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한 피부움직임 오차의 예측
영상에 의한 인체의 운동 분석에서 발생하는 오차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피부와 같은 연조직의 골격에 대한 상대운동이며 이를 STA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관절 운동 중 대퇴에서 발생하는 STA를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다.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효과는 고관절 회전중심과 마커의 위치로 대퇴 골격에 의한 운동의 효과, 임의효과는 고관절 중심으로부터 각 마커의 편차로 STA에 의한 효과로 각각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골격계 질환 경력이 없는 다섯 명의 남성 피험자를 선정하여 대퇴에 아홉 개의 마커를 부...
Saved in:
Published in | Ŭngyong tʻonggye yŏnʼgu Vol. 31; no. 3; pp. 353 - 36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통계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066X 2383-5818 |
Cover
Summary: | 영상에 의한 인체의 운동 분석에서 발생하는 오차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피부와 같은 연조직의 골격에 대한 상대운동이며 이를 STA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관절 운동 중 대퇴에서 발생하는 STA를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다.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효과는 고관절 회전중심과 마커의 위치로 대퇴 골격에 의한 운동의 효과, 임의효과는 고관절 중심으로부터 각 마커의 편차로 STA에 의한 효과로 각각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골격계 질환 경력이 없는 다섯 명의 남성 피험자를 선정하여 대퇴에 아홉 개의 마커를 부착하여 고관절의 기능적 운동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마커의 3차원 좌표를 얻었다. 이 3차원 위치벡터에 선형혼합모형을 적용하여 임의효과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다섯 명의 피험자는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고관절에 가까운 지점의 STA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은 크기를 보인 부분은 원위 대퇴의 전방이다.
This study uses mixed-effects models to predict thigh soft tissue artefact (STA), relative movement of soft tissue such as skin to femur occurring during hip joint motions. The random effects in the model were defined as STA and the fixed effects in the model were considered as skeletal motion. Five male subjects without musculoskeletal disease were selected to perform various hip joint rotational motions. Linear mixed-effects models were applied to markers’ position vectors acquired from non-invasive method, photogrammetry. Predicted random effects showed similar patterns of STA among subjects. Large magnitudes of STA appeared on the points near the hip joint regardless of sides; however, small values appeared on the distal anterior. |
---|---|
Bibliography: |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ISTI1.1003/JNL.JAKO201825677729567 |
ISSN: | 1225-066X 2383-5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