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외 담관 결석 환자에서 경피 경간 치료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목적: ERCP를 이용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간외 담관결석 환자에게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치료방법이지만, ERCP가 실패하거나,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담췌관으로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 환자의 전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등에서는 시술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ERCP를 시행하기 어려운간외 담관 결석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PTPBD (percutaen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의 안전성 및 유용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Saved in:
      
    
          |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3; no. 1; pp. 65 - 74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07.2012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9364 2289-0769  | 
| DOI | 10.3904/kjm.2012.83.1.65 | 
Cover
| Abstract | 목적: ERCP를 이용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간외 담관결석 환자에게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치료방법이지만, ERCP가 실패하거나,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담췌관으로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 환자의 전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등에서는 시술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ERCP를 시행하기 어려운간외 담관 결석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PTPBD (percutaen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의 안전성 및 유용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간외 담도 결석으로 내원한 509명의 환자 중 PTPBD를 이용하여 간외 담도 결석 제거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는 결석을 제거하기 3-4일 전에 PTBD를 시행하였다. 십이지장 유두부를 풍선 확장술로 확장시킨 후, 폐쇄 풍선 카테터(풍선 지름 11.5 mm)를 이용하여 결석을 확장된 유두부를 통해 십이지장 안으로 밀어내어 제거하였다. 크기가 15 mm를 넘는 큰 결석 일부는 부분 쇄석술을 먼저 시행한 후 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결과는 잔류 결석의 유무로 평가하였고, 합병증 및 결석의 크기와 수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시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들 중 이전에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9명, 전신상태가 불량한 환자가 4명, ERCP에 실패한 환자가 4명이었다. 결석의 크기는 직경이 평균 13.6mm (8-25 mm)이었고, 7명은 결석이 1개(41.2%), 5명은 2개 (29.4%), 그리고 남은 5명은 결석이 3개 이상(29.4%)이었다. 17명의 환자 중에 16명(94%)이 잔류 결석 없이 시술에 성공하였다. 이 중 2명의 환자(11.7%)는 시술을 2번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치료에 실패한 1명(6%)의 환자는 랑데뷰 방법을 이용하여 직시 위내시경을 통해 치료에 성공하였다. 시술과연관된 사망 및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췌장염의 발생은 없었고, 3명의 환자에게서 경도의 일시적인 아밀라아제 상승소견이 보였다. 결론: 경피 경간 유두부 풍선 확장술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은 ERCP에 부적절하거나 실패한 환자 군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occasionally fails due to surgically altered anatomy, difficult cannulation, or poor general con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PTPBD)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Methods: Between 2001 and 2010, 17 out of 509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and acute cholangitis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After PTPBD of the sphincter, the stones were extracted using an occlusion balloon to push the stone over a guidewire into the duodenum. The procedure success was evaluated based on residual stones. In addition, the size and number of ston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17 patients, nine had a previous gastrectomy, four had poor general condition, and four had unsuccessful cannulation, The stone diameter ranged from 8 to 25 mm, Seven, five, and five patients had one, two, or three or more stone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ccessful in 16 out of 17 patients, with no residual stones. Treatment failed in one patient, who was then treated with the rendezvous technique with endoscopy. No procedure-related major complication occurred. Three patients had mild transient elevations of the serum amylase levels. Conclusions: PTPBD was safe and effective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in patients with unsuccessful or contraindicated ERCP. | 
    
