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매립지 오염평가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사례연구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28; no. 5; pp. 463 - 471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Cover
Abstract |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y fields and the resistivity survey lines were crossed to examine possible pollution at the paddy fields by leakage of the landfill leachate. In Wonju, the landfill and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are divided by a concrete barrier wall. At the bottom of the landfill, there is a leachate settlement system, which has not been in operation. To evaluate leachate leakage into the paddy fields, a total of 4 survey lin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survey results, the landfill leachate in Cheonan appeared to be restricted only within the interior of the landfill, not to migrate into the subsurface of the paddy fields. These results are well consistent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f groundwaters obtained from a periodic analysis of water qualities. In Wonju, however, it was inferred that the leachate emanating from the landfill migrated beneath the abandoned leachate settlement system and the leachate would reach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Low resistivity area was observed in the old reservoir area and it appeared to be derived from convergence of groundwater flows from the surrounding valley and the moist wet land. In addition, groundwater flow into the paddy fields occurs beneath the old reservoir embankment at depths of $7{\sim}8m$. This paper reports details of the resistivity surveys for the uncontrolled landfills.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비저항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립지 주변 지질구조와 침출수 오염영역, 침출수 유동을 평가하였다. 천안 직산매립지는 매립지가 논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립지로부터 침출수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어 물리탐사 측선 배열을 매립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는 측선배열을 수행하였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 매립지와 주변 논밭의 경계가 매립지 옹벽으로 나뉘며, 매립지 경계로부터 침출수 침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현재는 방치된 상태로 침출수 누출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총 4개 측선에 대해 3개 측선은 매립지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개 측선은 이 3개 측선을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2차원 비저항 역산모델을 수행한 결과 천안매립지의 경우 침출수가 외부 논으로 확대되지 않고 매립지 내부에 정체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하수 관측정 정기 수질분석시 측정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는 매립지로부터 유래된 침출수가 매립지 경계 부근 폐기된 침출수 처리시설 밑으로 흐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매립지 주변 기존 저수지였던 곳에서는 매립지 주변에 위치한 계곡의 영향으로 계곡에서 흘러드는 지하수에 의한 흐름과 과거 저수지의 영향으로 지표 근처에서 낮은 비저항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 제방에서는 하부 $7{\sim}8m$ 심도에서 지하수가 논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하의 반응온도 기준으로 약 $10{\sim}80%$ 이상이었다. 따라서, CVOCs 제거반응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일 $CrO_x/Al_2O_3$ 촉매보다는 $CrO_x$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반응활성을 얻을 수 있는 $CrO_x/TiO_2$-based복합 산화물 촉매가 보다 바람직하며 하나의 대안적인 촉매 디자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EX>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
AbstractList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비저항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립지 주변 지질구조와 침출수 오염영역, 침출수 유동을 평가하였다. 천안 직산매립지는 매립지가 논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립지로부터 침출수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어 물리탐사 측선 배열을 매립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는 측선배열을 수행하였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 매립지와 주변 논밭의 경계가 매립지 옹벽으로 나뉘며, 매립지 경계로부터 침출수 침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현재는 방치된 상태로 침출수 누출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총 4개 측선에 대해 3개 측선은 매립지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개 측선은 이 3개 측선을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2차원 비저항 역산모델을 수행한 결과 천안매립지의 경우 침출수가 외부 논으로 확대되지 않고 매립지 내부에 정체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하수 관측정 정기 수질분석시 측정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는 매립지로부터 유래된 침출수가 매립지 경계 부근 폐기된 침출수 처리시설 밑으로 흐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매립지 주변 기존 저수지였던 곳에서는 매립지 주변에 위치한 계곡의 영향으로 계곡에서 흘러드는 지하수에 의한 흐름과 과거 저수지의 영향으로 지표 근처에서 낮은 비저항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 제방에서는 하부 7~8 m 심도에서 지하수가 논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y fields and the resistivity survey lines were crossed to examine possible pollution at the paddy fields by leakage of the landfill leachate. In Wonju, the landfill and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are divided by a concrete barrier wall. At the bottom of the landfill, there is a leachate settlement system, which has not been in operation. To evaluate