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분석 로봇 설계 및 구현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 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 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6; no. 1; pp. 489 - 494
Main Authors 이성웅, 이강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9.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 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 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도록 설계 및 구현한다. Q.bo One은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및 기 타 센서들로 구성된 소셜 로봇으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추어 센서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 할 수 있도 록 제작된 로봇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공한 정신질환의 기준 DSM-5를 기반으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구체 화하고, Q.bo One이 대상의 얼굴 표정을 1주~2주간 분석하여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AbstractList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도록 설계 및 구현한다. Q.bo One은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및 기타 센서들로 구성된 소셜 로봇으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추어 센서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로봇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공한 정신질환의 기준 DSM-5를 기반으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구체화하고, Q.bo One이 대상의 얼굴 표정을 1주~2주간 분석하여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We propose to designs and to implements a robot analyzing the risk of occurrence of mental disord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through the facial expression-detecting system. Due to complex social factors,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contrast to the household of many family members, the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varies greatly. Since most patients with mental can not detect the disease on their own, counseling and treatment with doctors are often ignored. In this study, we design and implement a robot analyzing the risk of mental disord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by constructing a system with Q.bo One, a social robot created by Thecorpora. Q.bo One is consisted of Arduino, ar raspberry pie, and other sensors designed to detect and respond to sensors in the direction users want to implement. Based on the DSM-5 provid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he risk of mental disorder occurrence was specified based on mental disorder. Q.bo One analyzed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subjects for a week or two to evaluate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If the mental disorder occurrence risk is high, Q.bo One is designd to inform the subject to counsel and have medical treatment with a specialist. KCI Citation Count: 0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 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 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도록 설계 및 구현한다. Q.bo One은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및 기 타 센서들로 구성된 소셜 로봇으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추어 센서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 할 수 있도 록 제작된 로봇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공한 정신질환의 기준 DSM-5를 기반으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구체 화하고, Q.bo One이 대상의 얼굴 표정을 1주~2주간 분석하여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We propose to designs and to implements a robot analyzing the risk of occurrence of mental disord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through the facial expression-detecting system. Due to complex social factors,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contrast to the household of many family members, the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varies greatly. Since most patients with mental can not detect the disease on their own, counseling and treatment with doctors are often ignored. In this study, we design and implement a robot analyzing the risk of mental disord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by constructing a system with Q.bo One, a social robot created by Thecorpora. Q.bo One is consisted of Arduino, ar raspberry pie, and other sensors designed to detect and respond to sensors in the direction users want to implement. Based on the DSM-5 provid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he risk of mental disorder occurrence was specified based on mental disorder. Q.bo One analyzed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subjects for a week or two to evaluate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If the mental disorder occurrence risk is high, Q.bo One is designd to inform the subject to counsel and have medical treatment with a specialist.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도록 설계 및 구현한다. Q.bo One은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및 기타 센서들로 구성된 소셜 로봇으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추어 센서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로봇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공한 정신질환의 기준 DSM-5를 기반으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구체화하고, Q.bo One이 대상의 얼굴 표정을 1주~2주간 분석하여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Author 이성웅