|---|---|
| AbstractList | 목적: ERCP를 이용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간외 담관결석 환자에게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치료방법이지만, ERCP가 실패하거나,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담췌관으로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 환자의 전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등에서는 시술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ERCP를 시행하기 어려운간외 담관 결석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PTPBD (percutaen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의 안전성 및 유용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간외 담도 결석으로 내원한 509명의 환자 중 PTPBD를 이용하여 간외 담도 결석 제거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는 결석을 제거하기 3-4일 전에 PTBD를 시행하였다. 십이지장 유두부를 풍선 확장술로 확장시킨 후, 폐쇄 풍선 카테터(풍선 지름 11.5 mm)를 이용하여 결석을 확장된 유두부를 통해 십이지장 안으로 밀어내어 제거하였다. 크기가 15 mm를 넘는 큰 결석 일부는 부분 쇄석술을 먼저 시행한 후 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결과는 잔류 결석의 유무로 평가하였고, 합병증 및 결석의 크기와 수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시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들 중 이전에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9명, 전신상태가 불량한 환자가 4명, ERCP에 실패한 환자가 4명이었다. 결석의 크기는 직경이 평균 13.6mm (8-25 mm)이었고, 7명은 결석이 1개(41.2%), 5명은 2개 (29.4%), 그리고 남은 5명은 결석이 3개 이상(29.4%)이었다. 17명의 환자 중에 16명(94%)이 잔류 결석 없이 시술에 성공하였다. 이 중 2명의 환자(11.7%)는 시술을 2번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치료에 실패한 1명(6%)의 환자는 랑데뷰 방법을 이용하여 직시 위내시경을 통해 치료에 성공하였다. 시술과연관된 사망 및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췌장염의 발생은 없었고, 3명의 환자에게서 경도의 일시적인 아밀라아제 상승소견이 보였다. 결론: 경피 경간 유두부 풍선 확장술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은 ERCP에 부적절하거나 실패한 환자 군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occasionally fails due to surgically altered anatomy, difficult cannulation, or poor general con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PTPBD)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Methods: Between 2001 and 2010, 17 out of 509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and acute cholangitis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After PTPBD of the sphincter, the stones were extracted using an occlusion balloon to push the stone over a guidewire into the duodenum. The procedure success was evaluated based on residual stones. In addition, the size and number of ston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17 patients, nine had a previous gastrectomy, four had poor general condition, and four had unsuccessful cannulation, The stone diameter ranged from 8 to 25 mm, Seven, five, and five patients had one, two, or three or more stone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ccessful in 16 out of 17 patients, with no residual stones. Treatment failed in one patient, who was then treated with the rendezvous technique with endoscopy. No procedure-related major complication occurred. Three patients had mild transient elevations of the serum amylase levels. Conclusions: PTPBD was safe and effective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in patients with unsuccessful or contraindicated ERCP. 목적: ERCP를 이용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간외 담관 결석 환자에게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치료방법이지만, ERCP가 실패하거나,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담췌관으로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 환자의 전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등에서는 시술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ERCP를 시행하기 어려운 간외 담관 결석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PTPBD (percutaen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의 안전성 및 유용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간외 담도 결석으로 내원한 509명의 환자 중 PTPBD를 이용하여 간외 담도 결석 제거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는 결석을 제거하기 3-4일 전에 PTBD를 시행하였다. 십이지장 유두부를 풍선 확장술로 확장시킨 후, 폐쇄 풍선 카테터(풍선 지름 11.5 mm)를 이용하여 결석을 확장된 유두부를 통해 십이지장 안으로 밀어내어 제거하였다. 크기가 15 mm를 넘는 큰 결석 일부는 부분 쇄석술을 먼저 시행한 후 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결과는 잔류 결석의 유무로 평가하였고, 합병증 및 결석의 크기와 수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시술을 시행한 17명의 환자들 중 이전에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9명, 전신상태가 불량한 환자가 4명, ERCP에 실패한 환자가 4명이었다. 결석의 크기는 직경이 평균 13.6 mm (8-25 mm)이었고, 7명은 결석이 1개(41.2%), 5명은 2개(29.4%), 그리고 남은 5명은 결석이 3개 이상(29.4%)이었다. 17명의 환자 중에 16명(94%)이 잔류 결석 없이 시술에 성공하였다. 이 중 2명의 환자(11.7%)는 시술을 2번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치료에 실패한 1명(6%)의 환자는 랑데뷰 방법을 이용하여 직시 위내시경을 통해 치료에 성공하였다. 시술과 연관된 사망 및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췌장염의 발생은 없었고, 3명의 환자에게서 경도의 일시적인 아밀라아제 상승소견이 보였다. 결론: 경피 경간 유두부 풍선 확장술 및 폐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간외 담관 결석 제거술은 ERCP에 부적절하거나 실패한 환자군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Background/Aims: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occasionally fails due to surgically altered anatomy, difficult cannulation, or poor general con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PTPBD)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Methods:Between 2001 and 2010, 17 out of 509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and acute cholangitis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After PTPBD of the sphincter, the stones were extracted using an occlusion balloon to push the stone over a guidewire into the duodenum. The procedure success was evaluated based on residual stones. In addition, the size and number of ston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Of the 17 patients, nine had a previous gastrectomy, four had poor general condition, and four had unsuccessful cannulation. The stone diameter ranged from 8 to 25 mm. Seven, five, and five patients had one, two, or three or more stone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ccessful in 16 out of 17 patients, with no residual stones. Treatment failed in one patient, who was then treated with the rendezvous technique with endoscopy. No procedure-related major complication occurred. Three patients had mild transient elevations of the serum amylase levels. Conclusions:PTPBD was safe and effective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in patients with unsuccessful or contraindicated ERCP. (Korean J Med 2012;83:65-74) KCI Citation Count: 2  | 
    
