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막의 생체조직적합성과 양수막 이식이 각막 신생혈관 억제에 미치는 효과

저자들은 양수막의 생체조직적합성과 양수막 이식후의 각막 신생혈관 역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각막을 가진 가토와 실험적으로 안구표면질환을 유발시킨 가토를 대상으로 양수막의 생체조직적합성을 평가하고 각막 신생혈관의 저지능력을 알아보았다. 양수막의 생체조직학적합성을 알아본 실험에서 3개월 추적기간 관찰중 야수막 이식군에서는 이식편 거부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이식한 양수막이 잘 유지되었던 반면 동종표층각막 이식군에서는 5안중 3안에서 거부반응이 일어났으며 그중 1안에서는 각막 천공이 발생하였다. 양수막 이식후 신생혈관 억제효과는 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8; no. 7; pp. 1097 - 1104
Main Authors 이우재, Woo Jae Lee, 김재찬, Jae Cha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199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저자들은 양수막의 생체조직적합성과 양수막 이식후의 각막 신생혈관 역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각막을 가진 가토와 실험적으로 안구표면질환을 유발시킨 가토를 대상으로 양수막의 생체조직적합성을 평가하고 각막 신생혈관의 저지능력을 알아보았다. 양수막의 생체조직학적합성을 알아본 실험에서 3개월 추적기간 관찰중 야수막 이식군에서는 이식편 거부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이식한 양수막이 잘 유지되었던 반면 동종표층각막 이식군에서는 5안중 3안에서 거부반응이 일어났으며 그중 1안에서는 각막 천공이 발생하였다. 양수막 이식후 신생혈관 억제효과는 실험적 성공군(ES), 부분적 성공군(EPS), 실험적 실패군(EF)로 나누어 평가하였는데 양수막 이식군은 ES군 3안, EPS군 3안, EF군이 4안 있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10안 모두 EF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인간의 양수막은 이식편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기에 면역학적으로 불활성 물질로 생각되며 인간의 양수막 이식으로 각막기초막을 복원시키면 건강한 정상각막으로 회복하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본다. 본 실험 결과는 앞으로 양수막 이식술이 임상적으로 안구표면의 큰 결손 혹은 심한 안구표면 손상시 이용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하겠다(한안지 38:1097~1104, 1997). To evaluate the biocompatibility of amniotic membrane(AM) and the effect of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AMT) on inhibition of corneal neovascularization in severely damaged ocular surface disease. AMT group did not show graft rejection but allogenic corneal lamellar transplantation group show graft rejection 3 in 5 rabbits. In 3 months of follow-up, all control corneas were revascularized to the center with granuloma and total corneal opacity. In contrast, 3 corneas in the experimental group became with either minimal or no vascularization: the rest had either midperipheral (n=3) or total (n=4) vascularization with stromal opacity. AM was intact in experimental success group, whereas AM was either partially degraded or covered by host fibrovascular stroma in experimental failure group. So the success of corneal surface reconstruction correlated with the preservation of AM.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a basement membrane by AMT contribute to the recovery of the healthy normal corneal epithelium. There results suggest that AMT could be useful for ocular surface reconstruction clinically(J Korean Ophthalmol Soc 38:1097~1104, 1997).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