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 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史叢(사총), 0(86) Vol. 86; pp. 245 - 274
Main Authors 백은진, Eunjin Bae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9.2015
역사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446
2671-583X
DOI10.16957/sa..86.201509.245

Cover

Abstract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 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AbstractList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 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34
Author Eunjin Baek
백은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백은진
– sequence: 2
  fullname: Eunjin Bae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115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DtLw1AYBuCDKFhr_4AuGV0Sz-U7l4yleCkUBCnoFk6bREK0lWRylQqKg11KK8QbOKhUEKSbv6g5_Q-m1unl5Xvebw0td7qdAKENgh0iXC63U-04SjgUE45dhwJfQiUqJLG5YsfLqEQodW0AEKuokqZRC1OihCswlNDRfGRNvzLzPLCmk77JXqbfP0Uxw76V3_XM41Xezywz_DSX4-JizQYTczsuev50Y5ne65w-jKzZqDe7f5-D_OPNXGfraCXUp2lQ-c8yau7uNGv7duNgr16rNuyYM7C1CoUPMgARai4ZkT6QtuaKAoRaEglYY-YHBVBtHDLq8xawgHOulfYJk6yMthZvO0noxe3I6-roL0-6Xpx41cNm3eOMAoWCbi5oHKWpd55EZzq58BiTWIFkv-14eF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16957/sa..86.201509.245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The states and contradictions of “Key Competencies” introduced in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EISSN 2671-583X
EndPage 27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2424
3370847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34-a8f6d47e46fa57317d41ca58244fa71740a03de7e48c0f32d5b43e555a8ad1373
ISSN 1229-4446
IngestDate Tue Nov 21 21:43:46 EST 2023
Sat Feb 15 02:11:24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4-a8f6d47e46fa57317d41ca58244fa71740a03de7e48c0f32d5b43e555a8ad1373
Notes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G704-SER000002653.2015..86.008
PageCount 2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2424
kiss_primary_337084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5
  text: 2015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史叢(사총), 0(86)
PublicationTitleAlternate 사총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name: 역사연구소
SSID ssib021869604
ssib030194366
ssib044760111
ssib052471820
ssib007556300
ssib022230201
ssib010782664
Score 1.5846024
Snippet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 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45
SubjectTerms 2015 national curriculum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역사과 교육과정
core achievement standard of history
historical literacy
key competencies
역사문해력
역사학
핵심 성취기준
핵심역량
Title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7084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1158
Volume 8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史叢(사총), 2015, 0(86), , pp.245-27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583X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60111
  issn: 1229-4446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fGuHBBoIEYXwoSPlUtSWwn9jHpOg2kcRpit8hpGjQqtdM-Lhw4oCGBONDLtCGVL4kDoCEhod34i9bsX0C853ppxnYALqnz_PyL_ezaP1v2MyG3mdsONQsCmJZIVeeC6XrKAlwOy3wmgJC4Es8OL94PFh7we8tieWrqV2XX0uZG2mg_OfVcyf_UKsigXvGU7D_UbAkKAghD_cITahief1XHMKyKGm1FNHapatJWk0YQsCJBlYsiiIg8I2E0niiZqBB0QDumcp5KbkQtKgVKFELWrFY0hwHp06hZIkHcHOLEBkrGJq7UBgCAVAYAkCN-_MOQUo4BpPkwBBSNVBUcACMaSQMgIS9VGl3JTZPGHPCOGg6mA2vEnv2MNDaIQirLUz6tzd7jlV4t1tZPsV3z8MTRBg3bSm1mINOYF9eUASzVNJim6EqVlj7VUkYCuRkrjSUyAIjKUOD70Hi5XSC1Y4U81tmPHWGeGIQCZa5OXteNhsRdMMC5VcMq_-Hcm7HQBX5whpz1YVTCq0cWn7bK_jA03tvK_tRDOle5DcBcJ1bxrYNUD9h_2V9D3604m9B1znED1KQ_Fz4yE-O5tCysPVeGRbhzogBAW2BWsw40rLeWV2jY0gVy3s6fnGj8Z7hIprr9GfIQEzsH34fFh23nYH9QDD8e_PgJL8XOwBm93irePR8Nhk6x8614tgcxzuH2fvFqD95H7186xdYnVH276xzubh2--YIKo6-fixfDS2RpvrXUXKjbG0PqXcF4Xcs8yHjY4UGuRQjMOONeWwsJFDbXIcy9Xe2yrAMKsu3mzM9EyllHCKGlzjwWsstkutfvda4QR-P9XV6bhWmWc5GHWijJc1eGKoXEaWeWzKApktWxT5jEVuQsuQWmSbrtlQT9tuPvo37SXUtgdno3ETh74VdPT3qNnJs09etkemNts3MDCO9GetO0it9boYP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2015+%EA%B0%9C%EC%A0%95+%EA%B5%90%EC%9C%A1%EA%B3%BC%EC%A0%95%EC%97%90+%EB%8F%84%EC%9E%85%EB%90%9C+%EC%97%AD%EC%82%AC%EA%B3%BC+%ED%95%B5%EC%8B%AC%EC%97%AD%EB%9F%89+%EC%84%A4%EC%A0%95%EC%9D%98+%ED%98%84%ED%99%A9%EA%B3%BC+%EB%AA%A8%EC%88%9C&rft.jtitle=%EC%82%AC%EC%B4%9D&rft.au=%EB%B0%B1%EC%9D%80%EC%A7%84&rft.au=Eunjin+Baek&rft.date=2015-09-30&rft.pub=%EA%B3%A0%EB%A0%A4%EB%8C%80%ED%95%99%EA%B5%90+%EC%97%AD%EC%82%AC%EC%97%B0%EA%B5%AC%EC%86%8C&rft.issn=1229-4446&rft.volume=86&rft.spage=245&rft_id=info:doi/10.16957%2Fsa..86.201509.245&rft.externalDocID=337084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44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