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11월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16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본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WIN 21.0프로그램을 활용해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변수들의 특성,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주여성 중 경기도 지역 다문화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274명을 추출해,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5; no. 8; pp. 301 - 310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8.2017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17.15.8.301 |
Cover
|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11월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16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본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WIN 21.0프로그램을 활용해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변수들의 특성,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주여성 중 경기도 지역 다문화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274명을 추출해,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독립변수 중 결혼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성역할태도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안정성과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하였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24963132200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17.15.8.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