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을 활용한 실증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 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설문자의 결과에 따르면, 드론 실증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 필요성도 높고 특히 도시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쨰, 우선 순위와 장단기적 접근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순위는 재난 관련 업무이고 중장기적 전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업 진행시 예산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 햇다는 것이...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4; no. 1; pp. 125 - 13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9.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4.24.1.125 |
Cover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 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설문자의 결과에 따르면, 드론 실증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 필요성도 높고 특히 도시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쨰, 우선 순위와 장단기적 접근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순위는 재난 관련 업무이고 중장기적 전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업 진행시 예산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 햇다는 것이다. 실무자와 전문가들은 드론 기반 기술들 이 예산과 기술이 준비 되었을때는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의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문제가 가장 크게 지적되었으며, 이 부분이 해결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조사되었다. 넷째, 일부 영역에서 사업 발굴시 수요조사의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실증을 위한 수요조사는 반드시 필요하 며, 공공에서 주도할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드론 기반 실증도시 구축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요조사가 필요하다 고 답하였으며, 공공에서 주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다섯째, 분야별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안전 재해관리 영역이 가장 적용이 필요한 부분으로 제시되었다. |
---|---|
AbstractLi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drone utilization model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propose directions for building a drone demonstration city based on demand surveys for drone activation, and suggest ways to utilize and support a drone application system.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re was a high understanding of and necessity for drone demonstration projects, particularly in addressing urban issues, which were deem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priorities and short- and long-term approaches, disaster-related tasks were evaluated as a priority, requiring an approach through medium- to long-term strategies. Third, it was noted that budgetary considerations emerged as the most critical issue during project implementation. Practitioners and experts expressed willingness to actively introduce drone-based technologies into their work when budget and technology were ready. Budgetary constrai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obstacle to proper implementa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resolution. Fourth, the necessity of demand surveys during project development was identified in certain areas. Demand surveys were deemed essential for drone-based demonstration city construction, and a survey indicated that public leadership in this regard was also necessary. Fifth, concerning approaches in specific areas, the field of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was highlighted as the most crucial for appl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설문자의 결과에 따르면, 드론 실증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 필요성도 높고 특히 도시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쨰, 우선 순위와 장단기적 접근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순위는 재난 관련 업무이고 중장기적 전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업 진행시 예산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 햇다는 것이다. 실무자와 전문가들은 드론 기반 기술들이 예산과 기술이 준비 되었을때는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의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문제가 가장 크게 지적되었으며, 이 부분이 해결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조사되었다. 넷째, 일부 영역에서 사업 발굴시 수요조사의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실증을 위한 수요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며, 공공에서 주도할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드론 기반 실증도시 구축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요조사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공공에서 주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다섯째, 분야별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안전 재해관리 영역이 가장 적용이 필요한 부분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 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설문자의 결과에 따르면, 드론 실증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 필요성도 높고 특히 도시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쨰, 우선 순위와 장단기적 접근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순위는 재난 관련 업무이고 중장기적 전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업 진행시 예산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 햇다는 것이다. 실무자와 전문가들은 드론 기반 기술들 이 예산과 기술이 준비 되었을때는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의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문제가 가장 크게 지적되었으며, 이 부분이 해결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조사되었다. 넷째, 일부 영역에서 사업 발굴시 수요조사의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실증을 위한 수요조사는 반드시 필요하 며, 공공에서 주도할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드론 기반 실증도시 구축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요조사가 필요하다 고 답하였으며, 공공에서 주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다섯째, 분야별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안전 재해관리 영역이 가장 적용이 필요한 부분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설문자의 결과에 따르면, 드론 실증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 필요성도 높고 특히 도시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쨰, 우선순위와 장단기적 접근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순위는 재난 관련 업무이고 중장기적 전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업 진행시 예산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 햇다는 것이다. 실무자와 전문가들은 드론 기반 기술들이 예산과 기술이 준비 되었을때는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의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문제가 가장 크게 지적되었으며, 이 부분이 해결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조사되었다. 