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기반 학습 적용이 메타인지 및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5; no. 11; pp. 361 - 374
Main Author 김순옥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0.11.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17.15.11.361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현 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습교과목에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팀 기반 학습법 적 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습교과목에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팀 기반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the practice of nursing practice and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in the second grade of Nursing Department of G regio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6 to June 5, 2017. The data were analyzed independence t-test and one-way ANOVA by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paired t-test for the effects of variables after the experimen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on and the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eam-based learning was not only increased but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was moderate,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and meta-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f self-directed and active learn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ability required in nursing field. KCI Citation Count: 11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현 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습교과목에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팀 기반 학습법 적 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the practice of nursing practice and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in the second grade of Nursing Department of G regio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6 to June 5, 2017. The data were analyzed independence t-test and one-way ANOVA by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paired t-test for the effects of variables after the experimen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on and the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eam-based learning was not only increased but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was moderate,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and meta-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f self-directed and active learn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ability required in nursing field.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습교과목에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팀 기반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Author 김순옥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순옥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658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tLw0AUhQdRUGt_gSDZuBBszDySzCxLfSsUpPshaVIJra0kbtxVrOCj0C6qVkGpq7YrU6oYwV_UTP6DaSuuzr3wncM9dxHMlitlG4BlqMiQEEXZ2N_MyEiBugxVGUIZa3AGLCAd4pRGCJr9nzGZB0nPc0yFxDhlCC6Aq6helUaBH_ptKbp_ErefkuhciOe-ePmQwn4ruqyKl0B0q1LoNybE45WoDcRXL2zU1ifOYTDya1E7ENedeJXEdTt6uBGvTXHXGfnN9b_YsFsXb4PYJB6bUvgeiO92eNuSoufeaPizBOYKRsmzk3-aALntrVxmN3WY3dnLpA9TNtVpChOiqrpmmXEry9ZMXcWQIR2rhmFaeYSoQQsWMxnDqoYMaiGd2GaeFaiJNUqIjRNgbRpbdgu8mHd4xXAmelzhRZenj3J7HEFECaMxuzpli4535vCy5ZX4fvogO340JkwjkEFExtzKlLMN98zJl2x-6jonhnvOMcTxKfgXJtqkr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620
DOI 10.14400/JDC.2017.15.11.361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Metacognit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EISSN 2713-6442
EndPage 37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128498
JAKO201734964191248
313993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ID FETCH-LOGICAL-e878-3445576db442de6b753192735aabdc228a8fd9b993562a8d274ebc9f8b36844e3
ISSN 2713-6434
IngestDate Sun Jun 08 03:20:16 EDT 2025
Fri Dec 22 12:01:04 EST 2023
Mon Sep 08 16:22:29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1
Keywords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Meta-cognition
Confidence in performance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Team-based learning
팀 기반 학습
메타인지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8-3445576db442de6b753192735aabdc228a8fd9b993562a8d274ebc9f8b36844e3
Notes KISTI1.1003/JNL.JAKO20173496419124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349641912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128498
kisti_ndsl_JAKO201734964191248
earticle_primary_31399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11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11-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1
  year: 2017
  text: 201711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SSID ssib042018921
ssib046774051
ssib053377220
Score 1.6528369
Snippet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the practice of nursing practice and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61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및 가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연구 진행절차 2.5 자료분석방법 2.6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변수 차이 3.2 팀 기반 학습의 적용 효과 3.3 팀 기반 학습 적용 후 변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Title 팀 기반 학습 적용이 메타인지 및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399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349641912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6588
Volume 1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디지털융복합연구, 2017, 15(11), , pp.361-37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F6V9sIFgXiVR2Uh9pSmxPY63j3aaaLSisehoN6sOHZQVZSi0l44FdFKpVRqD4WGSkXl1PZEqoIIEr8o2fwHZtab4FCQgItj787MfjsTe2as9Swht4VZruYERG7gqqMsK9v5bJhznGyE5dKEY-cqNn7gfO9-fuIRm5xxZgbORKlVS0uL4VjlxW-_K_kfq0Ib2BW_kv0Hy_aEQgOcg33hCBaG41_ZmBbHKS9QnsvQokd9Tv0cLfp4FDyDncKhQtAikEC3k8EzLwfBI54Ij3qqT4xTn2WQEa4FU0JtXAGh-7hic5NhlHRe6pcuoNNRwzDqK-G-Sz2O1LyEjWDHfoS2EuspYWpEwfVAnCPELnFGN0E3EuUpTwYsUqHwcb9LjQs2knF-nbaamYuKwnmYCmEXWAJeJDPzShqDL9SAPvILloj01IQ8Bb2QDumRDrQmWE9NSoNMyxIFDQEZHY3O66rNT8BDS-9ttWoQWv84dYUb8HhO-hUNuH1dGrL7JLdc085C6Mf63I6Tvr3MlBOxk_L0Oh6xk12MTrk6xpJtvMcLuEDRHTMdcH9jPd6-GuK2iXHoGTJkuRBhDpIhb-px4WH3ucuAn6fK4oHvdFmqbBtkBJCDqQqnvZnoAl4I4s5pCBjZ6bsCkj7MhGYhdqstVFOx2_R5ck4nXYaX0F4gA3PzF8lqZ2PZaDUb7Ubd6Lx9L9e_GHL_pdw9knufjfbRdufVstxryoNlo93YVBQ7q3LlWH49bG-ujCrOk2arsdKpN-XaPlwacq3eefdaftiSb_Zbja1RLbZ9sCE_HgOT3Nky2p-a8lu9vb5tdHYPWyffL5HpUnG6MJHVm5JkY44riRhzIEWPQsasKM6HLvowSAGccjmMKpbFy7waiRC0DYlFmUeWy-KwIqo8tPOcsdi-TAZr87X4KjHMKFcNmWlFLoTIsXA5D6uVqBxXOeRIeSccJle6SgyeJaVngsSQw2RE6TSoRc-fBpPe1ANUP279wEwBATsfJrdA2cFcZTbA8vH4-2Q-mFsIIEm-G1gYkwp-7Y_yr5OzP__GN8jg4sJSfBNi78VwRP91fgDn4LnJ
linkProvider EBSCOhost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C%80+%EA%B8%B0%EB%B0%98+%ED%95%99%EC%8A%B5+%EC%A0%81%EC%9A%A9%EC%9D%B4+%EB%A9%94%ED%83%80%EC%9D%B8%EC%A7%80+%EB%B0%8F+%ED%95%99%EC%97%85%EC%84%B1%EC%B7%A8%EB%8F%84%2C+%EA%B8%B0%EB%B3%B8%EA%B0%84%ED%98%B8%EC%88%A0%EA%B8%B0+%EC%88%98%ED%96%89%EC%9E%90%EC%8B%A0%EA%B0%90%2C+%ED%95%99%EC%8A%B5%EB%A7%8C%EC%A1%B1%EB%8F%84%EC%97%90+%EB%AF%B8%EC%B9%98%EB%8A%94+%ED%9A%A8%EA%B3%BC&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rft.au=%EA%B9%80%EC%88%9C%EC%98%A5&rft.date=2017-11-30&rft.issn=2713-6434&rft.volume=15&rft.issue=11&rft.spage=361&rft.epage=374&rft_id=info:doi/10.14400%2FJDC.2017.15.11.361&rft.externalDocID=31399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3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