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60세 이상 19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UI 사용성 4개 하위요인은 모두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때 영향력의 크기는 콘텐츠, 프로세스, 디자인, 시스템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테크노스트레스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9; no. 5; pp. 295 - 305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5.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21.19.5.295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60세 이상 19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UI 사용성 4개 하위요인은 모두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때 영향력의 크기는 콘텐츠, 프로세스, 디자인, 시스템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테크노스트레스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령자가 겪는 테크노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을 이끌 수 있는 UI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고령자 대상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서비스 방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60세 이상 19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UI 사용성 4개 하위요인은 모두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때 영향력의 크기는 콘텐츠, 프로세스, 디자인, 시스템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테크노스트레스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령자가 겪는 테크노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을 이끌 수 있는 UI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고령자 대상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서비스 방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60세 이상 19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UI 사용성 4개 하위요인은 모두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때 영향력의 크기는 콘텐츠, 프로세스, 디자인, 시스템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테크노스트레스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령자가 겪는 테크노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을 이끌 수 있는 UI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고령자 대상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서비스 방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how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ffects the perception of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of elderly users. Through this, the effect of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on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demonstrated for 199 people aged over 60. As a result, all four sub-factors of UI u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stress, an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content, process, design, and system.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echno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Through the above results, a UI design strategy that can lead to continuous use by relieving the technostress experienced by the elderly was suggested. This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service direc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for the elderly. KCI Citation Count: 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how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ffects the perception of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of elderly users. Through this, the effect of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on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demonstrated for 199 people aged over 60. As a result, all four sub-factors of UI u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stress, an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content, process, design, and system.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echno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Through the above results, a UI design strategy that can lead to continuous use by relieving the technostress experienced by the elderly was suggested. This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service direc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for the elderly.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60세 이상 19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UI 사용성 4개 하위요인은 모두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때 영향력의 크기는 콘텐츠, 프로세스, 디자인, 시스템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테크노스트레스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령자가 겪는 테크노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을 이끌 수 있는 UI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고령자 대상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서비스 방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 Author | 차재혁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차재혁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839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kU9rE0EYxgepYK39Ah5kLh48ZDszO7uz4y2k_klbKEg8D7vZWVkSE9ntxVsqjUis2ELartJIlNZ_LKjYQwr5RM6738GNCZ6e5335vc_hea-jpU63oxG6SYlFOSdkbWO9ZjHCqEWl5VhMOlfQMhPUrrics6X_3ubX0GqaxgHhjFBPMrqMPpnvX83PIYymuDjJYXAG0x4cX2A4GhfDffM5n82jC-hnMMrw4zqGFzm8_wZ7v8otLvr7xW5u-pPysBhMzPjVLOFdD8OXHrx8s2BHmXm7BycH2PyYwGVmBkMM2W5xfI7v4j-_x2Z8OctewB8OzPkUw9khvM7hdGo-nt5AVyO_nerVha6gxv17jdrDytb2g3qtulXRnpAVrYnjsCZ1ucsiQWTZTOALHupQSJc3vZDQ0mjCokAQIbyIhq4dhjQIA1bWwewVdGce20ki1WrGquvH__RJV7USVX3UqCspJGW2LNnbc7YVpzux6oRpW21UN7dnT6CusCUnLmNeyd2ac9pPduJmW6tnSfzUT56rEvFsx_4LCui37w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JDI ACYCR |
| DEWEY | 620 |
| DOI | 10.14400/JDC.2021.19.5.295 |
