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2; pp. 273 - 280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3.2022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적인 경향의 프로 그램 자체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학생들의 전공 학습 및 취업 연계를 비롯한 각종 지역사회 연계형 문제해결학습 역 시 포괄할 수 있는 성격과 이점을 가진다. 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지역 연 계 장애인평생교육”을 주요 주제와 내용으로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방략을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 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간 협의를 통한 연구 내용의 모델 정립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 그램 운영에 대한 종합체계”로 제시되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은 조선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와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기타 위원회 및 부서 등이 상호 협업 및 소통하는 절차가 상세히 도식화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은 비교과프로그램에서 구성되어 야 할 학습 내용과 방법 및 절차가 구체적으로 도식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 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종합체계”는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근거요소들을 로드맵의 차원으로 종합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양 대학 간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을 통한 지 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심화적으로 연계 추진 가능한 사업과제를 조망할 수 있었다.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적인 경향의 프로그램 자체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학생들의 전공 학습 및 취업 연계를 비롯한 각종 지역사회 연계형 문제해결학습 역시 포괄할 수 있는 성격과 이점을 가진다. 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을 주요 주제와 내용으로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방략을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간 협의를 통한 연구 내용의 모델 정립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종합체계”로 제시되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은 조선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와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기타 위원회 및 부서 등이 상호 협업 및 소통하는 절차가 상세히 도식화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은 비교과프로그램에서 구성되어야 할 학습 내용과 방법 및 절차가 구체적으로 도식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종합체계”는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근거요소들을 로드맵의 차원으로 종합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양 대학 간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을 통한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심화적으로 연계 추진 가능한 사업과제를 조망할 수 있었다. Based on the MOU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operation strategy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the them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community connection. In front-line university sites,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are often recognized as forms and procedures to assist in subject learning at the major or liberal arts level, but they have a very important status and identity considering that they are classified as "learning competency reinforcement support", "career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subject-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Accordingly,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has the nature and advantage of covering not only the level of the one-time trend program itself, but also various community-linked problem-solving learning, including students' major learning and employment linkage. As part of the abo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with the main theme and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viewing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largely presented as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operation strategy of curriculum between two universities," and "comprehensive system for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First, the first research content, "Organized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was schematized in detail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and communicating with Chosun University's cent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Daegu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other committees and departments. The second research content, "The Curriculum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is a detailed schematic diagram of the learning contents, methods, and procedures to be organized i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The third study, "Comprehensive System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peration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wo Universities," presents the results of synthesizing the basis elements essential for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at the level of a roadma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ject tasks that could be promoted in-depth through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MOU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KCI Citation