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과 중국에서 개정된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양국의 체육교육과정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ereday의 4단계 비교분석 모형 절차를 이용하여 최근 개정된 한국의 2015 개정 체육교육과정과 중국의 2017 개정 체육교육과정을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분석은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의 두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첫째, 형식면에서 공통적으로 두 나라 모두 체육 교과는 필수로서 교과 편성 및 단위 배당, 문서 형식과 구...
Saved in:
|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30; no. 3; pp. 540 - 554 |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9.2019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920 2233-7938 |
| DOI | 10.24985/kjss.2019.30.3.540 |
Cover
|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과 중국에서 개정된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양국의 체육교육과정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ereday의 4단계 비교분석 모형 절차를 이용하여 최근 개정된 한국의 2015 개정 체육교육과정과 중국의 2017 개정 체육교육과정을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분석은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의 두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첫째, 형식면에서 공통적으로 두 나라 모두 체육 교과는 필수로서 교과 편성 및 단위 배당, 문서 형식과 구조에서 유사한 점을 보이고 역량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지만, 각 국가의 현실과 상황에 따라 다른 핵심 역량을 선정하고 있는 차이점을 보인다. 둘째, 내용면에서 공통적으로 양국은 핵심 역량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학습자 특성 고려 등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지만, 한국은 신체활동 가치 중심에, 중국은 운동 종목 및 주제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는 차이점을 보인다. [결론] 양국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는 핵심 역량과 이의 달성 수단인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이 상호 일치하여 연결돼야 한다는 일관성 문제의 해결이 요구된다는 점과, 중국에서는 체육이 지닌 통합적 가치에 주목하여 핵심 역량과 교수학습 방법 등에 이에 대한 안내가 추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요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vise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wo countries. [Methods] Using Bereday(1964)’s four steps of comparison model i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general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of Korea and China, each curriculum having been revised respectively in 2015 and 2017. [Results] First, in terms of format, both countries consider PE a necessity and share similarities in regard to course structure, credit allocation and document format. Nevertheless, though both countries are oriented toward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offici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s, numbers of subjects and hours of study based on the reality and situation of each country. Second, in terms of content, both countries present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principles for the sake of acquiring core competence. However, the Korean curriculum prefers to advocate learning of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to achieve core competencies, while the Chinese curriculum prefers to focus on acquiring athletic skills and health knowledge for achieving core competencies. [Conclusions] After compar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wo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One is that the consistency problem in Korea should be solved between the core competenc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tandards. The other is that, in China, integrated value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and core competency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
|---|---|
| ISSN: | 1598-2920 2233-7938 |
| DOI: | 10.24985/kjss.2019.30.3.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