leachate leakage into the paddy fields, a total of 4 survey lin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survey results, the landfill leachate in Cheonan appeared to be restricted only within the interior of the landfill, not to migrate into the subsurface of the paddy fields. These results are well consistent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f groundwaters obtained from a periodic analysis of water qualities. In Wonju, however, it was inferred that the leachate emanating from the landfill migrated beneath the abandoned leachate settlement system and the leachate would reach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Low resistivity area was observed in the old reservoir area and it appeared to be derived from convergence of groundwater flows from the surrounding valley and the moist wet land. In addition, groundwater flow into the paddy fields occurs beneath the old reservoir embankment at depths of 7~8 m. This paper reports details of the resistivity surveys for the uncontrolled landfills. KCI Citation Count: 1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y fields and the resistivity survey lines were crossed to examine possible pollution at the paddy fields by leakage of the landfill leachate. In Wonju, the landfill and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are divided by a concrete barrier wall. At the bottom of the landfill, there is a leachate settlement system, which has not been in operation. To evaluate leachate leakage into the paddy fields, a total of 4 survey lin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survey results, the landfill leachate in Cheonan appeared to be restricted only within the interior of the landfill, not to migrate into the subsurface of the paddy fields. These results are well consistent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f groundwaters obtained from a periodic analysis of water qualities. In Wonju, however, it was inferred that the leachate emanating from the landfill migrated beneath the abandoned leachate settlement system and the leachate would reach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Low resistivity area was observed in the old reservoir area and it appeared to be derived from convergence of groundwater flows from the surrounding valley and the moist wet land. In addition, groundwater flow into the paddy fields occurs beneath the old reservoir embankment at depths of $7{\sim}8m$. This paper reports details of the resistivity surveys for the uncontrolled landfills.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비저항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립지 주변 지질구조와 침출수 오염영역, 침출수 유동을 평가하였다. 천안 직산매립지는 매립지가 논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립지로부터 침출수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어 물리탐사 측선 배열을 매립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는 측선배열을 수행하였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 매립지와 주변 논밭의 경계가 매립지 옹벽으로 나뉘며, 매립지 경계로부터 침출수 침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현재는 방치된 상태로 침출수 누출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총 4개 측선에 대해 3개 측선은 매립지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개 측선은 이 3개 측선을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2차원 비저항 역산모델을 수행한 결과 천안매립지의 경우 침출수가 외부 논으로 확대되지 않고 매립지 내부에 정체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하수 관측정 정기 수질분석시 측정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는 매립지로부터 유래된 침출수가 매립지 경계 부근 폐기된 침출수 처리시설 밑으로 흐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매립지 주변 기존 저수지였던 곳에서는 매립지 주변에 위치한 계곡의 영향으로 계곡에서 흘러드는 지하수에 의한 흐름과 과거 저수지의 영향으로 지표 근처에서 낮은 비저항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 제방에서는 하부 $7{\sim}8m$ 심도에서 지하수가 논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하의 반응온도 기준으로 약 $10{\sim}80%$ 이상이었다. 따라서, CVOCs 제거반응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일 $CrO_x/Al_2O_3$ 촉매보다는 $CrO_x$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반응활성을 얻을 수 있는 $CrO_x/TiO_2$-based복합 산화물 촉매가 보다 바람직하며 하나의 대안적인 촉매 디자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EX>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uthor | 이성순(Sung Soon Lee) 이강근(Kang Kun Lee) 윤희성(Hee Sung Yoon) 유영철(Young Chul Yu) 이진용(Jin Yong Lee) 김창균(Chang Gyun Kim)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성순(Sung Soon Lee) – sequence: 2 fullname: 이진용(Jin Yong Lee) – sequence: 3 fullname: 윤희성(Hee Sung Yoon) – sequence: 4 fullname: 이강근(Kang Kun Lee) – sequence: 5 fullname: 김창균(Chang Gyun Kim) – sequence: 6 fullname: 유영철(Young Chul Yu)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9800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Fjr9Lw0AcxYMoWGv_hyyCS-Due3f5MZZabbVYkDofl-ZOQmoqiQ5uRR3spIvUoSBCbZcMXXSq_1Av_R8MVnB4vAfvw-PtGJtxP5YbRgmISyzHxWjTKGEAZjEEbNuopGnoI0odQpFLS0ZDfz3qt6GpZxM9_c5nAzN_neSjxeppuJwP9MfCzMcPq5exWVTLz0xnCz3NzNX9c36XmYX0-yAfzYtm19hSopfKyp-XjfPDeqfWsFrto2at2rIijBlYmFIQBFEReMonwsNE2RgXXwNEfXAQ2Mr1lEDKFV0EQIAqKbtMMseXoKRNysb-ejdOFI-6Ie-L8Ncv-jxKePWs0-SAKLNpge6t0ShMr0MeB2mPH1dP2oCQjTwPMYdgRuGfi2-S8FIGoeBXRRDJLT9tH9SR7TDsekB-APwreYA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JDI ACYCR |
