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밥 및 외식소비 관련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SNS 이용 및 추천정보활용의 영향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e and recommended information utilization (SURU)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s (FRLs) of consumers and analyz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RL and SURU affects the practice of eating alone and visiting restaurants....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6; no. 5; pp. 573 - 588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영양학회
202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88-3886 2288-3959 |
| DOI | 10.4163/JNH.2023.56.5.573 |
Cover
| Summary: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e and recommended information utilization (SURU)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s (FRLs) of consumers and analyz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RL and SURU affects the practice of eating alone and visiting restaurants. Methods: Data on 4,624 adults in their 20s to 50s were collected from the 2021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Statistical methods included factor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the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the complex samples Rao-Scott χ2 test, and the general linear model. Results: The following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RL data: Convenience pursuit, rational consumption pursuit, and gastronomy pursuit, an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amely the rational consumption, convenient gastronomy, and smart gourmet groups. An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SURU according to the FRL showed that the smart gourmet group had the highest scor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RL and SURU on eating alone revealed that both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on effect were significant (p < 0.01, p < 0.001). The higher the SURU,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in the convenience pursuit, and gastronomy pursuit groups.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FRL and SURU o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ere also significant (p < 0.01, p < 0.001). In all the FRL groups, the higher the SURU level, the higher the frequency of visiting restaurants. Specifically, the two groups with convenience and gastronomic tendencies showed a steeper increas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basic data for research on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food SNS, market segmentation of restaurant consumers, and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using S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50대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FRL)에 따른 SNS 이용 및 추천정보 활용 (SURU) 정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FRL과 SURU간의 상호작용이 혼밥 및 방문 외식소비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척도는 요인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이용해 요인들을 추출하고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FRL에 따른 SURU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일변량분석을 실시했으며, 혼밥 정도와 외식정도에 있어 FRL과 SURU의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일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FRL은 편의성추구, 합리적소비추구, 미식추구의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합리적소비군, 편의적미식군, 스마트미식군으로 분류되었다. SURU는 한 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점수에 따라 고·중·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FRL에 따른 SURU 정도 및 SURU 그룹 비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미식군에 있어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SURU 그룹 비율에 있어 저 그룹에서는 합리적소비군, 중 그룹에서는 스마트미식군, 고 그룹에서는 편의적미식군과 스마트미식군이 유사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혼밥에 있어서의 FRL과 SURU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1, p < 0.001). FRL 그룹 중 합리적소비군을 제외한 나머지 두 군집에서 SURU가 높아질수록 혼밥 정도가 높아졌는데 그 중 편의적미식군에 있어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외식정도에 대한 FRL과 SURU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역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1, p < 0.001). 모든 FRL 그룹에 있어 SURU 수준이 높아질수록 외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합리적소비군에 비해 편의성과 미식성향이 나타나는 두 군집에 있어 더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미식군에 있어 SURU 수준에 따라 방문 외식 정도가 더 급격히 증가하였다. 최근의 다변화, 다양화 되고있는 식생활에서 중요한 정보수집 도구이자 강력한 구전 수단인 SNS의 이용자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식품 외식 SNS 관련 소비자 행동 연구 및 외식 소비자들의 시장세분화와 SNS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31957910789 |
| ISSN: | 2288-3886 2288-3959 |
| DOI: | 10.4163/JNH.2023.56.5.5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