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관람가치가 관람만족, 팀에 대한 태도, 팀이미지, 팀동일시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야구 관중들이 지각하는 관람가치와 관람만족, 팀에 대한 태도, 팀이미지, 팀동일시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0 CJ마구마구프로야구의 홈 관중이며,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300부를 표집한 후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15부를 제외한 총 285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4.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개별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프로야구 관중이 지각하는 관람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21; no. 4; pp. 1569 - 1581
Main Authors 김용만, Yong Ma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12.2010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0.21.4.15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야구 관중들이 지각하는 관람가치와 관람만족, 팀에 대한 태도, 팀이미지, 팀동일시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0 CJ마구마구프로야구의 홈 관중이며,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300부를 표집한 후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15부를 제외한 총 285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4.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개별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프로야구 관중이 지각하는 관람가치는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람만족은 팀에 대한 태도 및 팀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으나 팀동일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팀에 대한 태도는 팀동일시 및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팀이미지는 팀동일시에 영향을 미쳤으나 재관람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팀동일시는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value of spectating, satisfaction with spectating, attitude toward a team, team image, team identification & intention of revisit. The subjects were home spectators of the professional baseball. After sampling 300 copie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is research used a total of 285 copies as final valid samples. As for its data processing, this research verified individual hypotheses after verifying the goodness of fit of a model using SPSSWIN Ver. 14.0 & AMOS 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value of spectating had a effect on satisfaction with spectating. Second, satisfaction with spectating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a team & team image. Third, attitude toward a team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 intention of revisit. Fourth, team image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Fifth, team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
Bibliography:G704-000739.2010.21.4.004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0.21.4.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