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선종과 혈중 C-Reactive Protein 농도

목적: 염증 반응이 대장암의 발생에 관련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다. 대장 선종은 대표적인 전암 병변으로서 대장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CRP는 염증 반응의 표지자로서 여러 질환에서 임상 의의를 갖는다. 저자들은 대장 선종과 염증 표지자인 CRP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수신자 중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은 5,487명을 대상으로 선종이 발견된 1,982명을 대장 선종군으로, 선종이 발견되지 않은 3,50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두 군에서 평균 CRP 농도를 비교하였으며 CR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51; no. 4; pp. 225 - 231
Main Authors 박성근, Sung Keun Park, 박동일, Dong Il Park, 박정호, Jung Ho Park, 김홍주, Hong Ju Kim, 조용균, Yong Kyun Cho, 손정일, Chong Il Sohn, 전우규, Woo Kyu Jeon, 김병익, Byung Ik Kim, 김지은, Jee Eun Kim, 손희정, Hee Jung S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04.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염증 반응이 대장암의 발생에 관련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다. 대장 선종은 대표적인 전암 병변으로서 대장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CRP는 염증 반응의 표지자로서 여러 질환에서 임상 의의를 갖는다. 저자들은 대장 선종과 염증 표지자인 CRP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수신자 중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은 5,487명을 대상으로 선종이 발견된 1,982명을 대장 선종군으로, 선종이 발견되지 않은 3,50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두 군에서 평균 CRP 농도를 비교하였으며 CRP 농도에 따른 대장 선종의 위험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CRP 농도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의 차이에 대해 비교하였으며 대장 선종의 크기와 조직학적인 차이에 따른 CRP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두 군을 비교했을 때, CRP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여러 인자들을 보정했을 때도 CRP 농도는 대장 선종의 발생을 예측하지 못했으며 CRP 농도에 따른 대장 선종의 위험율에서도 차이는 없었다. 대장 선종의 크기와 조직학적인 차이에 따른 CRP 농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염증 반응의 표지자로서 CRP 농도는 대장 선종의 발생 및 특징과 유의한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 Background/Aims: Recent studies implicated inflammatio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occurrence and advancement of colorectal cancer. Colorectal adenoma as the representative precursor lesion of colorectal cancer has meaningful association with inflamm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and the risk of colorectal adenoma Methods: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5,487 subjects (3,478 men and 2,009 women) who underwent colonoscopy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Kangbuk Samsung Hospital and Samsung Medical Center. The subjects were allocated into 3,505 normal control subjects and 1,982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ma. The mean level of CRP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so, the risk of colorectal adenoma according to CRP level and difference of CRP lev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enoma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CRP level between normal and colorectal adenoma group. After adjusting for the clin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f colorectal adenom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risk of colorectal adenoma according to the CRP level (<1, 1-3,>3) and the CRP leve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denoma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An inflammatory marker, CRP is not a risk factor for colorectal adenoma development. (Korean J Gastroenterol 2008; 51:225-231)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8.51.4.001
ISSN:1598-9992
2233-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