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출전 경험으로 축적한 여자축구선수의 심리자본
본 연구는 아시안게임 출전 경험으로 인한 심리자본의 가변성과 불변성을 추정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심리자본은 선행연구에 근거를 두고 낙관성, 심리기술, 자기주도, 집단효능감, 경기력지각으로 구성하였다.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 출전한 여자축구대표선수 17명을 대상으로 축구선수의 심리자본을 대표팀 소집 다음날과 6주 후인 해산 전날에 진단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축구선수의 집단효능감과 경기력지각은 양 시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낙관성, 심리기술, 자기주도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6; no. 2; pp. 368 - 37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6.2015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5.26.2.36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아시안게임 출전 경험으로 인한 심리자본의 가변성과 불변성을 추정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심리자본은 선행연구에 근거를 두고 낙관성, 심리기술, 자기주도, 집단효능감, 경기력지각으로 구성하였다.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 출전한 여자축구대표선수 17명을 대상으로 축구선수의 심리자본을 대표팀 소집 다음날과 6주 후인 해산 전날에 진단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축구선수의 집단효능감과 경기력지각은 양 시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낙관성, 심리기술, 자기주도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축구선수의 심리자원 중 아시안게임 출전 경험을 통해 팀조화, 대인관계관리, 팀전력, 충분한 훈련, 지도자신뢰, 효율적 의사소통, 축구심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자신감, 집중력, 목표설정, 심상, 의지력, 불안조절, 정신력관리, 생활관리, 훈련관리, 고유행동관리, 몸관리, 축구기술, 매개기술, 축구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 경기력 영향 심리자본 논의에서 메가스포츠이벤트와 같은 대회 경험의 영향이나 환경 변화에 따른 심리자원의 가변성과 불변성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메가스포츠이벤트 출전 경험을 통한 심리적 영향력을 이해하고 환경 측면에서 팀을 위한 심리적 개입 방향과 심리적 개입의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 개발 논의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capital acquisition through Asian Games Participation. 17 of national women football players were completed Psychological Capitals Questionnair. The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s of optimism, psychological skills, self-management, collective efficacy, and performance perception was investigated after the team call-ups and before the team-release. The data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As results, Korean women football players’ collective efficient and performance perception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beginning of the team call-ups but optimism, psychological skills, and self-direction did not show statistic significances. The team-harmony, interpersonal-management, team-power, sufficient training, trust in coach, efficient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football factors, which were subfactor of football players’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s. However, confidence, concentration, goal-setting, imagery, willpower, anxiety-control, mental-management, life-management, training-management, innate-behavior management, physical-management, football skills, mediative skills, and football intelligence factors did not have statistic significanc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ffects of mega sporting events-lik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factors’ variability and inflexibility according to weather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when it comes to discussion of psychological factors regarding players’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 fundamental resource fo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influences through participations in mega sporting events and discussions about furthe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teams with environmental consideration as well as methodological developments which could measur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5.26.2.008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5.26.2.3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