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위생사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의 영향요인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 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 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어깨와 손을 많이 틀면서 움직이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진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에 대한 노출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과 관련하여 근골격계의 부위별 통증의 유무와 업무분야별 통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268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2; no. 6; pp. 558 - 565
Main Authors 김민아, Min A Kim, 서화정, Hwa Jeong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30.12.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478
2233-7679

Cover

Abstract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 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 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어깨와 손을 많이 틀면서 움직이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진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에 대한 노출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과 관련하여 근골격계의 부위별 통증의 유무와 업무분야별 통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268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연구대상자들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통증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 어깨 90.0%, 목 88.9%, 다리 83.3%, 허리 81.5%, 손/손목/손가락 75.6%, 팔/팔꿈치 53%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들의 업무영역에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 외과업무의 경우 목, 허리, 다리, 어깨, 손, 팔로 나타났으며 보철업무의 경우 어깨, 다리, 손, 목, 허리, 팔로 나타났다. 교정업무의 경우 목, 어깨, 손, 허리, 다리, 팔로 나타났고 접수의 경우 목, 어깨, 허리, 다리, 손, 팔로 나타났다. 모든 치료의 경우 어깨, 허리, 목, 다리, 손, 팔로 나타났다. 여기서 나타난 것처럼 연구대상자들이 주로 하는 진료에 대한 근골격계 통증이 신체부위별로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변인에 대한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신장이 큰 연구대상자들에게 허리와 어깨의 통증이 많았고 체중이 적게 나가는 연구대상자들은 목과 팔의 통증이 높았다. 연령은 29~33세는 어깨, 34세 이상에서는 팔/팔꿈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근무환경은 경력이 높아질수록 손/손목/손가락은 통증이 증가하였고(p<0.05) 목과 어깨(p<0.05), 팔(p<0.01), 허리는 3~4년의 경력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다리/발은 1~2년의 경력에서 통증경험이 높았다. 근무시간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목에 대한 통증이 높아진다고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손/손목/손가락에서는 근무시간이 적을 때 높은 통증경험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근무처에 따라서 분과병원에서는 손/손목/손가락에서 높은 통증경험율을 나타냈고(p<0.05) 중소치과에서는 다리/발에서 높은 통증경험률을 나타냈다. (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은 평균이상으로 많으며 이 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경각심을 느껴야 한다고 보여진다. 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발생되면 간단하게 치료받을 수 있지만 누적되어서 오랫동안 방치되었을 때는 이미 정상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통증이 나타나거나 피로가 쌓일 경우 즉시 치료를 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응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a major. Occupational disease of the dental care profession is no exception. The survey was self-reported questionars of 300 dental hygienists that 268 dental hygienists reply to self-reported surve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s of research analyzing the degree of physical musculoskeletal disorders pain, shoulder 90.3%, neck 89.2%, leg 83.6%, 81.7% back, hand/wrist/fingers 75.7%, arm/elbow, according to 52.8%. Therefore the work province of the research object peopl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ppeared different. Generally characteristic was taller dental hygienists lower back pain and were out of less weight, study subjects had neck and arm pain. 29∼33 year-old age the shoulder, over the age of 34 the arm/elbow to be high (p<0.05). Working environment to become a career, the more hand/wrist/fingers and the pain increased (p<0.05). The neck, shoulders (p<0.05), arm (p< 0.01), waist high in the 3∼4 years experience. And leg/foot was in the 1∼2 years experience. This increase in working hours had increased pain in the neck but the hand/wrist/finger pain in the small hours of experience in the high pain(p<0.01). Conclusion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dental hygienists often than the average for this risk is