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러닝 기반의 임펄스 잡음 완화 기법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보이고 있 다. 효과적인 임펄스 잡음 완화를 위해 딥 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를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를 고려하여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잡음을 완화시킨다. 제안한 시 스템 모델을 전력선 통신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비트 오류 확률 대 SNR 그래프 를 통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17; no. 4; pp. 138 - 149
Main Authors 선영규, 황유민, 심이삭, 김진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1.08.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18.17.4.138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보이고 있 다. 효과적인 임펄스 잡음 완화를 위해 딥 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를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를 고려하여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잡음을 완화시킨다. 제안한 시 스템 모델을 전력선 통신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비트 오류 확률 대 SNR 그래프 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 모델의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중 ZF와 MMSE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최적의 순서를 가지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과 최적의 순서 를 가지지 않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각각 비교하여 어떠한 기법이 더 우수한 성능을 가 지는지를 확인한다.
AbstractList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보이고 있다. 효과적인 임펄스 잡음 완화를 위해 딥 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를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를 고려하여 연속적 간섭제거 기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잡음을 완화시킨다. 제안한 시스템 모델을 전력선 통신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비트 오류 확률 대 SNR 그래프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 모델의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중 ZF와MMSE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최적의 순서를 가지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과 최적의 순서를 가지지 않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각각 비교하여 어떠한 기법이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지를 확인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model which effectively mitigates impulsive noise that degrades the performanc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Recently, deep learning have shown effe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mitigate effective impulsive noise, we applied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which is one of deep learning algorithm to conventional system. Also, we used a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to mitigate impulsive noise generated from multi-users. We simulate the proposed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e Section V.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model is verified through bit error probability versus SNR graph. In addition, we compare ZF and MMS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 optimal ordering, an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out optimal ordering. Then we confirm which schemes have better performance. KCI Citation Count: 0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model which effectively mitigates impulsive noise that degrades the performanc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Recently, deep learning have shown effe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mitigate effective impulsive noise, we applied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which is one of deep learning algorithm to conventional system. Also, we used a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to mitigate impulsive noise generated from multi-users. We simulate the proposed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e Section V.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model is verified through bit error probability versus SNR graph. In addition, we compare ZF and MMS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 optimal ordering, an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out optimal ordering. Then we confirm which schemes have better performance.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보이고 있다. 효과적인 임펄스 잡음 완화를 위해 딥 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를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를 고려하여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잡음을 완화시킨다. 제안한 시스템 모델을 전력선 통신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비트 오류 확률 대 SNR 그래프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 모델의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중 ZF와 MMSE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최적의 순서를 가지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과 최적의 순서를 가지지 않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각각 비교하여 어떠한 기법이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지를 확인한다.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보이고 있 다. 효과적인 임펄스 잡음 완화를 위해 딥 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를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를 고려하여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임펄스 잡음을 완화시킨다. 제안한 시 스템 모델을 전력선 통신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비트 오류 확률 대 SNR 그래프 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 모델의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중 ZF와 MMSE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최적의 순서를 가지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과 최적의 순서 를 가지지 않는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을 각각 비교하여 어떠한 기법이 더 우수한 성능을 가 지는지를 확인한다.
Author 황유민
심이삭
김진영
선영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선영규
– sequence: 2
  fullname: 황유민
– sequence: 3
  fullname: 심이삭
– sequence: 4
  fullname: 김진영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989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LtKA0EYhQeJYIx5AkG2sbDYdf65ZGbLELxEAwFJP-xMZmXYmMhuGvtUKlYRkiKKoJ1FsPKZ3M07uCZW5xQfB863iyrD0dAitA84ACKBHydunAUEgwxABCwAKrdQlVDJfBAkrKAqCCp9LATbQfUscxrTBhEhxqSKaD798PLXz_xh4f18L_PlrFjMvOJlsnqaFPfvZXsrFo9eMZ-s5tM18fW8h7bjaJDZ-n_WUO_0pNc69zvds3ar2fGtFNy3YCwVkmBqjWaaa20bmoeMCxBgGsz045gZaYAQzTGEmBOCYyKk1gQzGtEaOtrMDtNYJcapUeTWeT1SSaqaV722ooKXt3jJHm7YxGVjp4b9bKAumpfdPyulo9IFY8Cg5A42nI3SsTMDq25TdxOld4pSHnJMfwGNPG47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88.3
DOI 10.12815/kits.2018.17.4.138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DocumentTitleAlternate Impulsive Noise Mitigation Scheme Based on Deep Learning
EISSN 2384-1729
EndPage 14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757745
JAKO201828138444141
335950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75-e1ce378203ecb4b5bbe6b59457171c64cdff4c8c122b501905220f278bb2043a3
ISSN 1738-0774
IngestDate Sat Jul 13 03:11:41 EDT 2024
Fri Dec 22 11:58:33 EST 2023
Fri Jun 21 15:40:10 ED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딥 러닝
연속적 간섭제거
Convolution Neural Network
Impulsive Noise
컨볼루션 신경망
임펄스 잡음
전력선 통선
Deep Learning
Power Line Communication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5-e1ce378203ecb4b5bbe6b59457171c64cdff4c8c122b501905220f278bb2043a3
Notes KISTI1.1003/JNL.JAKO201828138444141
http://journal.kits.or.kr/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2813844414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757745
kisti_ndsl_JAKO201828138444141
earticle_primary_33595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8-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8
  text: 2018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韓國ITS學會 論文誌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한국ITS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ITS학회
SSID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Score 2.0539987
Snippet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model which effectively mitigates impulsive noise that degrades the performanc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Recently, deep...