Count: 2 Based on the MOU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operation strategy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the them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community connection. In front-line university sites,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are often recognized as forms and procedures to assist in subject learning at the major or liberal arts level, but they have a very important status and identity considering that they are classified as "learning competency reinforcement support", "career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subject-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Accordingly,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has the nature and advantage of covering not only the level of the one-time trend program itself, but also various community -linked problem-solving learning, including students' major learning and employment linkage. As part of the abo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with the main theme and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viewing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largely presented as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operation strategy of curriculum between two universities," and "comprehensive system for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First, the first research content, "Organized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was schematized in detail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and communicating with Chosun University's cent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Daegu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other committees and departments. The second research content, "The Curriculum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is a detailed schematic diagram of the learning contents, methods, and procedures to be organized i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The third study, "Comprehensive System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peration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wo Universities," presents the results of synthesizing the basis elements essential for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at the level of a roadma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ject tasks that could be promoted in-depth through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MOU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적인 경향의 프로그램 자체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학생들의 전공 학습 및 취업 연계를 비롯한 각종 지역사회 연계형 문제해결학습 역시 포괄할 수 있는 성격과 이점을 가진다. 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을 주요 주제와 내용으로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방략을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간 협의를 통한 연구 내용의 모델 정립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종합체계"로 제시되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은 조선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와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기타 위원회 및 부서 등이 상호 협업 및 소통하는 절차가 상세히 도식화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은 비교과프로그램에서 구성되어야 할 학습 내용과 방법 및 절차가 구체적으로 도식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종합체계"는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근거요소들을 로드맵의 차원으로 종합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양 대학 간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을 통한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심화적으로 연계 추진 가능한 사업과제를 조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적인 경향의 프로 그램 자체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학생들의 전공 학습 및 취업 연계를 비롯한 각종 지역사회 연계형 문제해결학습 역 시 포괄할 수 있는 성격과 이점을 가진다. 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지역 연 계 장애인평생교육”을 주요 주제와 내용으로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방략을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 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간 협의를 통한 연구 내용의 모델 정립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 그램 운영에 대한 종합체계”로 제시되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은 조선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와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기타 위원회 및 부서 등이 상호 협업 및 소통하는 절차가 상세히 도식화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은 비교과프로그램에서 구성되어 야 할 학습 내용과 방법 및 절차가 구체적으로 도식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 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종합체계”는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근거요소들을 로드맵의 차원으로 종합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양 대학 간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을 통한 지 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심화적으로 연계 추진 가능한 사업과제를 조망할 수 있었다. |
