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양성자펌프억제제의 효과-예비 연구

목적: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고 활성산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억제제인 pantoprazole은 췌장의 소화효소의 분비를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작용 외에도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런 pantoprazole의 사용이 급성 췌장염의 임상 경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2년 5월까지 급성 췌장염으로 입원한 환자 중 위식도 역류질환이 동반된 4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60; no. 6; pp. 362 - 367
Main Authors 유정환, Jeong Hwan Yoo, 권창일, Chang Ii Kwon, 유광호, Kwang Ho Yoo, 윤해리, Har Ry Yoon, 김원희, Won Hee Kim, 고광현, Kwang Hyun Ko, 홍성표, Sung Pyo Hong, 박필원, Pil Wo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12.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Abstract 목적: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고 활성산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억제제인 pantoprazole은 췌장의 소화효소의 분비를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작용 외에도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런 pantoprazole의 사용이 급성 췌장염의 임상 경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2년 5월까지 급성 췌장염으로 입원한 환자 중 위식도 역류질환이 동반된 4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배정으로 연구하였다.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서는 pantoprazole을 투여하였고 다른 군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Pantoprazole은 금식기간 동안에는 하루 2번 40 mg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고 식사 시작 후에는 하루 2번 40 mg을 퇴원할 때까지 경구 투여하였다. 다른 급성 췌장염의 치료는 양 군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혈청 amylase, lipase 등의 혈액학적 검사와 APACHE II 점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고 입원 당시 복부 전산화단 층촬영을 시행하여 CT 중증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기준 특성, 혈액검사, APACHE II 점수, CT 중증도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ntoprazole 투여군에서 평균 입원일은 7.4일, 경구 섭취까지 걸린 시간은 69.0시간, 복통이 호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59.7시간이었다. APACHE II 점수는 입원 당시에는 3.15이었고 퇴원 시에는 2.35이었다. Pantoprazole을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는 평균 입원일은 7.6일, 경구 섭취까지 걸린 시간은 71.4시간, 복통이 호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61.8시간이었다. APACHE II 점수는 입원 당시에는 4.4이었고 퇴원 시에는 2.85이었다. 모두 양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antoprazole을 이용한 치료가 급성 췌장염의 경과에 어떤 개선도 보이지 못했다. 그러나 예비 연구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더 큰 규모의 전향적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로 검증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Oxygen free radic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cute pancreatitis. Pantoprazole as a proton pump inhibitor (PPI) has pancreatic anti-secretory effect and a pronounced inhibitory reactivity towards hydroxyl radical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ntoprazole on the course of acute pancreatitis.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nvolving 40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PPI and the other group did not receive PPI. In the PPI group, patients received pantoprazole 40 mg intravenously twice a day for fasting time, and then 40 mg orally twice a day until discharg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markers between two groups. In the pantoprazole group, mean hospital stay was 7.4 days, time to start oral intake was 69.0 hours, and time to pain relief was 59.7 hours.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was 3.15 at admission day and 2.35 at discharge. On the other hand, in the non-pantoprazole group, mean hospital stay was 7.6 days, time taken to start oral intake was 71.4 hours, and time taken to pain relief was 61.8 hours. APACHE II score was 4.4 at admission and 2.85 at dischar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reatment with pantoprazole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clinical course of acute pancreatitis. But, considering it was a pilot study, large scale prospective trials will be needed.