본 논문은 전력선 통신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시스템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딥 러닝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성능개선을...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38
SubjectTerms 전자/정보통신공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임펄스 잡음 채널 모델 Ⅲ. 딥 러닝 알고리즘 1.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2. 손실함수 3. 최적화 방법 Ⅳ. 제안하는 시스템 모델 1. 딥 러닝 알고리즘 구조 2. 연속적 간섭 제거 기법 Ⅴ. 시뮬레이션 결과 Ⅵ.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Title 딥 러닝 기반의 임펄스 잡음 완화 기법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3595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2813844414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9893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ITS학회 논문지, 2018, 17(4), 78, pp.138-149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172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59
  issn: 1738-077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LfKuHBBIP6VP1OE8GlKiWMnto9J2mobGhwo0m5RnSao6tSi0l04cOoJEKchbYeCkODGYeLEZ-Ej0O478OykacZAAi7pk_P68p6fZb8Xx7-H0D3iKO4pldmp1-vaLE1SW8E6bGfUh_XOT7qugWvaeehvPmHbu95urfa98tXS_kQ1khe_PVfyP16FNvCrPiX7D54thUID0OBfuIKH4fpXPsatEEuGA2_DUG0cRJoQQDehKcChwKGjm-AqBW5FcAOIDUO1sGC41cQiJyIsAhyw5b2AFOwiyptkwQ6EZL9Id3Few3IZ5ho-D8vIsHk4aG51Hi8bpSECEGyU9XBoCNA9NCoGHItyE8XoBSY6RgcBga8RyUH2isUoFUjDEhleENfGYXRKinlEblOY2-viFRqlESv1hx-FCqx8YvXNCBHLV73lZM5hMnd4XgWonO15ZVSzytRNcpSZIgogOZDqmQXGFQaMY9CfaKx3IhqEN1ij_O8p5G6qDz0759B5l_u-rq6x87JV2VGWwqnsaAtdMXm1Y0p0wfVK6OZSTmVlRxTiDi6dFXQbY2BsJZWFKJ5zYgq5l91QgG5pE-6fNUBHY8VIhkRNZy99iLeG46wSb3UuoYtFomQFOe9lVBuMriA6P_hszT98mb-eWT--Hc-PDxezQ2vxfnrydrp49Qmoj4vZG2txND05OjAcX99dRZ12qxNt2kXZDzuF5NlOSZJSjeJI00QxBRNJ6itPMo8TThKfJb0sY4lIiOsqTyMhQAbhZC4XSulz3l16Da0NR8P0BrIU60Es5jLqp5L1wHAqE-ooksCipDLm1tH1pcnxsxzcJc6dVkfrpgfiYe_5XrwdPHik-wp6jgoGCQQjdXQXuiYeJP1YA7Tr36ejeDCOIQ3diin3oL-9m3-UfwtdWI3Y22htMt5P70B0O1HrZpj8BMNzej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4%A5+%EB%9F%AC%EB%8B%9D+%EA%B8%B0%EB%B0%98%EC%9D%98+%EC%9E%84%ED%8E%84%EC%8A%A4+%EC%9E%A1%EC%9D%8C+%EC%99%84%ED%99%94+%EA%B8%B0%EB%B2%95&rft.jtitle=%ED%95%9C%EA%B5%ADITS%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C%84%A0%EC%98%81%EA%B7%9C&rft.au=%ED%99%A9%EC%9C%A0%EB%AF%BC&rft.au=%EC%8B%AC%EC%9D%B4%EC%82%AD&rft.au=%EA%B9%80%EC%A7%84%EC%98%81&rft.date=2018-08-31&rft.issn=1738-0774&rft.volume=17&rft.issue=4&rft.spage=138&rft.epage=149&rft_id=info:doi/10.12815%2Fkits.2018.17.4.138&rft.externalDocID=33595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