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동원전 화재방호시스템의 디지털-트윈 기반 유지·보수 방법 모델 개발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가동원전의 화재방호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을 개 발하고, 이를 통해 Active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노심손상빈도(CDF)를 저감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WebXR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이 플랫폼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3D 모델링,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물 흐름 시각화를 통합한다. 연구결과: 개발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작동, 물 흐 름, 압력, 유량 등을 성공적으...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1(1) Vol. 21; no. 1; pp. 22 - 30 |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재난정보학회
31.03.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976-2208 2671-5287 |
Cover
Table of Contents:
- ABSTRACT 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디지털 트윈(Digital-twin)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시스템 노심손상빈도 (CDF, Core Damage Frequency) 연구방법 Test-bed 구축 디지털-트윈 기반 플랫폼 개발 연구 결과 화재방호시스템의 디지털-트윈 중심 유지·보수 방법 모델 개발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