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성인의 성별·연령군에 따른 총 에너지 섭취 대비 식품군·음식군 에너지 섭취비율: 201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Purpose: To provide the primary data on dietar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we analyzed the intake rate of food groups and dish groups according to obesity and ag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SE, 2013-2018). Methods: This s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5; no. 6; pp. 670 - 683
Main Authors 손정민(Cheongmin Sohn), 나우리(Woori Na), 김채련(Chaeryeon Kim), 최승희(Seunghee Choi), 김오연(Oh Yoen Kim), 이정희(Jounghee Lee), 윤미옥(Mi Ock Yoon), 이명숙(Myoungsoo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2.55.6.67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To provide the primary data on dietar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we analyzed the intake rate of food groups and dish groups according to obesity and ag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SE, 2013-2018).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1,184 adults aged 19-64 years, obtained from the KNHANSE 2013-2018. The 24-hour recall was performed and the food groups were classified into six representative food groups (grains, meat·fish·eggs·legumes, vegetables, fruits, milk and dairy, and oil and sugar), and 'alcohol' and 'others'. The dish group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twenty-four types. Results: The normal group included 9,004 subjects (42.5%), while the obese group had 12,180 subjects (57.5%). The food group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obesity were grains (p < 0.001), meat/fish/egg/legumes (p < 0.001), and vegetables (p < 0.001);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male and female. Comparing the intake rate of food groups and dish groups targeting only the obese group according to age, the food groups showing significance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normal group were grains (p < 0.001) and vegetables (p < 0.001),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intake in both genders. Considering the dish groups, significant increases were determined for stews (p < 0.001), seasoned vegetables (p < 0.001), and kimchi (p < 0.001) in male, and for rice (p < 0.001), seasoned vegetables (p < 0.001), kimchi (p < 0.001), and rice cakes (p < 0.001) in fema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intake ratio of food and dish groups differs by age in obese adults. We believe that our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forming dietary guidelines for obese adul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 비만 성인의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비만군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식품군·음식군 섭취비율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 여부에 따른 총 에너지 섭취 대비 식품군의 섭취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는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류, 기타로 나타났으며, 여성에서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류, 유지 및 당류, 기타로 나타났다. 비만 여부에 따른 총 에너지 섭취 대비 음식군의 섭취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는 면·만두류, 구이류, 볶음류, 나물·무침류, 회류, 장아찌류, 과일군, 밥류, 빵·과자류, 우유 및 유제품, 음료·차류였으며, 여성에서는 밥류, 면·만두류, 빵류, 구이류, 볶음류, 튀김류, 나물·무침류, 김치류, 회류, 과일군, 떡류, 우유 및 유제품, 음료·차류로 나타났다. 비만 성인에서 연령에 따른 총 에너지 섭취 대비 식품군 섭취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연령에 따라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류, 기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 우유 및 유제품류, 유지 및 당류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성인에서 연령에 따른 총 에너지 섭취대비 음식군 섭취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연령에 따라 빵·과자류, 면·만두류, 찌개류, 찜류, 구이류, 튀김류, 우유 및 유제품류, 음료·차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밥류, 빵·과자류, 면·만두류, 구이류, 볶음류, 튀김류, 김치류, 나물·무침류, 음료·차류, 떡류, 기타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통해 비만 성인에서 연령별 식품군 및 음식군의 섭취 비율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비만 성인의 성별과 연령대를 고려한 식사 섭취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되는 바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10250697758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2.55.6.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