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상층부 화재 확대 방지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 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 설치 공간을 확보 함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난간에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 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층부의 화재 확대 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 법: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이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화재확대 방지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기존 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1(1) Vol. 21; no. 1; pp. 162 - 173
Main Authors 이영화, 박옥남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재난정보학회 3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2208
2671-5287

Cover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 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 설치 공간을 확보 함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난간에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 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층부의 화재 확대 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 법: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이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화재확대 방지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기존 난간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이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 방지대책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이격 거리를 확보했다. 결론: 태 양광 패널 설치로 인해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를 방지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AbstractList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fire spreading to upper floors through windows due to balcony extensions in multi-family housing, which lead to a rapid increase in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dditionally, it seeks to secur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to promote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installing solar panels on railings, this study also examines potential issues and proposes measures to prevent fire spread to upper floors. Method: Fire Dynamics Simulator (FDS) is utilized to propose a method for securing a fire prevention distance by installing solar panels. Result: The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fire hazards associated with installing solar panels on existing railings. As a countermeasure to prevent fire spread to upper floors, the study proposes securing a separation distance through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Conclusion: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not only prevents the vertical spread of fire but also provides a space for electricity gener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 설치 공간을 확보 함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난간에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층부의 화재 확대 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이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화재확대 방지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기존 난간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이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 방지대책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이격 거리를 확보했다. 결론:태양광 패널 설치로 인해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를 방지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 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 설치 공간을 확보 함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난간에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 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층부의 화재 확대 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 법: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이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화재확대 방지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기존 난간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이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 방지대책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이격 거리를 확보했다. 결론: 태 양광 패널 설치로 인해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를 방지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 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 설치 공간을 확보 함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난간에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 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층부의 화재 확대 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 법: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이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화재확대 방지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기존 난간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이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 방지대책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이격 거리를 확보했다. 결론: 태 양광 패널 설치로 인해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를 방지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fire spreading to upper floors through windows due to balcony extensions in multi-family housing, which lead to a rapid increase in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dditionally, it seeks to secur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to promote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installing solar panels on railings, this study also examines potential issues and proposes measures to prevent fire spread to upper floors. Method: Fire Dynamics Simulator (FDS) is utilized to propose a method for securing a fire prevention distance by installing solar panels. Result: The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fire hazards associated with installing solar panels on existing railings. As a countermeasure to prevent fire spread to upper floors, the study proposes securing a separation distance through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Con- clusion: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not only prevents the vertical spread of fire but also provides a space for electricity generatio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영화
