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 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 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7; no. 2; pp. 9 - 16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5.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 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 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 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 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을 이해한다면,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교육대상에 따라 개인적, 문화적 특성과 연결하여 효과성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1 married migrant women residing in area J from October 4 to December 20, 2019.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gender role attitude was found to be an average of 2.05 points out of 4 points. The subject's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was an average of 2.02 out of 4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domestic residence period,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use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age,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nd whether they were marri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f we understand the gender role attitude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when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marriage migrant women, develop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by linking them with pers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education. You will be able to enforce it. KCI Citation Count: 0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1 married migrant women residing in area J from October 4 to December 20, 2019.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gender role attitude was found to be an average of 2.05 points out of 4 points. The subject's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was an average of 2.02 out of 4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domestic residence period,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use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age,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nd whether they were marri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hoped that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and solving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laid through awareness education and publicity on domestic violence.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Author | 김혜숙 최은영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혜숙 – sequence: 2 fullname: 최은영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921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jsFKAkEAhocoyMxXiL106LAwM7vjzhxFsixBCO_DzLgTg7bGrpduQt4K7CIauCBEtwSLDh18Ip19h7aMTt9_-Pj4D8Bu1IvCHVDAHvVd6JXLu_-b0H1QShIjoe8HPmEIFUBt_bHMpiubftqXlZ282eG7TafODyaLbDzP7meb0dA-D5z1cmDn42y02Mxf7eTJ2TwOsvHMsemXfUgPwZ4W3SQs_bEIWrXTVvXcbTTP6tVKww1pQFwpZNCmjNKQYKwwpSRgSDMPUQR1GSGkNJMUhlJKoTTML0KhiNICQeghqb0iONlmo1jzjjK8J8wvr3u8E_PKVavOWd6kkOTu8dbtmKRveNROuvyictnEECMUYB8jwihkuXe09UIR943qhvw2NjcivuMeIwRT7xtCQHcu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JDI ACYCR  | 
    
| DEWEY | 306 | 
    
| DatabaseName | 학술교육원 E-Articl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 DocumentTitleAlternate | Marriage Migrant Women's Gender Rol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 | 
    
| EISSN | 2384-0366 | 
    
| EndPage | 16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791805 JAKO202117242159809 395528  |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M~E  | 
    
| ID | FETCH-LOGICAL-e875-bab7d8988e522c2885791f931810f6111cf9b80ebbbacf04590ac5cfa10031bf3 | 
    
| ISSN | 2384-0358 | 
    
| IngestDate | Tue Nov 21 21:44:37 EST 2023 Fri Dec 22 12:00:39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결혼이주여성 Domestic violence 성역할태도 Gender role attitude 가정폭력 Perception 인식 Marriage Migrant Women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5-bab7d8988e522c2885791f931810f6111cf9b80ebbbacf04590ac5cfa10031bf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2117242159809 http://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7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724215980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8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91805 kisti_ndsl_JAKO202117242159809 earticle_primary_395528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10531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1-05-3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21 text: 20210531 day: 31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 PublicationYear | 2021 |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 
    
| Score | 1.7718829 | 
    
| Snippet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marriage migrant...  |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9 |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방법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 
    
| Title |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552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724215980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9213  | 
    
| Volume | 7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21, 7(2), , pp.9-16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NAdOjuyYsoftWPJYhzKpFJMtPMHJO0Za2sXirsLSRpIssurdTuxYMU3JvCeildoYWCeHNhFQ8e9hdt0__gm0nSRlFQL8l0-ubNy7zH-5iPNwg9MG0jIUkc63bAGQQolqEHiUV1Uu8G3QjsA1WnXHee1Lef0fYu261UpqVdS4fD8GH06rfnSv6Hq1AHfJWnZP-BsyukUAFl4C88gcPw_Cse46aDXRO7BDcbWHDserjpYdHALpUFxypqbOyoAqfYNXIYwWs_VwFQQyFi2FEYuYUFNHMxb0kwCSMwJzXVLZF7JGQnRDaQ0C3V3pU1DssxCgkNCDwFrXALr1ZQyRUBLpTLPvL6tNpBsYPBk3vjB1neUBDXLA9oXFoXkI5y2_M6pYkNRaUo-uXqU6A3KJRAPOyy_B8gKPsigM3udylmQ0yjWMgvlCZ4ICBoVpYOvtDwdkmQzZK2FiWzb_ySkDsz8YIxk2-gDcuQt2PsvG4WusqUs3FsvUJtWlQmYzTWv9VtqitdR6lNmVjrUvCy7bpQt4OuSJb-UC5LECrJ-GEPPJ7eICl5PJ0r6HLOAs3JYK-iyn7_GmpdfD1bnpyns2_px_N08jk9-pLOTjT5mpwux_Plm-ni-Cj9MNIuzkbpfLw8Pl3MP6WT99ri3Wg5nmrp7Hv6dnYddVrNjret53dx6DFEtHoYhHaXC85j8Ncjk3NmCyMRYBAMktTBXkaJCDmJwzAMogTCBEGCiEVJYEirESbWDbTZ6_fiW0gzg9igzJaJKes0hvg2giiYASsjCFYDs1tFN4tR8F9kGVf8jA9VtKUGxe91Xx74befxUykB4IFT8FsFJ6KK7sNo-fvRni-zpsv3876_P_AhNnzkCyCZE3b7j_jvoEtrkbqLNoeDw_geuJzDcEvx_gehc3AS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2%B0%ED%98%BC%EC%9D%B4%EC%A3%BC%EC%97%AC%EC%84%B1%EC%9D%98+%EC%84%B1%EC%97%AD%ED%95%A0%ED%83%9C%EB%8F%84%EC%99%80+%EA%B0%80%EC%A0%95%ED%8F%AD%EB%A0%A5%EC%97%90+%EB%8C%80%ED%95%9C+%EC%9D%B8%EC%8B%9D&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A%B9%80%ED%98%9C%EC%88%99&rft.au=%EC%B5%9C%EC%9D%80%EC%98%81&rft.date=2021-05-31&rft.issn=2384-0358&rft.volume=7&rft.issue=2&rft.spage=9&rft.epage=16&rft.externalDocID=395528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