJIDtLKZn0PBOPBgb3qra2wwrJ_3PSmJgEMpy6YkYGxLCWQbuM8wU2hVATIqNV2lt4osrzktLIaklMHlsZyZyQzMI9x7OjgsmYdcM3NKG3fGQPGJNeZNF7Mr5TpZdkk1n-WHVvrwQmFU0b8RLrwbvq8Pb_Y7i63ISh6AkGezlvHR61LMCuZvuZj-lU8XHQ5F34tJT8WEOQKNvxNCPeFa24vGnazOh2gZX14WlJwbSDyWQFXbWFZ1Vy11lXrShVj2UE5Ya5ZI93FcWsm7_WPNn4VHzePXu_bh1-_5N96eW-z2OgXH9btYncr_7le7Ly3i3efj7Z2H9n5wY_i097hQa_Y-Z7v7RY7Pbvovy3e7Bfbv_O97etW63Hciqac6jIRp0sJd6iYy0RG5ihPcapcmtDUTWWWKJGkzHezpOMRTqSHFVXUVR1JXKFvKlBAw6ly_RvW2MLiQnbTsrPES2QquDeXYJIqJt2O6HQSrgTxUjCRE9a4HoH2Upkupu3rOx24O2HdhxExuvm7jm5dBOm2dfl4EtyxxlaX17K74BqvJveMav8ALMiR6A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4%A4%ED%8A%B8%EC%9B%8C%ED%81%AC+%EA%B1%B0%EB%B2%84%EB%84%8C%EC%8A%A4%EC%99%80+%EC%A0%95%EB%B6%80%EC%9D%98+%EC%97%AD%ED%95%A0%3A+%EB%B3%B5%EC%9E%A1%EA%B3%84%EC%9D%B4%EB%A1%A0%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5%AD%EC%A0%95%EA%B4%80%EB%A6%AC%EC%97%B0%EA%B5%AC%2C+6%281%29&rft.au=%EC%9D%B4%EB%AA%85%EC%84%9D&rft.date=2011-06-30&rft.pub=%EC%84%B1%EA%B7%A0%EA%B4%80%EB%8C%80%ED%95%99%EA%B5%90+%EA%B5%AD%EC%A0%95%EC%A0%84%EB%AC%B8%EB%8C%80%ED%95%99%EC%9B%90&rft.issn=1975-8324&rft.eissn=2671-6259&rft.spage=1&rft.epage=31&rft_id=info:doi/10.16973%2Fjgs.2011.6.1.00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24857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5-8324&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5-8324&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5-832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