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 공역 다중 드론 운행 충돌 방지 방안 연구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 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기반으로 추정되는 ROI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설정 후 드론 충돌을 제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실혐분석 결과, 운행하는 드론의 항로 직경은 충돌 위험 을 줄일 수 있는 규모를 선정해야 하며, 운행하는 드론의 출발시간과 운행 속도의 변화는 충돌에 영향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비행 우선 순위 제공이 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1; no. 5; pp. 103 - 111
Main Authors 유순덕, 최태인, 조성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1.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9-0238
2289-0246
DOI10.7236/JIIBC.2021.21.5.103

Cover

Abstract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 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기반으로 추정되는 ROI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설정 후 드론 충돌을 제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실혐분석 결과, 운행하는 드론의 항로 직경은 충돌 위험 을 줄일 수 있는 규모를 선정해야 하며, 운행하는 드론의 출발시간과 운행 속도의 변화는 충돌에 영향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비행 우선 순위 제공이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임을 실증하였다. 충돌 회피 방안에 대해 드론 센서기반 충돌회피뿐만 아니라 관제 시스템에서 충돌을 모니터링 및 예측하고 실시간 제어를 수행하여 이중으로 충돌을 보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제 기반으로 운행되는 드론의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를 제공하고 이를 실질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관제 기반으로 이기종 드론들이 다수 운행시 등장하는 충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드론의 충돌로 인한 사고 방지와 안전한 드론 운행 환경 제공을 통한 관련 산업의 발달에 기여 할 것이다.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s of multiple drones in controlled airspa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it is appropriate as a method to control drone collisions after sett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ROI (Region of Interest) area estimated based on the expected drone path and time in the control system as a method to avoid drone collis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diameter of the flight path of the operating drone should be selected to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and the change in the departure time and operating speed of the operating drone did not act as an influencing factor in the collision. In addi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providing flight priority is one of the appropriate methods as a countermeasure to avoid collisions. For collision avoidance methods, not only drone sensor-based collision avoidance, but also collision avoidance can be doubled by monitoring and predicting collisions in the control system and performing real-time contr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idea for a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s of multiple drones in controlled airspace and conducted practical tests. This helps to solve the problem of collisions that occur when multiple drones of different types are operating based on the control syste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drone collisions and providing a safe drone operation environment.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 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기반으로 추정되는 ROI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설정 후 드론 충돌을 제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실혐분석 결과, 운행하는 드론의 항로 직경은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규모를 선정해야 하며, 운행하는 드론의 출발시간과 운행 속도의 변화는 충돌에 영향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비행 우선 순위 제공이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임을 실증하였다. 충돌 회피 방안에 대해 드론 센서기반 충돌회피뿐만 아니라 관제 시스템에서 충돌을 모니터링 및 예측하고 실시간 제어를 수행하여 이중으로 충돌을 보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제 기반으로 운행되는 드론의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이를 실질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관제 기반으로 이기종 드론들이 다수 운행시 등장하는 충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드론의 충돌로 인한 사고 방지와 안전한 드론 운행 환경 제공을 통한 관련 산업의 발달에 기여 할 것이다.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기반으로 추정되는 ROI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설정 후 드론충돌을 제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실혐분석 결과, 운행하는 드론의 항로 직경은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규모를 선정해야 하며, 운행하는 드론의 출발시간과 운행 속도의 변화는 충돌에 영향요인으로 작동하지않았다. 또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비행 우선 순위 제공이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임을 실증하였다. 