DEWEY | 628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Korean Database (DBpia)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Engineering |
DocumentTitleAlternate | Environmental Geophysical Survey of Abandoned Landfills for Contamination Evaluation : A Case Study |
DocumentTitle_FL | Environmental Geophysical Survey of Abandoned Landfills for Contamination Evaluation: A Case Study |
EISSN | 2383-7810 |
EndPage | 471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204564 JAKO200609905731542 NODE06751892 |
GroupedDBID |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GROUPED_DOAJ GW5 JDI MZR TDB ZZE .UV 85H ACYCR |
ID | FETCH-LOGICAL-k1152-1442a304ad9fb3a913f611383d04b27026f89fa0f8ac022324feec5e57be2fe63 |
ISSN | 1225-5025 |
IngestDate | Tue Nov 21 21:40:01 EST 2023 Fri Dec 22 11:59:01 EST 2023 Thu Mar 13 19:38:43 EDT 2025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5 |
Keywords | 전기전도도 전기비저항 침출수 Electrical Conductivity 불량매립지 쌍극자 배열 Abandoned Landfills Electrical Resistivity Leachate Dipole-dipole Array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1152-1442a304ad9fb3a913f611383d04b27026f89fa0f8ac022324feec5e57be2fe63 |
Notes | KISTI1.1003/JNL.JAKO200609905731542 G704-000098.2006.28.5.006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60990573154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9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204564 kisti_ndsl_JAKO200609905731542 nurimedia_primary_NODE06751892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06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6-01-01 |
PublicationDate_xml | – year: 2006 text: 2006 |
PublicationDecade | 2000 |
PublicationTitle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
PublicationTitleAlternat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PublicationYear | 2006 |
Publisher | 대한환경공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환경공학회 |
SSID | ssib044734084 ssib053377094 ssj0002782626 ssib022229522 |
Score | 1.5998 |
Snippet |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
SourceID | nrf kisti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463 |
SubjectTerms | 환경공학 |
Title | 불량 매립지 오염평가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사례연구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75189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60990573154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98002 |
Volume | 2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대한환경공학회지, 2006, 28(5), , pp.463-471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AON databaseName: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customDbUrl: eissn: 2383-7810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j0002782626 issn: 1225-5025 databaseCode: DOA dateStart: 200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www.doaj.org/ providerName: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QwELZKL8AB8RTlUQUJn6pUeTiJfUyyW5UitZdW6i3Kc3e71S5atkJwqoADPcEFlUMlhFTayx56gVP5Q036H5hx0m2KFqlwiPXJnkzsGceZcewxIU8tOxJ2IhIVo52rjGeaKmJA8HLAax7pup3IaJ_L9uIaW1q31qeu6LVVS1vDaD5-M3Ffyf9oFfJAr7hL9h80O2YKGYBBv5CChiG9lI5p06OeTTlHIBYoBw8fkOtQl0lgU69Bmz7mcG0OkeCyDIBDPZ82G5TjfbTpUk_DZQ94mwVFJbVPOUMiYQGeG7OS5BZ1fUnuS07ycS4SAU-TCg2puVFmVUhS6ZJBWYNzTnUruRGmbRh32q9wdtZpvU7xQKQWJO2wNdfupxuds34i-TSox6oGQD0RYNvOSSBDVM8EEpSIJHG1CVxkgz1dAg5tnkiCMiiF6FJXXJw4GXdybCv35XMr-UkgUAVYAeOsJiYKoKIRErhwY-1rAYOhamnlzu35VOaBCWSqDq_W6pZfBVaN4aWBwcozZy7G_v7jm3wh-nc37gStftAdBODjPAsMGQIIrA6wLbXaJAKMoIw5JtOqnccb5W9leAflFruzuoIXhq5JB4yp3gBssKu9LTxIAkajmmG1epPcqDwixS279y0y1e3fJtdrcTLvkMX854f8646SH-7nB7-Kw22l-LJf7B6fftw5OdrOvx8rxd770897ChSd_Bjlo-P8YKScvvtUvB0pcOXftovdIyi5S9YWmqv-olodAaJ2wVUxVHD3jdDUWJiILDJDoZuZresg4kRjEW6ltDMuslDLeBiDNQreQZamsZVaTpQaWWqb98h0r99L7xMlzrTYSXjsgAPPmOlwmzMRowlvgstvxTNkVsol6CUvN4Ml9_kKdhr8b2w5Jjgaxgx5AgKT2virVoDJWJzBizJeTLC80miiY65zYTy4BJOH5Nr5RN8jMj0cbKWPwfQdRrNS278B66KSsQ |
linkProvider |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6%88%EB%9F%89+%EB%A7%A4%EB%A6%BD%EC%A7%80+%EC%98%A4%EC%97%BC%ED%8F%89%EA%B0%80%EB%A5%BC+%EC%9C%84%ED%95%9C+%EC%A7%80%EA%B5%AC%EB%AC%BC%EB%A6%AC+%ED%83%90%EC%82%AC+%EC%82%AC%EB%A1%80%EC%97%B0%EA%B5%AC&rft.jtitle=Daehan+hwan%27gyeong+gonghag+hoeji&rft.au=%EC%9D%B4%EA%B0%95%EA%B7%BC&rft.au=%EA%B9%80%EC%B0%BD%EA%B7%A0&rft.au=%EC%9D%B4%EC%84%B1%EC%88%9C&rft.au=%EC%9D%B4%EC%A7%84%EC%9A%A9&rft.date=2006&rft.pub=%EB%8C%80%ED%95%9C%ED%99%98%EA%B2%BD%EA%B3%B5%ED%95%99%ED%9A%8C&rft.issn=1225-5025&rft.eissn=2383-7810&rft.spage=463&rft.epage=47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04564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5025&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5025&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502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