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관중의 추구혜택과 재관람의도의 구조모형분석
프로축구 K리그의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인 관중 유인전략은 관중이 추구하는 혜택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특히, 관중이 추구하는 혜택과 재관람의도를 가능케 하는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관중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의해 첫째, 프로축구 관중들의 프로축구에 대한 추구혜택이 관람태도와 관람만족을 통해서 재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모형을 분석하고, 둘째, 추구혜택, 관람태도, 관람만족 그리고 재관람의도의 각 개념간...
Saved in:
|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18; no. 1; pp. 86 - 9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3.2007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920 2233-7938 |
| DOI | 10.24985/kjss.2007.18.1.86 |
Cover
| Summary: | 프로축구 K리그의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인 관중 유인전략은 관중이 추구하는 혜택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특히, 관중이 추구하는 혜택과 재관람의도를 가능케 하는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관중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의해 첫째, 프로축구 관중들의 프로축구에 대한 추구혜택이 관람태도와 관람만족을 통해서 재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모형을 분석하고, 둘째, 추구혜택, 관람태도, 관람만족 그리고 재관람의도의 각 개념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프로축구 관중 중 3개 구단(FC서울, 인천FC, 수원삼성)의 홈관중 450명이다. 표집은 편의표본추출법에 근거했으며,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불성실 응답 내용 89부를 제외한 361부를 유효표본으로 선정한 후 연구 목적에 맞게 자료처리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2.0과 AMOS 4.0을 활용하였는데,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은 검증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구혜택을 외생변수로 설정하고 관람태도, 관람만족 그리고 재관람의도를 내생변수로 설정한 구조모형은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구혜택 중 흥미추구와 일상탈피추구는 관람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추구는 관람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관람태도는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람만족은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benefits sought, attitude toward the viewing, viewing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were K-league spectator. 361 samples out of 450 samples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were adopted as a final data. We confirmed the goodness of fit test of the model, utilizing SPSSWIN Ver. 12.0 and AMOS 4.0, and after which we tested each hypoth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est sought out of benefits sough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viewing. Second, escape sought out of benefits sough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viewing. Third, companionship sought out of ` sought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viewing. Fourth, attitude toward view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Fifth, attitude toward view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Sixth, view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
|---|---|
| Bibliography: | G704-000739.2007.18.1.003 |
| ISSN: | 1598-2920 2233-7938 |
| DOI: | 10.24985/kjss.2007.18.1.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