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박물관 관람객 인식 비교 분석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 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게이미피케이션 이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 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의 관람객의 인식을 비교 분석 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분석툴인 TEXTOM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인식을 조사하여 인식 차이를 파악한다. 분석결과 기존에 전시형태로 관람하는 박물관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3; no. 5; pp. 169 - 175
Main Authors 전세원, 안윤주, 류기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9-0238
2289-0246
DOI10.7236/JIIBC.2023.23.5.169

Cov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 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게이미피케이션 이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 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의 관람객의 인식을 비교 분석 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분석툴인 TEXTOM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인식을 조사하여 인식 차이를 파악한다. 분석결과 기존에 전시형태로 관람하는 박물관에 비해 게이키피케이션 을 활용한 박물관 관람에 재미와 흥미를 느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키워드 및 연관 키워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독립기념관의 박물관 인식, 관람동기, 관람형태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존 박물관에 비해 게이미피케 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의 성취감이 더 높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 관람에 있어 게임 관련 콘텐츠를 개발 및 활성화하여 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에 관심도를 높이고 재미와 흥미를 느낄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박물관에 관람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관람객이 박물관을 다양하게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List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 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게이미피케이션 이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 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의 관람객의 인식을 비교 분석 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분석툴인 TEXTOM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인식을 조사하여 인식 차이를 파악한다. 분석결과 기존에 전시형태로 관람하는 박물관에 비해 게이키피케이션 을 활용한 박물관 관람에 재미와 흥미를 느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키워드 및 연관 키워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독립기념관의 박물관 인식, 관람동기, 관람형태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존 박물관에 비해 게이미피케 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의 성취감이 더 높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 관람에 있어 게임 관련 콘텐츠를 개발 및 활성화하여 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에 관심도를 높이고 재미와 흥미를 느낄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박물관에 관람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관람객이 박물관을 다양하게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museum-related big data using museums and gamification using social media big data, identifies and compares the perceptions of visitors mentioned in social media, and presents ways to use gamifi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aims to provide dat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museum and visitors to the museum using gam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visitors through social media analysis using TEXTOM, a social media analysis tool,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museums that were previously viewed in the form of exhibitions, they felt fun and interest in visiting museums using geikipi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keywords and related keywords, the perception, motivation, and type of viewing of the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ere confirm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nse of achievement of visitors who visited the museum using gamifi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useum. It is believed that by developing and activating game-related content in future museum visits, many visitor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museum and feel fun and intere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ieved to b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grasp the overall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museum,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and experience the museum in various ways.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게이미피케이션 이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의 관람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분석툴인 TEXTOM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인식을 조사하여 인식 차이를 파악한다. 분석결과 기존에 전시형태로 관람하는 박물관에 비해 게이키피케이션을 활용한 박물관 관람에 재미와 흥미를 느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키워드 및 연관 키워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독립기념관의 박물관 인식, 관람동기, 관람형태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존 박물관에 비해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의 성취감이 더 높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 관람에 있어 게임 관련 콘텐츠를 개발 및 활성화하여 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에 관심도를 높이고 재미와 흥미를 느낄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박물관에 관람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관람객이 박물관을 다양하게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게이미피케이션 이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의 관람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분석툴인 TEXTOM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인식을 조사하여 인식 차이를 파악한다. 