recognized. When it occurs early in treatment can be simple, but time is left to revert to normal when you do not already. Therefore,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dental hygienists, pain or fatigue appeared to accumulate immediately treated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AbstractList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어깨와손을 많이 틀면서 움직이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진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에 대한 노출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과 관련하여 근골격계의 부위별 통증의 유무와 업무분야별 통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치과위생사 300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268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연구대상자들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통증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 어깨 90.3%, 목 89.2%, 다리 83.6%, 허리81.7%, 손/손목/손가락 75.7%, 팔/팔꿈치 52.8%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들의 업무영역에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이다르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 외과업무의 경우 목, 허리, 다리, 어깨, 손, 팔로 나타났으며 보철업무의 경우 어깨, 다리,손, 목, 허리, 팔로 나타났다. 교정업무의 경우 목, 어깨, 손,허리, 다리, 팔로 나타났고 접수의 경우 목, 어깨, 허리, 다리,손, 팔로 나타났다. 모든 치료의 경우 어깨, 허리, 목, 다리,손, 팔로 나타났다. 여기서 나타난 것처럼 연구대상자들이주로 하는 진료에 대한 근골격계 통증이 신체부위별로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변인에 대한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신장이 큰 연구대상자들에게 허리와 어깨의 통증이 많았고 체중이 적게 나가는연구대상자들은 목과 팔의 통증이 높았다. 연령은 29∼33세는 어깨, 34세 이상에서는 팔/팔꿈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근무환경은 경력이 높아질수록 손/손목/손가락은 통증이증가하였고(p<0.05) 목과 어깨(p<0.05), 팔(p<0.01), 허리는 3∼4년의 경력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다리/발은 1∼2년의 경력에서 통증경험이 높았다. 근무시간은 시간이증가함에 따라 목에 대한 통증이 높아진다고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손/손목/손가락에서는 근무시간이 적을 때 높은 통증경험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더욱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근무처에 따라서 분과병원에서는 손/손목/손가락에서 높은 통증경험율을 나타냈고(p<0.05) 중소치과에서는 다리/발에서 높은 통증경험률을 나타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은 평균이상으로 많으며 이 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경각심을느껴야 한다고 보여진다. 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발생되면간단하게 치료받을 수 있지만 누적되어서 오랫동안 방치되었을 때는 이미 정상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통증이 나타나거나 피로가 쌓일 경우 즉시치료를 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응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a major. Occupational disease of the dental care profession is no exception. The survey was self-reported questionars of 300 dental hygienists that 268 dental hygienists reply to self-reported surve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s of research analyzing the degree of physical musculoskeletal disorders pain, shoulder 90.3%, neck 89.2%, leg 83.6%, 81.7% back, hand/wrist/fingers 75.7%, arm/elbow, according to 52.8%. Therefore the work province of the research object peopl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ppeared different. Generally characteristic was taller dental hygienists lower back pain and were out of less weight, study subjects had neck and arm pain. 29∼33 year-old age the shoulder, over the age of 34 the arm/elbow to be high (p<0.05). Working environment to become a career, the more hand/wrist/fingers and the pain increased (p<0.05). The neck, shoulders (p<0.05), arm (p< 0.01), waist high in the 3∼4 years experience. And leg/foot was in the 1∼2 years experience. This increase in working hours had increased pain in the neck but the hand/wrist/finger pain in the small hours of experience in the high pain(p<0.01). Conclusion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dental hygienists often than the average for this risk is recognized. When it occurs early in treatment can be simple, but time is left to revert to normal when you do not already. Therefore,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dental hygienists, pain or fatigue appeared to accumulate immediately treated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KCI Citation Count: 12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 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 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어깨와 