충돌회피 방안에 대해 드론 센서기반 충돌회피뿐만 아니라 관제 시스템에서 충돌을 모니터링 및 예측하고 실시간 제어를수행하여 이중으로 충돌을 보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제 기반으로 운행되는 드론의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이를 실질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관제 기반으로 이기종 드론들이 다수운행시 등장하는 충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드론의 충돌로 인한 사고 방지와 안전한 드론 운행 환경제공을 통한 관련 산업의 발달에 기여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s of multiple drones in controlled airspa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it is appropriate as a method to control drone collisions after sett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ROI (Region of Interest) area estimated based on the expected drone path and time in the control system as a method to avoid drone collis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diameter of the flight path of the operating drone should be selected to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and the change in the departure time and operating speed of the operating drone did not act as an influencing factor in the collision. In addi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providing flight priority is one of the appropriate methods as a countermeasure to avoid collisions. For collision avoidance methods, not only drone sensor-based collision avoidance, but also collision avoidance can be doubled by monitoring and predicting collisions in the control system and performing real-time contr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idea for a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s of multiple drones in controlled airspace and conducted practical tests. This helps to solve the problem of collisions that occur when multiple drones of different types are operating based on the control syste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drone collisions and providing a safe drone operation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 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기반으로 추정되는 ROI 영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설정 후 드론 충돌을 제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실혐분석 결과, 운행하는 드론의 항로 직경은 충돌 위험 을 줄일 수 있는 규모를 선정해야 하며, 운행하는 드론의 출발시간과 운행 속도의 변화는 충돌에 영향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비행 우선 순위 제공이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임을 실증하였다. 충돌 회피 방안에 대해 드론 센서기반 충돌회피뿐만 아니라 관제 시스템에서 충돌을 모니터링 및 예측하고 실시간 제어를 수행하여 이중으로 충돌을 보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제 기반으로 운행되는 드론의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 를 제공하고 이를 실질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관제 기반으로 이기종 드론들이 다수 운행시 등장하는 충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드론의 충돌로 인한 사고 방지와 안전한 드론 운행 환경 제공을 통한 관련 산업의 발달에 기여 할 것이다.
Author 최태인
유순덕
조성원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순덕
– sequence: 2
  fullname: 최태인
– sequence: 3
  fullname: 조성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6895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MtKw0AYhQepYK19AkGyceEicTIzmctGqMVLaqEg3Q-TZCKhtZWkG3cuFQUR0YJ0UaEgBYWCrQ_VxHcwtiL8cP7Fx-HwrYNCp9vRAGza0GII092a6-5XLQSRbeXnWDbEK6CIEBcmRIQW_n_M10A5SSIPYmgLQgktgr359CobDoz55yzrfxjp7SgbPRjp4yB9HRrZy_T7-cbIvsbp_Z2RTsbZ29Uinq6NrD-Zz943wGqo2oku_2UJNA8PmtVjs944cquVuqk5YyZmUJGAQIw95WtKiVbCD6GnAxaIwGOE2kwI7flcCExshyDiYMKR7XPmh8rHJbCzrO3EoWz5keyqaJFnXdmKZeW06UrB8x7OcnZ7ybaipBfJTpC0Za1y0vgVhCGjECKH5uJKYGvJaRX3Ir-t5UUcnav4UpJcWz7kB1i4dSs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21.21.5.103
DatabaseName e-articles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Method to prevent Collisions of Multi-Drone Operation in controlled Airspace
EISSN 2289-0246
EndPage 11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874687
JAKO202130760025672
402499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7-370a4d4033bace664ea9cf0bed7d9db7461799ebc8993415424534821c87cfac3
ISSN 2289-0238
IngestDate Tue Nov 21 21:41:27 EST 2023
Fri Dec 22 12:00:31 EST 2023
Sat Oct 18 23:51:2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Airspace
GIS
Ground Control System
Ground Control Platform
Droneway
Drone
Collision avoidanc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7-370a4d4033bace664ea9cf0bed7d9db7461799ebc8993415424534821c87cfac3
Notes KISTI1.1003/JNL.JAKO20213076002567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3076002567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874687
kisti_ndsl_JAKO202130760025672
earticle_primary_40249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1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1-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21
  text: 2021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21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sib022331885
Score 2.1754723
Snippet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 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s of multiple drones in controlled airspa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roved...