박옥남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영화
– sequence: 2
  fullname: 박옥남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868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T9rwkAcxvGjWKi1voWSpUshcPe75JKMIv1jaxGK-5HEuxK0sSQu3VJ0dFColRbt2goODlr6mszlPTRop-_y4XmOUSHshuIAFYFZRDfBtgqoSByL6QDYPkLlOA48bFJqWQZmRXSX9Wfqbbxdj7Vs-J0ORmo-0NR8rT4W2WSmqf6L-t2kP4mWvb-qz2WeSTpMtHS1UF-Jmo607TrZwelqu1meoEPpdmJR_m8JNS8vmtVrvd64qlUrdV3YNuiGZbkEG8TBQA3qCCE9STAwMF0bE18CeNIAzwFBABuYUtNveaYjTV_aAqSgJXS-nw0jydt-wLtusOtDl7cjXrlv1jjBzGEMIMdne9wO4l7Aw1bc4TeV2wZgMAlxDJp_sPylhE73TrhRL_A7gj9FwaMbPXODmYQC_QN4JnkR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63.34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Welfare & Social Work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Preventing Fire Spread on Upper Floor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EISSN 2671-5287
EndPage 17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96622
JAKO202511943204640
465132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2-477a10419023439eefbf102625a801cf22bf42b92e12040335cdb59f5cf8e2fe3
ISSN 1976-2208
IngestDate Wed Apr 02 03:25:39 EDT 2025
Fri Jun 06 04:17:02 EDT 2025
Tue Apr 08 04:10:25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차양
화재
태양광
Solar
Balcony
Fire
Canopy
발코니
Apartment
아파트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2-477a10419023439eefbf102625a801cf22bf42b92e12040335cdb59f5cf8e2fe3
Notes KISTI1.1003/JNL.JAKO20251194320464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194320464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96622
kisti_ndsl_JAKO202511943204640
earticle_primary_46513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3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3-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25
  text: 202503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1(1)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재난정보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재난정보학회
SSID ssib053377406
ssib036279126
ssib022331887
ssib044738260
ssib007523208
ssib008451735
Score 1.9168552
Snippe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 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fire spreading to upper floors through windows due to balcony extensions in multi-family housing, which...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62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ableOfContents ABSTRACT 요약 서론 발코니의 법적기준 법적기준에 따른 문제점 스프링클러 설치시 문제점 방화판 및 유리판 설치시 문제점 자동화재탐지기 설치하고 불연재료 시설시 문제점 발코니의 역할과 확장에 따른 문제점 기존 패널 설치의 문제점과 영향 개선을 위한 이론적 인자 요코이 곡선과 화염 확대 화염의 온도 개선 방법 및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 조건 패널 설치 전 1층 화재 시 층별 온도 분포 기존 난간에 패널 1개 설치 시 층별 온도 분포 난간에 3600mm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 시 층별 온도 분포 내화벽체에 패널 3600mm 설치 층별 온도 분포 태앙광 패널 발전설비의 설치 태앙광 패널 결과치 계산 화염 통로의 거리 계산 본 연구의 효과 및 한계점 본 연구의 주된 효과 기타 효과 한계점 결론 References
Title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상층부 화재 확대 방지에 관한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6513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194320464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8682
Volume 2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025, 21(1), , pp.162-173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5287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60
  issn: 1976-220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e2nbggvhmMKRKYSxUUO3ZiH5OuaAy2cRhityhJk2l0tKhsQuKAirbjDpvEmEAbV5i0ww4b4m9a0_-BZydNO5jExyWxnp-f_fwc-_da-xmhe0JasU1jbkayLk0VgM6MEiZMboeweKUyDHX44tk5Z_oZm1nkiyOjZGjX0tpq9CB-e-65kv-xKtDAruqU7D9YthQKBEiDfeEJFobnX9kY16awsLGs4loVSwdLgmse9hkkKjqvij2Baz4WQLI0ExBZpUgBo0p42JOKW3KQpPNApiAq4QvscyXAd7CwtEwpsczL1bBXLUmaC-rTXMBvaaFQv6v2Uih2F5pQKdqnSMMVQiaUUHkcF8EgXwxU1Hz93Kmybl0jLbT3rKINvq31ykvlenmqYYqZY18nPK1Z3jpZjrmzvSJ0FxT6Dli0aqomzeLxohGeODN9mtNvwsqTpPxo5hvmXPiy8rR_MKr4mYXy_rnDcmUA3GZSauXiEk2jjkvAky8QQ7GcUPLbZ5OvDaRYdnKYQfIbXM5GAP9lZS73S854j-ep9gYls6n6N9oaRaM2UVd2zL6rlROoywEgDwVrEowTd4CHAQrCFD7A4wBeXEkG-Jsx1wZ3s5zAwRUA70DfT1uqr0BbMeDBn1NOzjLAsmY7HYJlC5fQxcKfMryc9zIaabSuoIn80LnxPFlJw3Zi3Df6hFa7cRXN9tb3so_bp8fbRm_zW3djK9vfMLL94-zzQW9nz8jW32c_TrrfO0bv04fsyyG8drqbHaN7dJB97WS7W8bpcUcz7h6dnhxeQwsPawvVabO4VsRMlDvJXDckFgMgTG1A40mSRimgbIfyENBanFIapYxGkiYEetqybR7XIy5THqcioWliX0djzVYzuYkMJigX0klDK05ZpDZyR6EtIje1WBzW42Qc3ej3VfAqDx4TMIcTm46jSd11QbP-eiU4x7zj6C70adCIlwMVAF69l1pBox2Am_soIJYjHYfSW38ScxtdGAzmCTS22l5L7gCKXo0m9cj5CfpXoNM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3%9C%EC%96%91%EA%B4%91+%ED%8C%A8%EB%84%90%EC%9D%84+%EC%9D%B4%EC%9A%A9%ED%95%9C+%EC%83%81%EC%B8%B5%EB%B6%80+%ED%99%94%EC%9E%AC+%ED%99%95%EB%8C%80+%EB%B0%A9%EC%A7%80%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C%9E%AC%EB%82%9C%EC%A0%95%EB%B3%B4%ED%95%99%ED%9A%8C%EB%85%BC%EB%AC%B8%EC%A7%91&rft.au=%EC%9D%B4%EC%98%81%ED%99%94&rft.au=%EB%B0%95%EC%98%A5%EB%82%A8&rft.au=Young-Hwa+Lee&rft.au=Ok-Nam+Park&rft.date=2025-03-31&rft.issn=1976-2208&rft.eissn=2671-5287&rft.volume=21&rft.issue=1&rft.spage=162&rft.epage=17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51194320464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220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220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220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