| Author | 옥창수 윤상필 홍성표 유광호 Kang Hyun Ko Chang Su Ok Han Gyung Seon Kwang Ho Yoo 고광현 선한경 Chang Il Kwon 권창일 Pil Won Park Sang Pil Yoon Sung Pyo Hong Won Hee Kim 김원희 박필원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선한경 – sequence: 2 fullname: Han Gyung Seon – sequence: 3 fullname: 권창일 – sequence: 4 fullname: Chang Il Kwon – sequence: 5 fullname: 윤상필 – sequence: 6 fullname: Sang Pil Yoon – sequence: 7 fullname: 유광호 – sequence: 8 fullname: Kwang Ho Yoo – sequence: 9 fullname: 옥창수 – sequence: 10 fullname: Chang Su Ok – sequence: 11 fullname: 김원희 – sequence: 12 fullname: Won Hee Kim – sequence: 13 fullname: 고광현 – sequence: 14 fullname: Kang Hyun Ko – sequence: 15 fullname: 홍성표 – sequence: 16 fullname: Sung Pyo Hong – sequence: 17 fullname: 박필원 – sequence: 18 fullname: Pil Won Park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74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tjr9Lw0AYhg9RsNbugsuNLomXu8slN5bij0JBkO7hkl4kxraSTG4dMhQs2MHSVlopOAkOUSoo6D-UXP8Ho3V6-F6e7-XdAZudbkcCsGcgnXBED8PLto6RgXWb6IbOzA1QwtjmGrIY3wQlwyK2xgmj26ASx4GLCDI4pZiVgMzSRE0_YH67zJY9mL2lKpnD1XSiHodqPFTJrMi-V_dfvyhcqD4n-dNA9RdqPoFqtlAPzyp5hXl6B9WorxZJcRWPMB_0VqMZVOM0e3_ZBVu-uIpl5Z9l0Dw-atZOtcbZSb1WbWihSYjGirVeC5kSC7-Y6ImWENzykYVd18eSe9iWiJouQ5RhX1BpWq6kkgoPEcoIImVwsK7tRL4TeoHTFcEfL7pOGDnV82bdsRA3KSnU_bUaBnHsXEdBW0Q3DkGMmAiRH4isgrs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HZB Q5X ACYCR  | 
    
| DOI | 10.3904/kjm.2012.83.1.65 | 
    
| DatabaseName |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간외 담관 결석 환자에서 경피 경간 치료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PTPBD for Managing Extrahepatic Bile Duct Stones in Patients with Failed or Contraindicated ERCP  | 
    
| EISSN | 2289-0769 | 
    
| EndPage | 74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709543 3063500  | 
    
| GroupedDBID | 5-W 8JR 8XY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EF. HZB Q5X ACYCR  | 
    
| ID | FETCH-LOGICAL-k533-6769cd05e2af030cadaa97f072bbf2e9c28e045b60462fa4e57be4e4ac0346303 | 
    
| ISSN | 1738-9364 | 
    
| IngestDate | Tue Nov 21 21:44:15 EST 2023 Tue May 13 02:11:27 EDT 2025  | 
    
| IsPeerReviewed | true | 
    
| IsScholarly | true | 
    
| Issue | 1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33-6769cd05e2af030cadaa97f072bbf2e9c28e045b60462fa4e57be4e4ac0346303 | 
    
| Not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2.83.1.019  | 
    
| PageCount | 10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709543 kiss_primary_3063500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120701 2012-07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2-07-0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7 year: 2012 text: 20120701 day: 01  | 
    
| PublicationDecade | 2010 | 
    
| PublicationTitl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대한내과학회지 (Korean J Med) | 
    
| PublicationYear | 2012 | 
    
| Publisher | 대한내과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대한내과학회 | 
    
| SSID | ssib030194426 ssib044750981 ssj0000314786 ssib051086639  | 
    
| Score | 1.8142741 | 
    
| Snippet | 목적: ERCP를 이용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간외 담관결석 환자에게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치료방법이지만, ERCP가 실패하거나,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담췌관으로의... 목적: ERCP를 이용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간외 담관 결석 환자에게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치료방법이지만, ERCP가 실패하거나,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담췌관으로의...  | 
    