본 연구목적은 관제 공역 다중 드론의 운행 충돌 방지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드론 충돌을 회피하는방안으로 관제 시스템에서 드론 예상 경로와 시간을...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03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다중 드론 운행 충돌 방지 1. 다중 드론 운행 충돌 방지 2. 외부 기기 장착 활용 3. 드론 내장형 장애물 회피 센서 활용 4. 절대 공역 운영 활용 5. 드론 관제 시스템 연계 6. 혼합형 장애물 회피 방안 III. 연구 설계 1. 연구 내용 2. 연구 환경 및 조건 3. 테스트 시나리오 4. 항행 운행경로 공역 설계 5. 지정된 공역 기반 드론 운영 검증 6. 충돌 회피 알고리즘 IV. 연구 결과 분석 1. 시험 비행 내용 분석 2. 시사점 V. 결론 References
Title 관제 공역 다중 드론 운행 충돌 방지 방안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249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3076002567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68954
Volume 2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1, 21(5), , pp.103-111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9-024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39
  issn: 2289-023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4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R1Na9RAdGjrxYsoftWPEsQ5lV2TyUxm5iIku1vaSvVSobeQT6krW6ntxYP0qCiIiBakhwoFKSgWbP1R3fgffG-S3U1LhepBWLLDy5s37yPJey-ZeUPI7TR1sxjyhkYUM6_BI0h3VJ64DSfNRZpggXCBq5EX7nuzD_n8klgaG_9em7W0vhY3k-cnriv5F6sCDOyKq2T_wrJDogCANtgXjmBhOJ7KxrTj04DjZIVOi_o21a1pA3JpIBCkJfXbAAqoCqjPDRan2jEg7QI-NnwH-k4bfEOu06bao0obUOBRXxsKM1S1TMfANiCgJWHooyAtqFLT1dgARW4Ereo7Ph5w3UY8HLw82zb4bRooPKW46RiYhjxCXXnILOJ4lYQolz0gqE3DH_CpBA1KAVuGdMUwXlQMnt9wevQWxHBgdIhEVaUZhXTrKEHJNjBQKq9iu44CDAYlFWDfMSiga7v-doU5NbeE98N_0Mjogc8YTl9jZbWbZlaH8bqTcWy3Fq9Uzuq4K5TM7NUzPzcXtJooWRN-ojnsWy88fiwgOFJ6vJssh49Wwu5qCAnWXKiV5J6S4-QMAzeKe6UsvOgMHuDMARAb5acQeoLLGBVHYlhGS4_ycXAumtfq20EwJSFCHToEziUX2uwGONRNWTkMpbtzgmwYUla3I2SbmIItQ9DYW81rQePieXKuyvYsv8S9QMa6KxfJ3cP9jWJ7yzr8cVBsfrP6r3eKnXdW__1W__O2VXza__XxlVX83O2_fWP193aLLxvm78NLq9jcOzz4eoksznQWW7ONahuTRqYkenA74im3XTeOkszzeBbpJLfjLJWpTmNQJxZlzOJEQaoA4TRORcCKU06iZJJHiXuZTPRWetlVYolcCpl6XoR7TuQqilKWOEK6SZS5ce5kk-TKQPrwaVmsJuRYE1RPkimjjLCXPnsSzvv3HqDa3PKzvPAkmyS3QEvG2n-2-rXTIF0nZ0c30g0ysba6nt2EwH0tnjIXy28FQrEZ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4%80%EC%A0%9C+%EA%B3%B5%EC%97%AD+%EB%8B%A4%EC%A4%91+%EB%93%9C%EB%A1%A0+%EC%9A%B4%ED%96%89+%EC%B6%A9%EB%8F%8C+%EB%B0%A9%EC%A7%80+%EB%B0%A9%EC%95%88+%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1%285%29&rft.au=%EC%9C%A0%EC%88%9C%EB%8D%95&rft.au=%EC%B5%9C%ED%83%9C%EC%9D%B8&rft.au=%EC%A1%B0%EC%84%B1%EC%9B%90&rft.date=2021-10-31&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103&rft.epage=111&rft_id=info:doi/10.7236%2FJIIBC.2021.21.5.10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87468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