AbstractList 목적: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고 활성산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억제제인 pantoprazole은 췌장의 소화효소의 분비를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작용 외에도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런 pantoprazole의 사용이 급성 췌장염의 임상 경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2년 5월까지 급성 췌장염으로 입원한 환자 중 위식도 역류질환이 동반된 4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배정으로 연구하였다.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서는 pantoprazole을 투여하였고 다른 군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Pantoprazole은 금식기간 동안에는 하루 2번 40 mg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고 식사 시작 후에는 하루 2번 40 mg을 퇴원할 때까지 경구 투여하였다. 다른 급성 췌장염의 치료는 양 군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혈청 amylase, lipase 등의 혈액학적 검사와 APACHE II 점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고 입원 당시 복부 전산화단 층촬영을 시행하여 CT 중증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기준 특성, 혈액검사, APACHE II 점수, CT 중증도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ntoprazole 투여군에서 평균 입원일은 7.4일, 경구 섭취까지 걸린 시간은 69.0시간, 복통이 호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59.7시간이었다. APACHE II 점수는 입원 당시에는 3.15이었고 퇴원 시에는 2.35이었다. Pantoprazole을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는 평균 입원일은 7.6일, 경구 섭취까지 걸린 시간은 71.4시간, 복통이 호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61.8시간이었다. APACHE II 점수는 입원 당시에는 4.4이었고 퇴원 시에는 2.85이었다. 모두 양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antoprazole을 이용한 치료가 급성 췌장염의 경과에 어떤 개선도 보이지 못했다. 그러나 예비 연구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더 큰 규모의 전향적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로 검증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Oxygen free radic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cute pancreatitis. Pantoprazole as a proton pump inhibitor (PPI) has pancreatic anti-secretory effect and a pronounced inhibitory reactivity towards hydroxyl radical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ntoprazole on the course of acute pancreatitis.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nvolving 40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PPI and the other group did not receive PPI. In the PPI group, patients received pantoprazole 40 mg intravenously twice a day for fasting time, and then 40 mg orally twice a day until discharg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markers between two groups. In the pantoprazole group, mean hospital stay was 7.4 days, time to start oral intake was 69.0 hours, and time to pain relief was 59.7 hours.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was 3.15 at admission day and 2.35 at discharge. On the other hand, in the non-pantoprazole group, mean hospital stay was 7.6 days, time taken to start oral intake was 71.4 hours, and time taken to pain relief was 61.8 hours. APACHE II score was 4.4 at admission and 2.85 at dischar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reatment with pantoprazole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clinical course of acute pancreatitis. But, considering it was a pilot study, large scale prospective trials will be needed.
목적: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고활성산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억제제인 pantoprazole은 췌장의 소화효소의 분비를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작용 외에도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런 pantoprazole의 사용이 급성 췌장염의 임상 경과에 어떤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2년 5월까지 급성 췌장염으로 입원한 환자 중 위식도 역류질환이 동반된 4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배정으로 연구하였다. 20명씩 두 군으로나누어 한 군에서는 pantoprazole을 투여하였고 다른 군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Pantoprazole은 금식기간 동안에는 하루 2번 40 mg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고 식사 시작 후에는 하루 2번 40 mg을 퇴원할 때까지 경구 투여하였다. 다른 급성췌장염의 치료는 양 군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혈청 amylase,lipase 등의 혈액학적 검사와 APACHE II 점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고 입원 당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CT 중증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기준 특성, 혈액검사, APACHE II 점수, CT 중증도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ntoprazole 투여군에서 평균 입원일은 7.4일, 경구 섭취까지 걸린시간은 69.0시간, 복통이 호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59.7시간이었다. APACHE II 점수는 입원 당시에는 3.15이었고 퇴원 시에는 2.35이었다. Pantoprazole을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는 평균 입원일은 7.6일, 경구 섭취까지 걸린 시간은 71.4시간, 복통이 호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61.8시간이었다. APACHE II 점수는 입원 당시에는 4.4이었고 퇴원 시에는2.85이었다. 