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본 연구는 L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취합하여 학교의 핵심역량과 연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일리지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유형 중 참여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1; no. 6; pp. 303 - 332
Main Author 신혜성(Shin, Hyes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12.2017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L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취합하여 학교의 핵심역량과 연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일리지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유형 중 참여형 프로그램의 경우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만큼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참여율은 적었으며, 파견형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호하나 실제 운영이 된 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할 것이다. 둘째, 대학에서 추구하는 4가지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공감과 창의 역량이라는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운영되고 있어 4가지 영역 모두가 고르게 개설되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주 1회 참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고, 비교과 프로그램을 안내해주고 지원해주는 부서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비교과 지원 부서의 설치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교과 교육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성 제시를 통해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in L University and to draw out the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o be connected with the core competences of the school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each department and administering a survey.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the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run by mileage and conducted a survey on current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ypes, participatory programs are the most preferred by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ly operated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was low. The dispatch type programs were favored by the students but have never been operated. It needs to be improve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students. Second, program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our core competences pursued by the university. However, they were biased to specific areas such as empathy competency and creativity competency. Thus, it is needed to open programs in all four areas for students’participation. Third, they answer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university once a week and a department to guide and suppor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ould be need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extra-curricular activity support department to encourage students’participation and manag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to improve core competences by developing student-tailored extra-curricular programs, strengthening students’ competences, and presenting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operation. KCI Citation Count: 12
AbstractList 본 연구는 L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취합하여 학교의 핵심역량과 연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일리지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유형 중 참여형 프로그램의 경우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만큼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참여율은 적었으며, 파견형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호하나 실제 운영이 된 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할 것이다. 둘째, 대학에서 추구하는 4가지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공감과 창의 역량이라는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운영되고 있어 4가지 영역 모두가 고르게 개설되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주 1회 참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고, 비교과 프로그램을 안내해주고 지원해주는 부서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비교과 지원 부서의 설치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교과 교육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성 제시를 통해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in L University and to draw out the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o be connected with the core competences of the school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each department and administering a survey.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the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run by mileage and conducted a survey on current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ypes, participatory programs are the most preferred by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ly operated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was low. The dispatch type programs were favored by the students but have never been operated. It needs to be improve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students. Second, program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our core competences pursued by the university. However, they were biased to specific areas such as empathy competency and creativity competency. Thus, it is needed to open programs in all four areas for students’participation. Third, they answer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university once a week and a department to guide and suppor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ould be need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extra-curricular activity support department to encourage students’participation and manag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to improve core competences by developing student-tailored extra-curricular programs, strengthening students’ competences, and presenting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operation. KCI Citation Count: 12
Author 신혜성(Shin, Hyeseo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신혜성(Shin, Hyeseo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948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D9Lw0AYgPFDKlhrv0MWB4fAe-8ld7nNUvxTCAjS_bgkFymRHDQuboLZdOigiNAUujm4iVrBT9Sk38HSOj3Lj2eftHKbmx3SRkE9l1KgLdKmUnCXIcU90i2KUQTgcSkCn7bJcVg_3q2eX536p1x-TpYfv87qqazn0-X3op69NS8TZwOmTjN7X7vmvnKaatE8VE79VTZldUB2U31dmO5_O2R4ejLsn7vhxdmg3wtdEwjmGp34JkYvijBNJGoOlLFYMvQMY1wjGpmCAJpwLlAnhgVRwJEnIBKIKQjWIUfbbT5OVRaPlNWjTa-sysaqdzkcKERgXLK1Pdza7NZGVkXWZrHJb8xYeUABUHDuYyDZH1QkZ0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alysis of students’perception on extra-curricula program of L University
EISSN 2714-1101
EndPage 3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203693
4010027665289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e873-ead5ec24bb2fd92a60133c9324e336a22e9f0701d6672ade38b8626d07d0c107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35:33 EST 2023
Tue Feb 18 15:08:4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학생인식
비교과 프로그램
extra-curricular program
students’ perception
core competences
extra-curriculum
비교과 교육과정
collage education
핵심역량
대학교육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3-ead5ec24bb2fd92a60133c9324e336a22e9f0701d6672ade38b8626d07d0c1073
PageCount 3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203693
kyobo_bookcenter_401002766528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7-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7
  text: 2017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6541574
Snippet 본 연구는 L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303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Title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6528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9483
Volume 1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7, 11(6), 40, pp.303-332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4-110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157
  issn: 1976-321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QwNMzuyYsoKn4uRcxpqbRJ-pGbbaeyyq6nEfZWmjYVGZiBYfawHkRwbnrYgyLCzoI3D95EXcH_4n3a_Q--ZLpjxg8YvZT05eW9l7yQ914-EboVUpELTwU5RZnbjFShLQIpbJ8UUtnDstSnXHce-FsP2f1db7fT-W7sWtobi9vFkz-eK_kfrQIM9KpOyf6DZhdEAQBp0C98QcPwXUnH2ziNcZio3QppF3MPcwjxARRzHDKcRjgGkKMTFMfJpsZiOi_GkYt5ovMCHIcKwlMcQSLBPIBim78RVwQSjZUs-ClISDHvzvO6mhSA4jkIZPE1v0R9edf0hQ0BoaSPubsMSZSIc2lip80CzkS9IgJ-sW9MYrQso7mooa6Y5hi75rQGmMr28sS2Iy5qdkq-u5pQi8pDIoJGMoZ2cLxsStpN21LDSOAyGxwg1xjCqUMNb4C2s69LF3X_YkCXruruF4-zR8OsP8ogILmXEbXQy-kaWqOuemBj52lqLCpDCG8synLKTl_bUf-MBeBO6btqF7JDCNXfH4oheEKDUWV4Qr1z6GwbwljRvD-eR53-8AK6s12_fHby-q1Vf53MPh3MPn6zTl5N6neHsy_H9dH75s2BpREOreboA-A1z6dWMz1uXkyt-vOkmUwvot7dtJds2e3rHLYMA2rDCOTJgjAhSFVykkNgT2kB0QCTlPo5IZJXYE7c0vcDkpeShkIFz6UTlE7hgmG5hNYHw4G8jCyPQyMFFXNyv2TgznKnzENOSk_kULTiV9CGrnSm4k61Z1mOMuaou4MD3_dICAg3oTV00_9dBVdXQbqGzvzsjNfR-ni0J2-A1zkWG1p3PwBGwmWo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L%EB%8C%80%ED%95%99+%EB%B9%84%EA%B5%90%EA%B3%BC+%ED%94%84%EB%A1%9C%EA%B7%B8%EB%9E%A8%EC%97%90+%EB%8C%80%ED%95%9C+%EC%9E%AC%ED%95%99%EC%83%9D+%EC%9D%B8%EC%8B%9D+%EB%B6%84%EC%84%9D&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2C+11%286%29&rft.au=%EC%8B%A0%ED%98%9C%EC%84%B1&rft.date=2017-12-31&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eissn=2714-1101&rft.spage=303&rft.epage=33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20369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