손을 많이 틀면서 움직이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진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에 대한 노출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과 관련하여 근골격계의 부위별 통증의 유무와 업무분야별 통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268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연구대상자들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통증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 어깨 90.0%, 목 88.9%, 다리 83.3%, 허리 81.5%, 손/손목/손가락 75.6%, 팔/팔꿈치 53%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들의 업무영역에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 외과업무의 경우 목, 허리, 다리, 어깨, 손, 팔로 나타났으며 보철업무의 경우 어깨, 다리, 손, 목, 허리, 팔로 나타났다. 교정업무의 경우 목, 어깨, 손, 허리, 다리, 팔로 나타났고 접수의 경우 목, 어깨, 허리, 다리, 손, 팔로 나타났다. 모든 치료의 경우 어깨, 허리, 목, 다리, 손, 팔로 나타났다. 여기서 나타난 것처럼 연구대상자들이 주로 하는 진료에 대한 근골격계 통증이 신체부위별로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변인에 대한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신장이 큰 연구대상자들에게 허리와 어깨의 통증이 많았고 체중이 적게 나가는 연구대상자들은 목과 팔의 통증이 높았다. 연령은 29~33세는 어깨, 34세 이상에서는 팔/팔꿈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근무환경은 경력이 높아질수록 손/손목/손가락은 통증이 증가하였고(p<0.05) 목과 어깨(p<0.05), 팔(p<0.01), 허리는 3~4년의 경력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다리/발은 1~2년의 경력에서 통증경험이 높았다. 근무시간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목에 대한 통증이 높아진다고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손/손목/손가락에서는 근무시간이 적을 때 높은 통증경험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근무처에 따라서 분과병원에서는 손/손목/손가락에서 높은 통증경험율을 나타냈고(p<0.05) 중소치과에서는 다리/발에서 높은 통증경험률을 나타냈다. (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은 평균이상으로 많으며 이 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경각심을 느껴야 한다고 보여진다. 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발생되면 간단하게 치료받을 수 있지만 누적되어서 오랫동안 방치되었을 때는 이미 정상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통증이 나타나거나 피로가 쌓일 경우 즉시 치료를 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응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a major. Occupational disease of the dental care profession is no exception. The survey was self-reported questionars of 300 dental hygienists that 268 dental hygienists reply to self-reported surve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s of research analyzing the degree of physical musculoskeletal disorders pain, shoulder 90.3%, neck 89.2%, leg 83.6%, 81.7% back, hand/wrist/fingers 75.7%, arm/elbow, according to 52.8%. Therefore the work province of the research object peopl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ppeared different. Generally characteristic was taller dental hygienists lower back pain and were out of less weight, study subjects had neck and arm pain. 29∼33 year-old age the shoulder, over the age of 34 the arm/elbow to be high (p<0.05). Working environment to become a career, the more hand/wrist/fingers and the pain increased (p<0.05). The neck, shoulders (p<0.05), arm (p< 0.01), waist high in the 3∼4 years experience. And leg/foot was in the 1∼2 years experience. This increase in working hours had increased pain in the neck but the hand/wrist/finger pain in the small hours of experience in the high pain(p<0.01). Conclusion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dental hygienists often than the average for this risk is recognized. When it occurs early in treatment can be simple, but time is left to revert to normal when you do not already. Therefore,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dental hygienists, pain or fatigue appeared to accumulate immediately treated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Author 서화정
Hwa Jeong Seo
김민아
Min A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민아
– sequence: 2
  fullname: Min A Kim
– sequence: 3
  fullname: 서화정
– sequence: 4
  fullname: Hwa Jeong Se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3550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81Kw0AcxBepYI19Ai85egls_7ubzR5L0VooCNL7kmQTCdFUkpM3P6pnBdEgjXhRKngyigp9onT7Dgbr6TcMwwyzjhrJKAlWUBOAEIvbXDRQs82EY1HKnTXUyrLIw7UmICg0UU__5FU505Oxvij0-ZupH2_0_WVtmdXH6fxpOr-emNXXrCqn1ftrVY7NxdWnfil0kZs6P1vcPeuHW118b6DV0D3MgtY_DTTc2R52d63BXq_f7QysmBFuKaEop8IhAYQMPMEo5oBJEABRVDHuOzazscttBR4GVUMA8RlT1Gc2xTYx0NayNklDGfuRHLnRHw9GMk5lZ3_Yl4RSXP8z0OYyGkdZJo_T6MhNTyRpA4Z68hclAWp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Dentistry
