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유아의 적응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증진을 위한 모-아 집단 치료놀이 효과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유아의 적응행동 변화, 어머니의 애착유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아토피를 가지고 있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8쌍의 모아를 대상으로 집단 치료놀이를 실시하기 전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총 16회기의 모-아 집단 치료놀이(Theraplay)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와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아토피 유아의 적응행동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지속효과에서도 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2; no. 4; pp. 43 - 59
Main Authors 양한연, Han Yean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01.11.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유아의 적응행동 변화, 어머니의 애착유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아토피를 가지고 있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8쌍의 모아를 대상으로 집단 치료놀이를 실시하기 전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총 16회기의 모-아 집단 치료놀이(Theraplay)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와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아토피 유아의 적응행동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지속효과에서도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아토피유아의 모아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변화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셋째, 모-아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실시 후 아토피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MIM 평정척도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 구조, 도전, 개입, 양육의 측면에서 사후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testing the changes in infant with atopy and mother performing Mother-Infant Theraplay Program for the changes of the adaptive behavior of infant with atopy an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hanges in adaptive behavior of infant with atopy,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intera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8 mother-infant pairs in experiment group with atopy and control group and after performing preliminary inspection before carrying out theraplay, after carrying out total 16 sessions mother-infant Theraplay program, performed the same follow-up inspection as inspection. Mother-Infant Theraplay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adaptive behavior of infant with atopy in experiment group.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mother of infant with atopy. After performing mother-infant Theraplay program, in the observa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experiment group and child, in the aspects of structure, challenge, engagement and nurture, fallow-up scale appeared higher than preliminary inspection as a result of review on MIM rating scale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 with atopy and mother.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09.12.4.007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