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악화와 회복기에서 유도객담 내 Nuclear Factor-κB (NF-κB)의 활성도와 IL-6, IL-8 및 TNF-α의 농도 변화
연구배경 : COPD의 급성악화는 세균에 의한 감염,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대기오염, 기후변화 등에 의하며, COPD의 급성악화 시에 객담 내 호중구의 증가, IL-6와 IL-8 농도의 증가, 그리고 산화질소의 증가는 NF-κB의 활성화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COPD의 병인 및 급성악화의 기전에 NF-κB 활성도와 IL-6, IL-8 및 TNF-α가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정상대조군 및 COPD로 입원하였던 환자 Background :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
Saved in:
| Published 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 58; no. 2; pp. 152 - 159 |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8.02.200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3536 2005-6184 |
Cover
| Summary: | 연구배경 : COPD의 급성악화는 세균에 의한 감염,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대기오염, 기후변화 등에 의하며, COPD의 급성악화 시에 객담 내 호중구의 증가, IL-6와 IL-8 농도의 증가, 그리고 산화질소의 증가는 NF-κB의 활성화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COPD의 병인 및 급성악화의 기전에 NF-κB 활성도와 IL-6, IL-8 및 TNF-α가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정상대조군 및 COPD로 입원하였던 환자
Background :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airway inflammation, and the NF-κB is known to be an indicator of cellular activation and of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This stud |
|---|---|
| Bibliography: |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KISTI1.1003/JNL.JAKO200530360544179 |
| ISSN: | 1738-3536 2005-61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