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 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 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1; pp. 353 - 361
Main Authors 이지영, 김경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1.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1.353

Cover

Abstract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 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 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은 2.64점(3점 만점)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재감있는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List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 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 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은 2.64점(3점 만점)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재감있는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육효과성은 2.64점(3점 만점)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재감있는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Simulation education is a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learn repeatedly in realistic simulated situations. It solves the limitations of clinical practice that lacks direct nursing performance and is useful for acquiring and developing the knowledge, nurs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required for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84 nursing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senior who had received simulation training using dysphagia patient care scenari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clinical reasoning. And the mean score of simulation effectiveness is 2.64 points (a perfect score of thre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realistic scenarios that reflect various clinical situations. KCI Citation Count: 0
Simulation education is a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learn repeatedly in realistic simulated situations. It solves the limitations of clinical practice that lacks direct nursing performance and is useful for acquiring and developing the knowledge, nurs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required for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84 nursing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senior who had received simulation training using dysphagia patient care scenari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clinical reasoning. And the mean score of simulation effectiveness is 2.64 points (a perfect score of thre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realistic scenarios that reflect various clinical situations.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은 2.64점(3점 만점)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재감있는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uthor 이지영
김경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지영
– sequence: 2
  fullname: 김경희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774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MtKw0AUhgdR8PoEgmTjRmydW5LJshTvgiDdD5M0kdDaSuLGjXhHq4suFKtYrQvBhZeCVir4RJnpOzi14uLw_-ecj8PPGQb9pXLJB2AcwTSybUhmlrLZXBpDTNPdUZqYpA8MYcJoChLL6v_3JhsEY3EcupBSm5oOQkNgR53dytdn2ThR9Q91VDOSVlXdPujGSJqHnVpbnu92Lq_VQV3Va4Yutf-sjs87xy1ZeZSNx2mju6201F01aTc7N096nDSr04a6O1QHe-rzQj401NWLvD9VV1VDvrXVV01WLgyNJu_fo2AgEMXYH_vTEZCbm81lF1Irq_OL2cxKymc6umXaJrNIAJEZOMIS2rkmzAvXYcy1IbYxcYmHIQsE8gIHeY4gJI8ERpj5tmOSETDVO1uKAl7wQl4W4a-ul3kh4pm13CJHkDCbUqrhyR5cCOOtkJfycZEvZZZXux-GTGexGLIo09xEj_NFtBV6RZ9vRuGGiLY5pZhaDvkBLtehs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24.10.1.353
DatabaseName 학술교육원 E-Articl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among Nursing Students
EISSN 2384-0366