모두 양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antoprazole을 이용한 치료가 급성 췌장염의 경과에어떤 개선도 보이지 못했다. 그러나 예비 연구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더 큰 규모의 전향적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로 검증이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Oxygen free radic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cute pancreatitis. Pantoprazole as a proton pump inhibitor (PPI) has pancreatic anti-secretory effect and a pronounced inhibitory reactivity towards hydroxyl radical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ntoprazole on the course of acute pancreatitis.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nvolving 40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PPI and the other group did not receive PPI. In the PPI group, patients received pantoprazole 40 mg intravenously twice a day for fasting time, and then 40 mg orally twice a day until discharg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markers between two groups. In the pantoprazole group, mean hospital stay was 7.4 days, time to start oral intake was 69.0 hours, and time to pain relief was 59.7 hours.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was 3.15 at admission day and 2.35 at discharge. On the other hand, in the non-pantoprazole group, mean hospital stay was 7.6 days, time taken to start oral intake was 71.4 hours, and time taken to pain relief was 61.8 hours. APACHE II score was 4.4 at admission and 2.85 at dischar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reatment with pantoprazole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clinical course of acute pancreatitis. But, considering it was a pilot study, large scale prospective trials will be needed. KCI Citation Count: 0
Author 홍성표
유광호
유정환
Har Ry Yoon
Kwang Ho Yoo
고광현
권창일
Kwang Hyun Ko
Pil Won Park
Chang Ii Kwon
Sung Pyo Hong
Jeong Hwan Yoo
윤해리
Won Hee Kim
김원희
박필원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정환
– sequence: 2
  fullname: Jeong Hwan Yoo
– sequence: 3
  fullname: 권창일
– sequence: 4
  fullname: Chang Ii Kwon
– sequence: 5
  fullname: 유광호
– sequence: 6
  fullname: Kwang Ho Yoo
– sequence: 7
  fullname: 윤해리
– sequence: 8
  fullname: Har Ry Yoon
– sequence: 9
  fullname: 김원희
– sequence: 10
  fullname: Won Hee Kim
– sequence: 11
  fullname: 고광현
– sequence: 12
  fullname: Kwang Hyun Ko
– sequence: 13
  fullname: 홍성표
– sequence: 14
  fullname: Sung Pyo Hong
– sequence: 15
  fullname: 박필원
– sequence: 16
  fullname: Pil Won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186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E1LwzAAhoNMsM79Ai89eikkTdskxzH8GAwF6T2kJZFSbaU9ee9BYcgEWavM4UXw4EGRocJ-UU3_g9UJLzy8H7yboJOkiVwDhm1jbHnUYx1gIJdRizFmb4BenkcBbAPkIYgMcFh_XunizdQfYz1_0uXSbO4qPZ_ocqKLmamnN23b-uZ63NwWerrQj7NfPVRmc_9cvy8tXV1-fxWmLl_rxcsWWFfiNJe9f3aBv7frDw6s0dH-cNAfWbGLoeUEjqKCYihDhqUgHsEEuhiF0AmkgCygWLlEBjZhRIVEKhcp4QUtXQdCSHAX7Kxuk0zxOIx4KqI_nqQ8znj_2B9yx0HUg-10ezWNozzn51l0JrILjhGClCH8A86sb3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양성자펌프억제제의 효과-예비 연구
Colorectal neoplasms; Diabetes mellitus; Metformin; Recurrence
EISSN 2233-6869
EndPage 36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41860
3110891
GroupedDBID 5-W
8JR
8XY
9ZL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CNDV
EBD
EF.
EMOBN
F5P
GROUPED_DOAJ
HZB
OK1
Q5X
SV3
ACYCR
ID FETCH-LOGICAL-k530-4b4f8a830ec93ea767370531c04bea09b83f57eb2797fc7ef51fa6bef55400073
ISSN 1598-9992
IngestDate Sun Jan 26 10:32:42 EST 2025
Sat Apr 26 02:22:37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6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0-4b4f8a830ec93ea767370531c04bea09b83f57eb2797fc7ef51fa6bef55400073
Notes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12.60.6.007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41860
kiss_primary_311089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212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2-12-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2
  text: 201212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PublicationTitleAlternate 대한소화기학회지
PublicationYear 2012
Publisher 대한소화기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소화기학회
SSID ssib015916101
ssib003110202
ssib059854591
ssj0064443
ssib050734789
Score 1.8822877
Snippet 목적: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고 활성산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억제제인 pantoprazole은...
