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 계열 학과명 변천에 따른 연도별 용어 분석 - 전문대학과 4년제 종합대학교를 중심으로
학과명은 단순히 학과의 존재만 알리는 수단뿐만 아니라 해당 학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 특성화 전략, 학생 관리, 취업 등을 내포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대내외적 홍보의 집합체인 학과명의 중요성은 크게 대두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2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종합대학교 미용 계열 학과명에 사용된 용어를 연도별로 조사함으로써 학과가 지향해야 할 발전적 목표 설정과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체계적 분석에 일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1994년은 피부미용과가 7개교(41.18%)로 가...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9; no. 5; pp. 443 - 44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5.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1.19.5.443 |
Cover
Summary: | 학과명은 단순히 학과의 존재만 알리는 수단뿐만 아니라 해당 학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 특성화 전략, 학생 관리, 취업 등을 내포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대내외적 홍보의 집합체인 학과명의 중요성은 크게 대두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2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종합대학교 미용 계열 학과명에 사용된 용어를 연도별로 조사함으로써 학과가 지향해야 할 발전적 목표 설정과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체계적 분석에 일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1994년은 피부미용과가 7개교(41.18%)로 가장 많았고 2005년, 2013년, 2020년 에는 모두 ‘Beauty’가 각각 50건(21.55%), 67건(28.03%), 92건(34.20%)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산업의 전반적 트랜드 분석이 가능해지며, 학과명 변경을 추진하거나 향후 학과개설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사료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6739441248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1.19.5.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