| DatabaseName | 학술교육원 E-Articl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Engineering |
| DocumentTitleAlternate | The Effect of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on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cusing on Elderly Users |
| EISSN | 2713-6442 |
| EndPage | 305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791239 JAKO202116739406228 394835 |
| GroupedDBID |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
| ID | FETCH-LOGICAL-e879-ee0552c16462f709144ba74ded7964c8d01796e02fb70778f1d63dd1bdb242023 |
| ISSN | 2713-6434 |
| IngestDate | Sun Jun 08 03:20:18 EDT 2025 Fri Dec 22 11:58:52 EST 2023 Mon Sep 08 16:22:29 EDT 2025 |
| IsDoiOpenAccess | true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5 |
| Keywords | 테크노스트레스 UI Usability UI 사용성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고령자 The Elderly Technostress UI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9-ee0552c16462f709144ba74ded7964c8d01796e02fb70778f1d63dd1bdb24202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2116739406228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673940622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11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91239 kisti_ndsl_JAKO202116739406228 earticle_primary_394835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10531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1-05-3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21 text: 20210531 day: 31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디지털융복합연구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PublicationYear | 2021 |
| Publisher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 SSID | ssib042018921 ssib046774051 ssib053377220 |
| Score | 1.7715902 |
| Snippet |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how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ffects the perception of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고령 이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 지각과 지속적인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295 |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용성 평가
2.2 테크노스트레스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2 동일방법편의 조정
3.3 조사도구 및 자료 처리
4. 연구결과
4.1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2 상관관계 분석 결과
4.3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4.4 테크노스트레스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5. 논의
5.1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5.2 테크노스트레스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6. 결론
REFERENCES |
| Title |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UI 사용성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483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673940622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8390 |
| Volume | 19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디지털융복합연구, 2021, 19(5), , pp.295-305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EBS databaseName: 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 customDbUrl: eissn: 2713-6442 dateEnd: 99991231 omitProxy: false ssIdentifier: ssib046774051 issn: 2713-6434 databaseCode: AKVCP dateStart: 201507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search.ebscohost.com/login.aspx?authtype=ip,uid&profile=ehost&defaultdb=bsu providerName: EBSCOhost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LTxNBGN_wuHgxGl_4IBvjnEjrPmZ3Z7ztbkt4xMcBDLdN290agikG4eIJDBiDGDFBqIYaNOArTdTAAZL-Re70f_D7ptuyBEzUy3b69Xv_ZjvfTHZmFeWGZlK7YOOKu6kXMrQQFTOFEgBSKtqlkm04dshwo_DtO_bQOB2ZsCa6undTTy3NzRazpScn7iv5H1SBBrjiLtl_QLajFAjQBnzhCgjD9a8wJnmPuC5xGTY8jXBK8j7hOeL5AySfI9whro8kBkzyN8_HRxuQySYeHZAti7ia5Iay0pcq7UTskBtUSnlmEc4SCmcD48NSBTMSAQ52uKRQ4ukdSekMiKJ6aOiS20OKx1Lu5bDhyWDAI8aOeM45-CKtuU7iFbMJy51sX7onbQyiL0hxCEd50D2YmPV4m8mF4FvJYOgeJgNyYMn1EpIHp0yZI-mXd2jgD8HzPJiS3FYLCR9j4DIfzGtzy_Qikw7t9BwBiYBFC8wk2JzMKGsLWhJwUzZyEkGexAi9AP0FSmf5W4aqyV4ifXMlCjLS9JqPobcfV2gPDYajmxmoJemRcYyn7lcrPSi1XmOa1Dem3OZ-fOiktPVa8JyfRZNZnWetbEf0yJHkJqdQuHcrvXAvG1qP0uuO3vfvtf_GKdSULHXKHgzFDk2dAgcTDJjSyQNTO3Ek29nQh5vHPMA6MbnHYAqJ86pJqAQrM-VUJTh2RjmdTOFUt8V7Vumamj6nfIy_fYl_rIlaQ21u1MXytmjMi_U9VbzZaq6txJ_q-L22J5aqolZVx4dV8bQu3n0Viz-BqjaXVpoL9XhpHwSby_vx1nPU8HZeFZ_nxbOXCW-tGr9aFBuravx9XxxU4-U1VVQXmus76i311-5WvHWAuhPm96vxTkMV26_Fi7rYbMQfNs8rY4P5MX8ok7z_JBMxh2eiSLMso4QHABplB-p6SosFh4ZRiNvHSyzEwdSONKNcdDTHYWU9tM0w1IthEepuqMUvKD2V6Up0SVELEeAVmbSsGyEF0ArUjCieXUj10IEZV59ysZ3h4FHrlJugBXKf0i8THlTCxw-DEXf0LkKj2w78rNmGwfqU64BEMFWaDPCkevx8MB1MzQQwHx8OuMOhNOaX_6j_inLqsINfVXpmZ-aia1Dmzxb7k271G39R3tM |
| linkProvider | EBSCOhost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A%A8%EB%B0%94%EC%9D%BC+%ED%97%AC%EC%8A%A4%EC%BC%80%EC%96%B4+%EC%95%A0%ED%94%8C%EB%A6%AC%EC%BC%80%EC%9D%B4%EC%85%98%EC%9D%98+UI+%EC%82%AC%EC%9A%A9%EC%84%B1%EC%9D%B4+%ED%85%8C%ED%81%AC%EB%85%B8%EC%8A%A4%ED%8A%B8%EB%A0%88%EC%8A%A4%EC%99%80+%EC%A7%80%EC%86%8D%EC%82%AC%EC%9A%A9%EC%9D%98%EB%8F%84%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3A+%EA%B3%A0%EB%A0%B9%EC%9D%98+%EC%82%AC%EC%9A%A9%EC%9E%90%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rft.au=%EC%B0%A8%EC%9E%AC%ED%98%81&rft.date=2021-05-31&rft.issn=2713-6434&rft.volume=19&rft.issue=5&rft.spage=295&rft.epage=305&rft_id=info:doi/10.14400%2FJDC.2021.19.5.295&rft.externalDocID=394835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34&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34&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3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