넷째, 일부 영역에서 사업 발굴시 수요조사의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실증을 위한 수요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며, 공공에서 주도할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드론 기반 실증도시 구축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요조사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공공에서 주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다섯째, 분야별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안전 재해관리 영역이 가장 적용이 필요한 부분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drone utilization model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propose directions for building a drone demonstration city based on demand surveys for drone activation, and suggest ways to utilize and support a drone application system.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re was a high understanding of and necessity for drone demonstration projects, particularly in addressing urban issues, which were deem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priorities and short- and long-term approaches, disaster-related tasks were evaluated as a priority, requiring an approach through medium- to long-term strategies. Third, it was noted that budgetary considerations emerged as the most critical issue during project implementation. Practitioners and experts expressed willingness to actively introduce drone-based technologies into their work when budget and technology were ready. Budgetary constrai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obstacle to proper implementa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resolution. Fourth, the necessity of demand surveys during project development was identified in certain areas. Demand surveys were deemed essential for drone-based demonstration city construction, and a survey indicated that public leadership in this regard was also necessary. Fifth, concerning approaches in specific areas, the field of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was highlighted as the most crucial for application.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옥진아 정효진 유순덕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옥진아 – sequence: 2 fullname: 유순덕 – sequence: 3 fullname: 정효진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730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MtKw0AYhQepYK19AkGycSMkzi2ZCbipxUtqoSDdD5NkIqE1laQbdyJdWReCiCgpWCiC4MKlPlOm72DainDgHP7z8S_OJqgkg0QBsI2gxTBx9lued9i0MMTUKoUshO01UMWYu2Z5cyr_mfANUM-y2IcEIpc61KmCg-IxL6ZvejIy5i-5fv2YP-WGHs_0-8TQo7z4Gem7mX5-MIr7m2U1-dbjspp-6dvPLbAeyX6m6n9eA93jo27z1Gx3Trxmo20qzompAicKQuLTkFGssOOHHCufY8mg7VPCXMiYRIqxyOeSu4gEYSixrTANfNvFiNTA3uptkkaiF8RiIOOlXwxELxWN864nEKQIM0JKeHcF9-JsGIskzPqi1TjrLPaB3LaZQ1zXXnA7K07JdBgHfSWu0vhSpteCUsIhI7-0XHSZ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004 |
DOI | 10.7236/JIIBC.2024.24.1.125 |
DatabaseName | e-articl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Perception Survey for Demonstration Service using Drones |
EISSN | 2289-0246 |
EndPage | 132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412733 JAKO202408557639953 443807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83-ec6fcd3b4d742e26bd82eb82a705b4379077a1e77fb8a8913cdda25e24cb59213 |
ISSN | 2289-0238 |
IngestDate | Wed May 01 06:01:11 EDT 2024 Thu Apr 04 09:50:06 EDT 2024 Tue Apr 22 16:21:12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1 |
Keywords | Drone service Actual application servic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83-ec6fcd3b4d742e26bd82eb82a705b4379077a1e77fb8a8913cdda25e24cb5921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408557639953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55763995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12733 kisti_ndsl_JAKO202408557639953 earticle_primary_443807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0229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02-29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2 year: 2024 text: 20240229 day: 29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SSID |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
Score | 2.2643275 |
Snippet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 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drone utilization model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propose directions for building a drone demonst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25 |
SubjectTerms | 컴퓨터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드론 기반 서비스
1. 드론 관련 개념
2. 해외 드론 실증 서비스
3. 국내 드론 실증 서비스
III. 드론 활용에 실증 서비스 인식조사
1. 인식 조사 목적
2. 데이터 수집
3. 조사 결과 분석
4. 시사점
IV. 결론
References |
Title | 드론을 활용한 실증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3807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55763995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7306 |
Volume | 24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4, 24(1), , pp.125-132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9-024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39 issn: 2289-023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4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swFBdtd9ll3x_dRzFsOoVksSxbEuzipBltR9dLB70Zy7JHlpGMNL3sMMboad1hMMbYSGGFMhjssOP2N8X9H_YkK45bCvuA4Ign6Vl6z5bek_V-Quhu4sZZ7LuqLrwsrlOuWF1mAbzugYKMQPnK08HJ64-Clcd0bcvfmpuvVXYt7YxkI3lxalzJ_2gVaKBXHSX7D5otmQIB0qBfuIKG4fpXOsadFhYeFm2dCF0cNnGnjcUy5rSGO8tYCJMHpBCHwlB8oNQ0iUMNqhNhADUKErWsWkKnNSW0hQTDolnTebytN0ccYwU3bHHL07KCxrRMYzjBFt3x6ey5rMBVaLu3W92w0DVLlMUnEjkcxCqJt0fTSMqkGs5iVjPWVldb5UKvaQzHoW-awGwnoKGcHivStpLi3HaY6-5Ui0A-VNO9BAnwkl2536jbj2sbveqSCaEmBF3MRlZC9D4xUsDKNNIqza6H2qmhCO8-9goU47xbRGtbk8EtlmhPzkaMmONyjCAauh0N-LmNsm4V-_vEnFzulFwLH26QAocOPEMdh-zNozOEBYE-rmP9ZWc6eBI30OVKW5JoyCox831hIBe0giUHhgsDa7AcfCll1BcziFhwAxhwMCc6TsVVoHbpbt07pVPanLOvAnh62v3pgsHWH2YVg23zAjpnPS0nLMpeRHO9wSV0fnqKiWMntcvo_uT9eHLwJd_fdY4-jfPP344-jJ187zD_uu_ku-PJr938zWH-8Z0zefvKZO3_zPcg6-BH_vr7FbT5oLPZXqnbM0XqKedePU2CLFGepIpRkpJAKk5SyUnMmr7U0JxNxmI3ZSyTPNZf8BOlYuKnhCbSF8T1rqKF_qCfXkeOikWTZww88qZHmRKSe1zqz-yel1CZyUV0bSqO6HmBHBNRc77DIloy0on6avtZdIqGF9EdEFvUS7qRRn_X_08GUW8YgY-7GrkaIo953o0_sbmJzs6e_ltoYTTcSW-DCT2SS-bR-Q3ypKY9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3%9C%EB%A1%A0%EC%9D%84+%ED%99%9C%EC%9A%A9%ED%95%9C+%EC%8B%A4%EC%A6%9D+%EC%84%9C%EB%B9%84%EC%8A%A4%EC%97%90+%EB%8C%80%ED%95%9C+%EC%9D%B8%EC%8B%9D+%EC%A1%B0%EC%82%AC&rft.jtitle=The+journal+of+the+institute+of+internet%2C+broadcasting+and+communication+%3A+JIIBC&rft.au=%EC%98%A5%EC%A7%84%EC%95%84&rft.au=%EC%9C%A0%EC%88%9C%EB%8D%95&rft.au=%EC%A0%95%ED%9A%A8%EC%A7%84&rft.au=Jina+Ok&rft.date=2024-02-29&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volume=24&rft.issue=1&rft.spage=125&rft.epage=132&rft_id=info:doi/10.7236%2FJIIBC.2024.24.1.12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408557639953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