EndPage 36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87444
JAKO202408657681648
442469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4-6575863f015f9a6a3f0b50dab988b702723b3c208fa1cf91c9a33d1a2128e7953
ISSN 2384-0358
IngestDate Sat Jul 26 03:11:42 EDT 2025
Thu Apr 04 09:49:36 ED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시뮬레이션 교육
임상추론역량
의사소통능력
Self-efficacy
Clinical reasoning
Communication ability
학습자기효능감
간호대학생
Simulation training
Nursing Student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4-6575863f015f9a6a3f0b50dab988b702723b3c208fa1cf91c9a33d1a2128e7953
Notes KISTI1.1003/JNL.JAKO202408657681648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6576816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87444
kisti_ndsl_JAKO202408657681648
earticle_primary_44246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1-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1
  year: 2024
  text: 2024-0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687947
Snippet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Simulation education is a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learn repeatedly in realistic simulated situations. It solves the limitations of clinical practice...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53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연구진행절차 5. 윤리적 고려 6. 자료수집 방법 7.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의 차이 3.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 Ⅳ. 논의 References
Title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246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6576816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7744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4, 10(1), , pp.353-36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0CrlwgXxJjwqS7ASKE2I7bW9e3QeVUkpXIrUmxUnNooKKUrTQzlUQEsFpYccihpQW9pDJQ4FKkFRkfgD_iR2_4GZteukpBKPQ5z17Mzs7I53d3a9npGk66yilBWW0VK6Y9AU1U03xbljQMfzPAPMc6Z5-O3w6F1j-D4tjuvjfcd-dp1amm446fKTI78r-R-tAgz0il_J_oNmY6YAgDToF66gYbj-lY5JIUdYlvAcKWSJVSBWmMgQxjCL50mWChydcJYkBYtkIZUReTliKTFSmAd0gJ4HXJJlyInl8CAEQoCMC04aEoRkgmWUEnmqEAASBlICGSSgQGRkEUuPZIMEqPUwVyEY8ioI8SwsPxuWDJSsi4UQE3AEC0HAaCQYE_XJGoRTUZSCpSGOSaw8QvgQYTyC8ExSIA2JqgIZF7UQ5XCa7CoaStRIFAC814pHu12c3K-HXk2hM4XOTNxkI35rIfZdirlcfCD9kHYsU7RyDgVgSgfFQqFY2BwqyeaFTHnScZZZrM64GCrqjhv3zpEZHL3BmHCTI9VH3Vs6Ku3a0hEjP5hRANNCn_ZptxsWhqiJp65MTxcN5yEt9MAcmTRa6O--Z7Y0YbjHSOBQ_zTKkUZgOqbt9k3-m80Qn-QsWiP3VOEnz8CVK_buY9JxFaZYjKMyOls4GNxV3L7UO6_0VY2i90qlcy_Cz8aTA6Um1Xln8oFliWlwEU41bp7IixhW41ZvJdC8jLomrDxxOVYFA7JW97oMyLFT0snomZGtEPe01DcxeUZKhJ_Hy9EUOyXfiPzA3zwrzQavV_1P2_7Gy2Dta_CiJbd3m8HqJtzI7Z35_daev_R0_83bYG4tWGvJ8AuebwcLS_sLu_7ilr-xNShj7uJusN5s7-3sv_sA4PZOc1AO1ueDuWfBt2V_cyNY-ei_fxWsNGX_817wveUvLsuA2v7y45w0NlQYyw2nonApKZdBg-AbVGZoHtj3Hi8ZJUg5eqZScjhjjplRTVVztLKaYV5JKXtcKfOSplWUEtiuzDW5rp2X-muTNfeiJLs65QajXPfUEm4RO4rq4ll4TzVLFcVRE9KFg5a1H4dOcWxKVWrwhDQgGtquVaYe2kc8HAnpGmjAnihXbXRsj_8PJu2Jug3L99s2RmswKaWX_sTmsnSi03GuSP2N-rR7FVYHDWdAPHW_AI3y8X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EA%B5%90%EC%9C%A1%EC%9D%B4+%EA%B0%84%ED%98%B8%EB%8C%80%ED%95%99%EC%83%9D%EC%9D%98+%EC%9D%98%EC%82%AC%EC%86%8C%ED%86%B5%EB%8A%A5%EB%A0%A5%2C+%ED%95%99%EC%8A%B5%EC%9E%90%EA%B8%B0%ED%9A%A8%EB%8A%A5%EA%B0%90%2C+%EC%9E%84%EC%83%81%EC%B6%94%EB%A1%A0%EC%97%AD%EB%9F%89%EC%97%90+%EB%AF%B8%EC%B9%98%EB%8A%94+%ED%9A%A8%EA%B3%BC&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C%9D%B4%EC%A7%80%EC%98%81&rft.au=%EA%B9%80%EA%B2%BD%ED%9D%AC&rft.au=Jiyeong+Lee&rft.au=Kyoung+Hee+Kim&rft.date=2024-01-01&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10&rft.issue=1&rft.spage=353&rft.epage=361&rft_id=info:doi/10.17703%2FJCCT.2024.10.1.35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40865768164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