이강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성웅
– sequence: 2
  fullname: 이강희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379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ktLw0AAhIMo-PwLshcPHgL7SrI5luKjWihI70uybiW0tpL04q1irKIHLVhMIZEKlV48FHzgb2o2_8FgxNMMwzfDrGqL7U5bLmgrmDCqQ2Kai__eYMvaRhB4LqTUooaN0IrWzwaxGg_BfPagpj2g7mJ1O8muYpWEIOt_ZsMYqOmFen4F6jLJRkU-jNLbR4BU8p33evPPN5VEIF9Rd2M1vclGEUhncfo-ACoOs6covQ9B-hWqMAHpS5x-XAMVTubveTi7B3k7i8J1banhtAK58adrWn13p17e16u1vUq5VNUls5iOELItw8AmMl2KpTBcw3QlgwZzhHAEIxIyxyCuQJZlS5u6BAoqGsJF2JQNB5M1bbuYbfsN3hQe7zjer550eNPnpaN6hZs2ZgSynN0q2KYXdD3ePg5a_KB0WMMQQ0SxSfM30IY5t1lw0vG7nmhJfuZ7p45_zokFicXID4IVnIo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atabaseName 학술교육원 E-Articl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obot Analyzing Mental Disorder Risks for a Single-person Household Worker through Facial Expression-Detecting System
EISSN 2384-0366
EndPage 49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928308
JAKO202014264111090
370378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8-11197552616b42ec5b56be8058accac83e08a53bc1779e94b30c4cfcb126efa23
ISSN 2384-0358
IngestDate Tue Nov 21 21:47:51 EST 2023
Fri Dec 22 12:04:14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정신 질환
1인 가구
Risk of Mental Disorder Occurrence
Face Detecting System
Q.bo One
얼굴 검출 시스템
Single-Person Households
정신 질환 발생 위험
Mental Disorder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8-11197552616b42ec5b56be8058accac83e08a53bc1779e94b30c4cfcb126efa23
Notes KISTI1.1003/JNL.JAKO202014264111090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142641110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928308
kisti_ndsl_JAKO202014264111090
earticle_primary_37037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229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2-29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0
  text: 20200229
  day: 29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Score 1.7267867
Snippet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 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We propose to designs and to implements a robot analyzing the risk of occurrence of mental disord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orkers through the facial...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89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1. 타국 및 국내 정신질환 조기 진단 연구 현황 2. DSM-5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3. Thecorpora사의 Q.bo One Ⅲ. 정신질환 위험도 기준 및 표정 감지시스템을 통한 분석 로봇 설계 및 구현 1.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분석과정 설계 2.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분석로봇 구현 Ⅳ. 실험 V. 결론 References
Title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분석 로봇 설계 및 구현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7037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142641110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3791
Volume 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0, 6(1), , pp.489-49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Q9eRHFr_pRgjinsJKPmcnMMbtNqRX1skJvIckmUlp2ZW0vHqTiWqU91ILFLexKhUovHgq14m_qJv_BNzPJ7mIrqJdk8ua9Ny_zJpM3X-9p2r2QJiFmSVQJzUZSwdSxKxFJzYoLbSek1E5pIr19PqbzT_HCIlmcmPTHdi2trUb345fnniv5H60CDPQqTsn-g2aHTAEAadAvXEHDcP0rHSN_FnEL8Rrya8gzEScG8j1UFZsXJMhFzDREilULLOYhDws6RgoIhzQ2JIiiKpE8RZ5RcrAklo88olg5gkRg8TMcBCFDflUUw7FhFblVVsrFTJkgyCspOTOG0heSekPhWVmOQKrKF6vJBMhgSTp4ZvJ9uFsWPaekASwq8yQGn5Ugzyo5gA3tGkWmqBFPMC0JQdA5Y0xSISZSQeZKS350pm6l3GdREzv428q7KXxUyltpMrZ6Icz5hVqtPjb9UtZQKWdV1Rm8BjkHRelW6WgWFW4zizkbGKCLM_B81LWDnYQrpqOc1pf_IXrmc1P_FKxiLBXmCVYxoX9zEu5Ax-2ySW3SsUQYj0ev_LJTtcW0IRktpdsOFl4jrdGzDPs67JQxdjHho04fhgMu5TKM6VBqYbgVjR7GdGKgswSmWbOdjplm9UvaxUILuqdwL2sTy60r2ka-08v2d_XTow_Z4bqebfWyzYP8bS_rd_R84yTf7enZ4evs81c9e9PP9xR8tzvY_KhbWf8n0K2fnnzL-l0duGRb-9nh-3yvqw-OeoPjHT3rdfJP3cF2Rx_86GSdvj740ht8f6dnnYPTYwAebetAnXc7V7X6nF-vzVeKoCOVhIkJFbGsTohNLRphO4lJRGiUMJOwEPq6mDmJyULiRLHlujzhOHLMGMdpHFk2TdLQdq5pU81WM7mh6anJTTPB2LbCBqYNyplYw06hPThpGGM-rV0vazF4rlzLBEqP09qMrNSg2XixEix4D5-IRmSJwYslPASb09pdqO1gOV4KhHt4cX_WCpbbAQyCHwSUC69-7OYf-d_SLoxa5W1tarW9ltwB23o1mpFt5xd4lbiD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1%9C%EC%A0%95+%EA%B0%90%EC%A7%80+%EC%8B%9C%EC%8A%A4%ED%85%9C%EC%9D%84+%ED%86%B5%ED%95%9C+%EC%A7%81%EC%9E%A5+%EC%83%9D%ED%99%9C%EC%9D%84+%ED%95%98%EB%8A%94+1%EC%9D%B8+%EA%B0%80%EA%B5%AC%EC%9D%98+%EC%A0%95%EC%8B%A0%EC%A7%88%ED%99%98+%EB%B0%9C%EB%B3%91+%EC%9C%84%ED%97%98%EB%8F%84+%EB%B6%84%EC%84%9D+%EB%A1%9C%EB%B4%87+%EC%84%A4%EA%B3%84+%EB%B0%8F+%EA%B5%AC%ED%98%84&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C%9D%B4%EC%84%B1%EC%9B%85&rft.au=%EC%9D%B4%EA%B0%95%ED%9D%AC&rft.date=2020-02-29&rft.issn=2384-0358&rft.volume=6&rft.issue=1&rft.spage=489&rft.epage=494&rft.externalDocID=37037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