| SourceID | nrf kiss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65 | 
    
| SubjectTerms | Endoscopic retrograde; Choledocholithiasis 내과학 풍선 확장술;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 담도결석 Balloon dilation; Cholangiopancreatography  | 
    
| Title | 간외 담관 결석 환자에서 경피 경간 치료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06350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743  | 
    
| Volume | 83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대한내과학회지, 2012, 83(1), 623, pp.65-74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9-076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50981 issn: 1738-936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6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providerCode: PRVERR databaseName: KoreaMed Open Access customDbUrl: eissn: 2289-076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j0000314786 issn: 1738-9364 databaseCode: 5-W dateStart: 2006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koreamed.org/journals providerNam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e2ceGCQAMxvhQkfKpa0sRO4mPSZWxMcNqk3aIkTRDr1KLSCcEB7dDDJCaxA9M2tKFJnJA4FDQkkOAfar3_geePNlvZAbgkjv17znt-cfxeYj8jdI_EburFSV5OLTgQx8nLDOzWchVch7pD63msZls8duaXycMVujIxuXxq1tJ6J6mkr85dV_I_WoU80KtYJfsPmh1VChmQBv3CETQMx7_SMQ59HJjYIzisYcZw4JVwGGAvwAGRZWAomiWZsgQQUIBls5A1K_DMk4QhZrKMuTohQLUR3axEExycydJ3Lgl8oKoKsG9jryZr8LCv6gRST4JYbZjlY5_p2wRVybGoak6hqKANJVbJJVEj9pSANTFBQ3BFFaOyUAgIXFGsw0muFh1hsdUe_nHQ1vf4nAJ9J7-odiRr8ZJulh68XBcRzLNi8oKEOVpsYEG0jRQ7GH1_lis4SgtrpcUXmk5_ZqkWU3JVx_hTOJljDfVpQ63DIiYTPuBPDSyuGFhsFbF9OPKoLXzO9DA1jKjtM8ZHN5uZBB7JxqqIoFC1Kp5dqVYUdCxmOPiBNjXNSXTBgsFO7Gjy6HU4fM3CK50RUljdIuSjyYrlx1RsvuXoYLHSoLGrxJV7po6kUD_8BUP3x9kB2wZcn-dgqzXb-SlbbekyuqSdLMNXPeYKmmi0plHW73X5_ndj8Oa4f7xh9L_2ePfQONnf4x-2-e427x5A3q-Tdz_FCbAG_7E3-LjFN4_44Z7BD474-0-8-8UY9N4afGeTH3XhCgiNwdbGyc6BwXd7_W-fr6KluXCpNl_Wm4yUG-DplMUM77Ru0syKc2iZNK7HMXNz07WSJLcyllpeBl5P4ohF3HlMMuomGclInJo2ccD-u4ammq1mdh0ZcVKHYseiBBIOTRmNszih4CAked1J3Rk0LRomeqbCyERaSTPoLjRU1EifRiLUuzg_aUWNdgQO7ULkggtE7Bvnk95EF4tH9Raa6rTXs9tgI3eSO1LjvwEvjaG-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84%EC%99%B8+%EB%8B%B4%EA%B4%80+%EA%B2%B0%EC%84%9D+%ED%99%98%EC%9E%90%EC%97%90%EC%84%9C+%EA%B2%BD%ED%94%BC+%EA%B2%BD%EA%B0%84+%EC%B9%98%EB%A3%8C%EC%88%A0%EC%9D%98+%EC%9C%A0%EC%9A%A9%EC%84%B1+%EB%B0%8F+%EC%95%88%EC%A0%84%EC%84%B1%EC%97%90+%EB%8C%80%ED%95%9C+%EC%97%B0%EA%B5%AC&rft.jtitle=The+Korean+journal+of+medicine&rft.au=%EC%84%A0%ED%95%9C%EA%B2%BD&rft.au=Han+Gyung+Seon&rft.au=%EA%B6%8C%EC%B0%BD%EC%9D%BC&rft.au=Chang+Il+Kwon&rft.date=2012-07-01&rft.pub=%EB%8C%80%ED%95%9C%EB%82%B4%EA%B3%BC%ED%95%99%ED%9A%8C&rft.issn=1738-9364&rft.volume=83&rft.issue=1&rft.spage=65&rft_id=info:doi/10.3904%2Fkjm.2012.83.1.65&rft.externalDocID=3063500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9364&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9364&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936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