DocumentTitleAlternate 치과위생사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의 영향요인
Dental Hygienists Work on the Impact of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EISSN 2233-7679
EndPage 56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44047
3120220
GroupedDBID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GROUPED_DOAJ
HZB
JDI
Q5X
ACYCR
ID FETCH-LOGICAL-k537-d9d474983e2f52b95407203ee23d4d57c86560a76d2b02d6d2923c55d4c564063
ISSN 1598-4478
IngestDate Tue Nov 21 21:11:19 EST 2023
Wed Dec 18 02:53:17 EST 2024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6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7-d9d474983e2f52b95407203ee23d4d57c86560a76d2b02d6d2923c55d4c564063
Notes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G704-002151.2012.12.6.013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44047
kiss_primary_312022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212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2-12-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2
  text: 201212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Chiwisaeng gwahakoeji
PublicationTitleAlternate 치위생과학회지
PublicationYear 2012
Publisher 한국치위생과학회
Publisher_xml – sequence: 0
  name: 한국치위생과학회
– name: 한국치위생과학회
SSID ssib044732942
ssj0002901478
ssib001151299
ssib053376827
Score 1.8321797
Snippet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 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 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58
SubjectTerms Dental hygienist
Musculoskeletal pain
치의학
Title 치과위생사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의 영향요인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12022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35507
Volume 1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치위생과학회지, 2012, 12(6), , pp.558-565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AON
  databaseName: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customDbUrl:
  eissn: 2233-767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j0002901478
  issn: 1598-4478
  databaseCode: DOA
  dateStart: 200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www.doaj.org/
  providerName: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33-767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2942
  issn: 1598-447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0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e6XeCCgIEYXwoSPlWZ2thO7GOSZgwkOBVptyhp3K5Uaqeu0yQOiI_BGSQEFVoRF9CQODEQIO0vyrL_gWcn_Rgf0uDiPr08-9nvWenPjv0eQteJCn-pzvnZzaZt0kRGZmQ7wqRR1IwlrJpZUx-QvWOv3KW3VtlqqZTNnFraHMRLjft_vFfyP14FHvhV3ZL9B89OGgUG0OBfKMHDUB7LxzjwsSew4DhwsUew5yuO8DGniuAEi5omLOz6Zf0swKKqCQdzNqlW1hRVxx4CD7sV7HJFiAo0lj9zdONa3M3VQZui4HAKQjXMbewx1bhrF4qhFDxXzAGzKiFhY1cLCRcLWgh5fBYk-2vtrfZGJLutcmsrWos6PXmvPZ4ZWqUY93R5PGaGOZ2KaAuAHZQ-UaiBUeWJNsebHFWdb6X4XqOmpRZnup6rRuLWZgz8u10nJs9rCU24mPuzL3rBTUrz9EFLUvMAKRHTsfPkNsULnTE-gw1YntfiaNjuX_5OjwTu7jTaYasXdvohLE9uhkRFY3Tm0Bypqmwbtx8EU-iqodcEWkLXiCWKbQuFKvT3bg0sJl0HFAGLjA1ARd1-cwYV1U-jU8VyxnDzuXkGlTq9s-hETR1BU1kEF9CN7Mcw3dvPdrazJ6Ps8Scje_sie_0UWEb65eHBu92D5ztG-m0_3dtNP39M97aNw2dfsw-jbDQ0suGjw1fvszcvs9H3c6i-HNT9FbNI3mF2GHHMRCTUoYITaTWZFQsV59GqECktktCEOQ2uoj5Fjp1YccVK4AdWGg3GEtpgNoBMch7Nd3tdeQEZNk0EV5uftqVGHcVM0lgmVUkasNxnchEtKDOE63l4lhBsq66PL6JrYBbtgb964uIxZC6hk9MZeRnND_qb8goA0UF8VXvwJ6X-c7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9%98%EA%B3%BC%EC%9C%84%EC%83%9D%EC%82%AC+%EC%9E%91%EC%97%85%EA%B3%BC+%EA%B4%80%EB%A0%A8%EB%90%9C+%EA%B7%BC%EA%B3%A8%EA%B2%A9%EA%B3%84+%ED%86%B5%EC%A6%9D%EC%9D%98+%EC%98%81%ED%96%A5%EC%9A%94%EC%9D%B8&rft.jtitle=Chiwisaeng+gwahakoeji&rft.au=%EA%B9%80%EB%AF%BC%EC%95%84&rft.au=%EC%84%9C%ED%99%94%EC%A0%95&rft.date=2012-12-30&rft.pub=%ED%95%9C%EA%B5%AD%EC%B9%98%EC%9C%84%EC%83%9D%EA%B3%BC%ED%95%99%ED%9A%8C&rft.issn=1598-4478&rft.eissn=2233-7679&rft.spage=558&rft.epage=56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34404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447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447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447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