분석결과 기존에 전시형태로 관람하는 박물관에 비해 게이키피케이션을 활용한 박물관 관람에 재미와 흥미를 느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키워드 및 연관 키워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독립기념관의 박물관 인식, 관람동기, 관람형태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존 박물관에 비해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을 관람한 관람객의 성취감이 더 높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 관람에 있어 게임 관련 콘텐츠를 개발 및 활성화하여 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에 관심도를 높이고 재미와 흥미를 느낄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박물관에 관람한 관람객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관람객이 박물관을 다양하게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museum-related big data using museums and gamification using social media big data, identifies and compares the perceptions of visitors mentioned in social media, and presents ways to use gamifi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aims to provide dat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museum and visitors to the museum using gam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visitors through social media analysis using TEXTOM, a social media analysis tool,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museums that were previously viewed in the form of exhibitions, they felt fun and interest in visiting museums using geikipi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keywords and related keywords, the perception, motivation, and type of viewing of the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ere confirm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nse of achievement of visitors who visited the museum using gamifi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useum. It is believed that by developing and activating game-related content in future museum visits, many visitor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museum and feel fun and intere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ieved to b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grasp the overall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museum,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and experience the museum in various way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안윤주
류기환
전세원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전세원
– sequence: 2
  fullname: 안윤주
– sequence: 3
  fullname: 류기환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1319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tLw0AUhQdR8PkLBMnGjdA6r8wky1p8VAVBuh8myVRCayuJG3cKrRsruKii0ogbF4JgkSoK_UWd6X9wtCLcyznc-3EWZxZM1ht1BcAignmOCVvdLpXWinkMMcnbcfOI-RNgBmPPz0FM2eS_J940WEjTOIAEIp8yymZAw5y3TaurXz91p2Nu-o7-aunLnsn6o2ZPPw2c0V3X3D-PrrvO8K1tz5YcdQZmcGq9ad065vHM_h3du9Yvg2H_1LGrH9rDXuaY7NNcZDaxOXy_cvRH0zSzeTBVkbVULfzpHChvrJeLW7ndvc1SsbCbU56HcyGC2FM0kG4YcYR9xThRVCIewYByigLsB0q6lPNI8ZBjV0bKRwGvQAY5kx6ZAyvj2HpSEdUwFg0Z_-pBQ1QTUdgvlwSCxNbnYQsvj-FqnB7Hoh6lNbFd2Nn7qZTYohBh1HV_uKUxp2RyHIc1JY6S-FAmJ4IS7lNOvgGOw5g0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23.23.5.169
DatabaseName e-articl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ion of Museum Tourists applying Gamification using Social Media Big Data
EISSN 2289-0246
EndPage 17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23682
JAKO202331941364552
437947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ID FETCH-LOGICAL-e882-c1028e4ba5cd7129e673e4a17d0b4741b29bea5477de7c725ade91b7f06076a83
ISSN 2289-0238
IngestDate Thu Mar 28 06:51:16 EDT 2024
Fri Dec 22 12:03:25 EST 2023
Sat Oct 18 23:51:2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Big Data
Social Media
Gamification
Museum Trend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2-c1028e4ba5cd7129e673e4a17d0b4741b29bea5477de7c725ade91b7f06076a83
Notes KISTI1.1003/JNL.JAKO20233194136455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3194136455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23682
kisti_ndsl_JAKO202331941364552
earticle_primary_43794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23
  text: 2023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core 2.250493
Snippet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 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This paper analyzes museum-related big data using museums and gamification using social media big data, identifies and compares the perceptions of visitors...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박물관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박물관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거론되는 관람객들의 인식을...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69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박물관 관람 2. 게이미피케이션 3. 빅데이터 4.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관광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Title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박물관 관람객 인식 비교 분석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7947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3194136455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13195
Volume 2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3, 23(5), , pp.169-175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9-024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39
  issn: 2289-023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4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R3LahRBcAjx4kUUX_ERBnROy67z6J7uPs7sbkgi0UuE3IZ5RUJkV2Jy8SARNl6M4CERlax48SAILhIlwn7Rzuw_WNU9uzuGINGDMNsU1dVVXdUzW1XNTLWm3bYSJ3FDK666qwx3q4RTDUkUVx2bQjyXRGac4j7k0j13_gFZXKErU9Ne6a2lrc2oFj898buSf1lVwMG64leyf7GyY6aAABjWF1pYYWhPtcZGs25w1-B1CVBDAOAb3pzhcwQEwQu6hGv4pIIoXyAdALxh-KbsAwCIGgYnEgPjqeHXK4gSQrIEIs_whMSgEOjzDN8u5BYMxnIbKNSXXdDyshA1SV5ByDMhiB3zVpMzkT9ykkNRCES6ZmUMSaWaUq4nqRuVEXcuufsKpfQkkgoEmgrlSlQdW9EoB-VjxYoBXqPEtWQYBFgxUTSHNL5nSRoXB6opgGYFQ2UyDyYsZ8CpVEvpJyfsMdTKxgMCIdKnpW2ZkYlGM1b0AhQ0yyQghaseIJe0nmP49QmJXE7BpWZc6qGWlZe3e2yn5CfxAf0PFpl4INvG9-lsVX6nlpZxpOz1LHXaThFAWeoonOO-mdny8KDFhQW_XkPNanDR2nhsuRL6sQjlt1ro6_Fa8LAdrG8EkPEtBFgQ0nE5RGFnbHDseHrL0rPmyKXYFqDsScZsYyEvMdkRAPcmSKnCHoRzDGLksUsihBEqJoVzITliwEGeczkyjqplhurdOUE5DHKLPwjIfzEpXIMwtrWxWgpjl89r54r8U_cU7QVtar19UWvnL3bznYPs61G2t5e_OdSznzvZq17ePRx2etmnvj58d5C__zzcP9AH33YBDZTDvX7e3wY433mr5x-fQ7-e9fazL_3B4bYOv-zD7qDX1fPuUf6yCxw7g--v9exHJ-90L2nLc83l-ny1OImlmmIGHmMWkpIopHHCIEFIXeakJLRYYkZgICuyRZSGlDCWpCxmNg2TVFgRWzVdk7khdy5r0612K72q6ZCQODQxnTBOUpIkJLJcM6UhmJTDCIvPaFdG5goeq3o7AZZMJWxGm5XWC1rJk0fBonf3PtoZIggIw11CqT2j3QKzyvvjD_fJtVNRXdfOTh6-G9r05sZWehOyj81oVt5fvwC6xvG_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6%8C%EC%85%9C%EB%AF%B8%EB%94%94%EC%96%B4+%EB%B9%85%EB%8D%B0%EC%9D%B4%ED%84%B0%EB%A5%BC+%ED%99%9C%EC%9A%A9%ED%95%9C+%EA%B2%8C%EC%9D%B4%EB%AF%B8%ED%94%BC%EC%BC%80%EC%9D%B4%EC%85%98+%EC%A0%81%EC%9A%A9+%EB%B0%95%EB%AC%BC%EA%B4%80+%EA%B4%80%EB%9E%8C%EA%B0%9D+%EC%9D%B8%EC%8B%9D+%EB%B9%84%EA%B5%90+%EB%B6%84%EC%84%9D&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3%285%29&rft.au=%EC%A0%84%EC%84%B8%EC%9B%90&rft.au=%EC%95%88%EC%9C%A4%EC%A3%BC&rft.au=%EB%A5%98%EA%B8%B0%ED%99%98&rft.date=2023-10-31&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169&rft.epage=175&rft_id=info:doi/10.7236%2FJIIBC.2023.23.5.16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32368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