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 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16; no. 6; pp. 217 - 223
Main Authors 정애경, 홍유나, 강정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9-0238
2289-0246
DOI10.7236/JIIBC.2016.16.6.217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 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 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 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 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 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among technology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ostress that had impacts on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collected by 64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analys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echnology easy to use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echnology easy to use negatively affected technostr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technology intention to use while technostress negatively affected it. From thi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various technology training opportunities would be provided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and less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stress. Furthermo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utilizing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media should be develop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 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 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 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 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 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among technology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ostress that had impacts on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collected by 64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analys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echnology easy to use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echnology easy to use negatively affected technostr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technology intention to use while technostress negatively affected it. From thi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various technology training opportunities would be provided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and less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stress. Furthermo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utilizing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media should be develop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Author 홍유나
정애경
강정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애경
– sequence: 2
  fullname: 홍유나
– sequence: 3
  fullname: 강정진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384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MtKw0AUhgdRsNY-gSDduHDROJdkJrOsxUtroSAFl0OSzkhobSXpxl2VVlwICiJUSaGC4IUuhCrqKyXpO5haEQ78h_N_54dzlsB8s9WUAKwgqDFM6EapWNwsaBgiqiVFNYzYHEhhbPIcxDqd_--JuQgyvu_akEDEdarTFDiI-xfRdzcOhvFtN_y4js9G0c1jPOhnJ73LyekoOu9ED0H81MlO7oL4_iVxoqtuNnzvRMPnaNyJB1_Z8K07XUhm4TixPoPotbcMFpTV8GXmT9Ogur1VLezmypWdYiFfzkmT0RyliFPMlcUdqphSChJKpAmxcnTOJKlhBG0H6Q5jBpWI1ZADpWFTm9tS6ckdabA-i216StQdV7Qs91cPW6Luifx-tSgQgcSENGHXZmzd9duuaNb8hijl9yrTz0FOCTGgoZss4VZnnLS8tus0pDj23CPLOxGYI0JM8gOTIId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16.16.6.217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An Investigation of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EISSN 2289-0246
EndPage 22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303806
JAKO201609633505487
29133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76-6619629fa9c6f7fff0363e802fc497e3d210bc14c7756e17d1c0e5b6b9bef4b03
ISSN 2289-0238
IngestDate Sun Mar 09 07:53:53 EDT 2025
Fri Dec 22 11:58:42 EST 2023
Tue Apr 22 16:21:11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6
Keyword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technostress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technology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6-6619629fa9c6f7fff0363e802fc497e3d210bc14c7756e17d1c0e5b6b9bef4b03
Notes KISTI1.1003/JNL.JAKO201609633505487
G704-001948.2016.16.6.025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963350548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303806
kisti_ndsl_JAKO201609633505487
earticle_primary_29133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6
  text: 2016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core 1.988377
Snippe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 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among technology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technostress that had...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17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과의 관계 2.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테크노스트레스와의 관계 3. 테크롤로지 활용의도 관련 영향변인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 2.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2.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Title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9133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963350548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3840
Volume 1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16, 16(6), , pp.217-223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9-024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39
  issn: 2289-023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4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V3Na9RAFA-1XryI4lf9KIs4p7JrMknm45hkt7SV6qVib0s3mUhZ2UptLx5kla14EBREqLKFCoIf9CBUUf-lTfoviO9Nstm0VKgehGUZ3rz5zZv3Eua9ycwbw7hmyzC0BIuqLHJxtSqUVSloWJWKWcqyo4gyPO88f5PN3HbmFt3FsWO_SruW1tdatfDhoedK_sWqQAO74inZv7BsAQoEKIN94R8sDP9HsjFpBEQKIgRp-MSXRDiaEhDP1AVXUzziu0RqiqDEC5BZ2sTLmOuAMEUadSKAO9AFK2cSDPdBQMGzEBS4PQ4UzS1lTpIe8WSBpJtNQ7dTul9nCGASLxPS1hTN7YuMyRzKnYtStPM0ew7FdX8A5ZHs9p2hS62lcXWtHqlXL_D1aBzsAcVyEARlMHOJYXwwMuRh2BApWtQcUOoCdBdM6fYu8TMJAg2dawOfUVyZwC9UxaKKrjURJTODl42GEr8-YtFKFPWSyXw0kBQjFq2dDKWAw16d8mKNxYYpIfPX6z9oZDR_UIq74WiWPKemyjRn_5zFS-4PzY5_H5xZOdVX_8zNzvoBbohkNfixWtG2nMf8gH-xL5N5O1xu3l1ptlebEK_N4sdUW2DG_OOUM4Y3kMw_agznA2oxCrIW7jHFLFxyFM7D3CSdUno88MU4OLjFfOI43HHlKOstRDYcEPQllUPdZInIcHTXDxkbeqj52w3BK0Z0y-CDdlbjkg-6cMo4mQePFS_jPW2MtVfOGHfSzWfJz17a305f9wbfXqZPdpJX79OtzcrexvO9xzvJ027yrp9-6Fb23vTTt5-gJnnRqwy-dpPtj8luN936URl86WEDoA12oep7P_m8cdZYmG4sBDPV_LqUqgKXpgqOtmRUxksyZDGP4xi3aChh0jh0JFd2RC2zFVpOyLnLlMUjKzSV22It2VKxA9o7Z4x3VjrqglHhS6Zg3FQ2U-C8mq4IBTOXhIq4slzO1YRxfqiW5v0sKU6TSlztmjAmtZaanejBveacd-MW6tOEWd6GUMsRfMK4CurTj8GfH4eLR2G6ZJwYvWGXjfG11XV1BQKEtdakfop-A7dN0n0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8%88%EB%B9%84%EC%9C%A0%EC%95%84%EA%B5%90%EC%82%AC%EB%93%A4%EC%9D%98+%ED%85%8C%ED%81%AC%EB%86%80%EB%A1%9C%EC%A7%80+%ED%99%9C%EC%9A%A9%EC%9D%98%EB%8F%84+%EA%B4%80%EB%A0%A8%EB%B3%80%EC%9D%B8+%EA%B0%84%EC%9D%98+%EA%B4%80%EA%B3%84+%EA%B7%9C%EB%AA%85&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16%286%29&rft.au=%EC%A0%95%EC%95%A0%EA%B2%BD&rft.au=%ED%99%8D%EC%9C%A0%EB%82%98&rft.au=%EA%B0%95%EC%A0%95%EC%A7%84&rft.date=2016-12-31&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217&rft.epage=223&rft_id=info:doi/10.7236%2FJIIBC.2016.16.6.21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30380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