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 환자에 발생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특성
목적: 횡문근융해증은 다양한 비외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급성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는 질환이다. 그러나 간경변 환자들에서 발생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은 몇몇 산별적인 보고가 있을 뿐이고 임상 특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알코올 및 비알코올 간경변 환자들에게 병발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특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화기내과에 간경변으로 입원한 환자 중 외상 없이 자발적인 횡문근융해증의 소견을 보인 19예를 대상으로 임상 특...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6; no. 3; pp. 218 - 225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30.09.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Summary: | 목적: 횡문근융해증은 다양한 비외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급성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는 질환이다. 그러나 간경변 환자들에서 발생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은 몇몇 산별적인 보고가 있을 뿐이고 임상 특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알코올 및 비알코올 간경변 환자들에게 병발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특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화기내과에 간경변으로 입원한 환자 중 외상 없이 자발적인 횡문근융해증의 소견을 보인 19예를 대상으로 임상 특성, 검사 소견 및 치료 성적을 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19예 중 남자 14예, 여자 5예였고, 평균연령은 49.6세(32-74세)였다. 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알코올(50.0%)이, 비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분명한 원인이 없는 자발적인 경우(69.2%)가 주된 원인이었다. 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대체로 비특이 증상을, 비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전형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상 간경변군에서는 사망한 환자가 없었으나, 비대상 간경변군에서는 8명(57.1%)이 사망하여, 비대상 변화 유무에 따른 사망률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핍뇨는 8예(42.1%), 급성신부전은 12예(63.2%)에서 발생하였고, 전체 사망 환자 수는 8예(42.1%)였다. 핍뇨와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였을 때 사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간경변 환자에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특히 비대상 간경변 환자와 경과 중 핍뇨와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경우에서 사망률이 높았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에서 횡문근 융해증의 발생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의심될 경우 신속히 진단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Background/Aims: Rhabdomyolysis is a serious and lethal condition that can be induced not only by traumatic causes but also by a variety of nontraumatic causes.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about rhabdomyolysis developed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elucid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s of rhabdomyolysi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Methods: We analyzed 19 cases of nontraumatic rhabdomyolysi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ho had admitted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between October 2001 and September 2004. Results: Alcohol (50%) was the main etiology of rhabdomyolysis in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the precipitating factors were not apparent (69.2%) in majority of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with rhabdomyolysis.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had complaints of pain referable to the musculoskeletal system, but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had no typical complaints. Mortality of rhabdomyolysis in liver cirrhosis patients was high (42.1%), especially in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patients (p=0.04). In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the development of oliguria (p=0.007) and acute renal failure (p=0.049) in the course of rhabdomyolysis increased the mortality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cirrhosis patients, rhabdomyolysis showed a poor prognosis, especially in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with oliguria, acute renal failure, or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It is believed that a high clinical suspicion for the occurrence of rhabdomyolysis in liver cirrhosis patients can lead to quicker recognition and better patient care.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218-225)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5.46.3.002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