| Author | 김화수 김영준 이근용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영준 – sequence: 2 fullname: 김화수 – sequence: 3 fullname: 이근용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2437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jMtKw0AYhYNU8PoKMhvBLgJzSzJZFvFSLxSkrodJOpHQ2krSjbuKdSEIKlisosUuRAWFgBYr6Aslk3cwWOnqOz__d86Mlqs36nJCm8aEUR0S08yNs8GmtPkw9B1IqUUNG6Fp7VL1I9V-SM5aaecmHlzoWYoHr-MbJF_tDPH7N8ig7vpAXZ8krx9p91J1fpa2S7t5EA-jJOoC9dRS12_ZP4rf20D1HlXnQd0P0_NTdXz_Xx6vpVftpH8Xfw6T3jNQtx-qewSS6CXpDea0SU_UQjn_z1mtvLpSXl7Xt0prxeXCli6ZZeuWRZHjSSQIIpYjkEQGEw72LFuwiiscVEFCMkOaDCJEPMewmAGFTaErEM7KZFbLj2brgcerrs8bwv_jXoNXA17YKRe5bVODUDtzF0du1Q-bPq9XwhrfKGyWMMQYIWxiiyCGSeYtjDwpgqbv1iQ_CPx9ERxyiqAJDfILFrWnQA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JDI ACYCR |
| DEWEY | 306 |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 DocumentTitleAlternate | The Operation Plan of the Community-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
| EISSN | 2384-0366 |
| EndPage | 280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945349 JAKO202211262731823 410605 |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M~E |
| ID | FETCH-LOGICAL-e879-7741bfe1a3137ba1e158ab2f79a8dcab1d1ae85e680113fb57850a940ca127743 |
| ISSN | 2384-0358 |
| IngestDate | Tue Nov 21 21:49:50 EST 2023 Fri Dec 22 12:03:36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Daegu University 대구대학교 Chosun University 비교과프로그램 Community-Linked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조선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MOU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9-7741bfe1a3137ba1e158ab2f79a8dcab1d1ae85e680113fb57850a940ca12774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2211262731823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1126273182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8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45349 kisti_ndsl_JAKO202211262731823 earticle_primary_410605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2-03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2-03-0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3 year: 2022 text: 2022-03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 PublicationYear | 2022 |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
| Score | 1.7994051 |
| Snippet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Based on the MOU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operation strategy of a extracurricular... |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273 |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간 연합지역연계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1.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간 조직적 운영 방략
2.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3. 종합 체계
Ⅳ. 결론
References |
| Title |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1060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1126273182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24379 |
| Volume | 8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22, 8(2), , pp.273-280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Q9eRG_rR8liAMtS0ommWxmjkl2S12pvbTQW0g2iZTKVrbbiwepuB4EQQuWVmlLexAVKiy0xQr6Q_wLm-x_8M0km11l69clmbyZefPmvUzmvcmbN5J02yemF9DAVxj1DIVoAVZoVFUV5mMvCLWARcKJZuZecXqeVBaMhaHh731eS6sNf7L6aOC-kv-RKsBArnyX7D9INkcKAEiDfOEKEobrX8kYlR1kYWSrPEEJsiBhI-pw94VyCTEDMYbKFrIhoSp9eQJkOb8pXeB5NuNYuyCR0JHtFPpADmKchoJImYgavB5gtonASRHDIstAdgmU2ZnZebEOwRFQQbjNr4wKBJYpaBGYrFIXp91tmZIUVEaWkSG10uIljg3ao1OIMsEMnQMHkXlqrwS9RGTZnKtQgWeZArUtWk2pZJboncN7RzOUKrJYVso2TlH4uYovnPzraQBUGHdp3JOw0Mh_cIglmorj5L7rggjW5QtvUXAKCFUHFClxGTJBHQXe016RlEuk2ycn64nVc7ZPz9UWn3-lslrrXw_StJ5DXDptgA5GAJYGxJ8M-2Hp-TbdeY_2DW-tfw5Lz5bJ1CEt681Pkcp_0SByv86KdXeW08T3pQEasF31YWlYx_xokZnH5e6HXuNLmUbv976mEx7JEveexVG0-URBiEkM1puIwEQxi0wcrZr3liuT2UAEO5MbX4ugLtbqUZ-6OHdOOpuJXbbSsueloaXlC9JouhlezibUFXk8i_o-cVFaT_ZbSXMvfrHW2XjTPn6lQKp9fJA_y_GXJtzah19luCXb-3Ky-Sw-OOpsrScb38ZhYE3I7ZNW3NqSk_dryeYnyG-1D5tysvsu2dhLdk46L58nT3eyyjm2zutmvL_d_nwS736Qk7dHydYTOW59jHePL0lzU-U5Z1rJzktRQmoysJMJ9qMQezrWTd_DITao52uRyTwaVD0fB9gLqREWQSnFeuTzMFeqx4ha9bAGlfXL0khtuRZelWSYXmgYRX7VxAExI8LAqgPTS9OjUIcGiqPSlS6z3YdpVByXYLWoGqPSmOC9WwtWHrgD3odR6RYIxV2qLro8sj2_3192l-ou2O93XMaIoRN27U9Yrktneu_-DWmkUV8Nb4J10PDHxJv2A74r9m0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1%B0%EC%84%A0%EB%8C%80%ED%95%99%EA%B5%90-%EB%8C%80%EA%B5%AC%EB%8C%80%ED%95%99%EA%B5%90+%EB%B9%84%EA%B5%90%EA%B3%BC+%EA%B5%90%EC%9C%A1+%EC%97%85%EB%AC%B4%ED%98%91%EC%95%BD%28MOU%29+%EA%B8%B0%EB%B0%98+%EC%A7%80%EC%97%AD+%EC%97%B0%EA%B3%84+%EC%9E%A5%EC%95%A0%EC%9D%B8%ED%8F%89%EC%83%9D%EA%B5%90%EC%9C%A1+%EB%B9%84%EA%B5%90%EA%B3%BC%ED%94%84%EB%A1%9C%EA%B7%B8%EB%9E%A8+%EC%9A%B4%EC%98%81+%EB%B0%A9%EB%9E%B5&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A%B9%80%EC%98%81%EC%A4%80&rft.au=%EA%B9%80%ED%99%94%EC%88%98&rft.au=%EC%9D%B4%EA%B7%BC%EC%9A%A9&rft.au=Kim%2C+Young-Jun&rft.date=2022-03-01&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8&rft.issue=2&rft.spage=273&rft.epage=28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211262731823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