목적: 급성 췌장염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관여하고 있고활성산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억제제인 pantoprazole은...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362
SubjectTerms Oxidative stress
Proton pump inhibitors
내과학
산화 스트레스 Pancreatitis
양성자펌프억제제
췌장염
Title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양성자펌프억제제의 효과-예비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11089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1867
Volume 6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소화기학회지, 2012, 60(6), , pp.362-367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AON
  databaseName: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customDbUrl:
  eissn: 2233-686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j0064443
  issn: 1598-9992
  databaseCode: DOA
  dateStart: 1968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www.doaj.org/
  providerName: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33-686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59854591
  issn: 1598-9992
  databaseCode: M~E
  dateStart: 1968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providerCode: PRVERR
  databaseName: KoreaMed Open Access
  customDbUrl:
  eissn: 2233-686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j0064443
  issn: 1598-9992
  databaseCode: 5-W
  dateStart: 2003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koreamed.org/journals
  providerNam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Oz25EWUKtaPEsE5LZHs5mvmmGQjW0t7WrGeQpJNSl3YlHRLwYOnPSgUqSDdVWrxInjwoEhRob-ozv4H30xms1noQYUleTsfb968N8l7k5l5D6H7kWmkoCX4VimTqkZsWSq1E1u1ul2NJqAk9JgfFF7fsNqPjUeb5uZC7VJl19LeIHoQP7_wXMn_SBXSQK78lOw_SLZECgkAg3zhChKG61_JGPsOdgkmFPseJgZ2G3UOuTYmHgeojx1TADZ2PchrYUoxJTKPajKvAAAB9QQCamHaKHFWSrcw8QVuQGTw3KKwKxpxNKg_B1AoRopmHewQQa4OlKgiEwiHJBe7FDDVp2RqopSJpU_IZ7PRvJbl02UDaUJvhbuDPONeRfO51QGBS9AhqTHLrpc7hhIeZKm9DwifZtmsIrRtSe4BKW5LdsMtPyaL4xj11e362r4c0fKbSUOEb5HLP3yU874BJiL4BiQUPCHWlIGU87CQoFuWoZJbxKuqCwrqgtI5fVLER5DPTVU56FLvzPv31vlBDO5_oaY3eAiO9Rd-5YUL9t_MPxs0Bwa6Vr6QoXUwgGm5pwls2-JEyZQssDNgGrILdlM_Tyt2U-cquiInPIpTjN5raKGXLaGN85-v2PCbwn4csJNPbHSmTN6N2ckhGx2y4bHCjt5ALvyfvD6YvB2yo1P28Zj_PoyVyfvP59_PVDZ--fvXUGGjr-enX66jzkO_47VVGdlD7Zm6phqRkZKQ6FoSUz0JbR4riSuDWDOiJNRoRPTUtJOoaVM7je0kNRtpaEVwh_kFX1u-gRb7WT-5iRQtTsHgD5ugW2KjmXZJFHZtvWvETbura2myjJY4B4KdwndLILm9jO4BR4JevB1w_-r8vpUFvTyAWeRqAFMEYmm3Lq56G12eDak7aHGQ7yV3wTAdRCuoZqpPVoQI_wBpW3qZ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89%EC%84%B1+%EC%B7%8C%EC%9E%A5%EC%97%BC+%ED%99%98%EC%9E%90%EC%97%90%EC%84%9C+%EC%96%91%EC%84%B1%EC%9E%90%ED%8E%8C%ED%94%84%EC%96%B5%EC%A0%9C%EC%A0%9C%EC%9D%98+%ED%9A%A8%EA%B3%BC-%EC%98%88%EB%B9%84+%EC%97%B0%EA%B5%AC&rft.jtitle=The+Korean+journal+of+gastroenterology&rft.au=%EC%9C%A0%EC%A0%95%ED%99%98&rft.au=Jeong+Hwan+Yoo&rft.au=%EA%B6%8C%EC%B0%BD%EC%9D%BC&rft.au=Chang+Ii+Kwon&rft.date=2012-12-30&rft.pub=%EB%8C%80%ED%95%9C%EC%86%8C%ED%99%94%EA%B8%B0%ED%95%99%ED%9A%8C&rft.issn=1598-9992&rft.volume=60&rft.issue=6&rft.spage=362&rft.externalDocID=311089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99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99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99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