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과 게임이미지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 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등신비율의 변화에 따른 게임에서 캐릭터의 독특한 이미지로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다. 현재까지 등신비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게임캐릭터 개발 에 있어 조형요소로서 인체비례가 가지는 중요성을 근간으로, 게임캐릭터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게임캐릭터의 등신비 율을 분류,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등신비율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게임이미지에 미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4; no. 12; pp. 165 - 172
Main Author 최우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16.14.12.165

Cover

Abstract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 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등신비율의 변화에 따른 게임에서 캐릭터의 독특한 이미지로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다. 현재까지 등신비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게임캐릭터 개발 에 있어 조형요소로서 인체비례가 가지는 중요성을 근간으로, 게임캐릭터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게임캐릭터의 등신비 율을 분류,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등신비율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게임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다섯 가지 유형의 게임캐릭터는 독특한 이미지와 함께, 특성화된 등신비율일수록 유저들이 선호하며, 조형적으로 실제 인체보다 과장된 등신비율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래픽 배경화면 에서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는 비례의 어려움을 조금 과장된 캐릭터를 활용하여 가시성을 높였다. 이 연구 를 통해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은 게임개발에 있어 게임이미지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AbstractList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 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등신비율의 변화에 따른 게임에서 캐릭터의 독특한 이미지로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다. 현재까지 등신비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게임캐릭터 개발 에 있어 조형요소로서 인체비례가 가지는 중요성을 근간으로, 게임캐릭터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게임캐릭터의 등신비 율을 분류,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등신비율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게임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다섯 가지 유형의 게임캐릭터는 독특한 이미지와 함께, 특성화된 등신비율일수록 유저들이 선호하며, 조형적으로 실제 인체보다 과장된 등신비율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래픽 배경화면 에서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는 비례의 어려움을 조금 과장된 캐릭터를 활용하여 가시성을 높였다. 이 연구 를 통해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은 게임개발에 있어 게임이미지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Since the advent of digital games with hardware development a key component of the game characters are changed to retard the rate at which types of users based on their favorite theory of human proportion. Many popular to gamers in the ga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tard rate in a unique image of the character. Studies on the head and body proportion are thought that up to now been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fundamental human proportion that has importance as a molding factor in the game character development,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character, and classifying the retard rate of the game character,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analyzing the results, into the retard rate look for and investigate studying the effect on future game images. Five types of game characters that make up the analysis were analyzed with a unique image, and the more specialized users prefer retard rate, the figurative exaggeration to retard rate than the actual main body. Utilizing a bit exaggerated the difficulties of the character looks relatively small proportion character in the graphic wallpaper increased visibility. The proportion of a game character through the study is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as the game image in the game development.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등신비율의 변화에 따른 게임에서 캐릭터의 독특한 이미지로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다. 현재까지 등신비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게임캐릭터 개발에 있어 조형요소로서 인체비례가 가지는 중요성을 근간으로, 게임캐릭터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을 분류,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등신비율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게임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다섯 가지 유형의 게임캐릭터는 독특한 이미지와 함께, 특성화된 등신비율일수록 유저들이 선호하며, 조형적으로 실제 인체보다 과장된 등신비율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래픽 배경화면에서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는 비례의 어려움을 조금 과장된 캐릭터를 활용하여 가시성을 높였다. 이 연구를 통해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은 게임개발에 있어 게임이미지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등신비율의 변화에 따른 게임에서 캐릭터의 독특한 이미지로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다. 현재까지 등신비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게임캐릭터 개발에 있어 조형요소로서 인체비례가 가지는 중요성을 근간으로, 게임캐릭터들의 특성을 고찰하고,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을 분류,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등신비율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게임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다섯 가지 유형의 게임캐릭터는 독특한 이미지와 함께, 특성화된 등신비율일수록 유저들이 선호하며, 조형적으로 실제 인체보다 과장된 등신비율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래픽 배경화면에서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는 비례의 어려움을 조금 과장된 캐릭터를 활용하여 가시성을 높였다. 이 연구를 통해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은 게임개발에 있어 게임이미지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Since the advent of digital games with hardware development a key component of the game characters are changed to retard the rate at which types of users based on their favorite theory of human proportion. Many popular to gamers in the ga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tard rate in a unique image of the character. Studies on the head and body proportion are thought that up to now been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fundamental human proportion that has importance as a molding factor in the game character development,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character, and classifying the retard rate of the game character,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analyzing the results, into the retard rate look for and investigate studying the effect on future game images. Five types of game characters that make up the analysis were analyzed with a unique image, and the more specialized users prefer retard rate, the figurative exaggeration to retard rate than the actual main body. Utilizing a bit exaggerated the difficulties of the character looks relatively small proportion character in the graphic wallpaper increased visibility. The proportion of a game character through the study is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as the game image in the game development. KCI Citation Count: 6
Author 최우석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최우석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471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0LtKA0EUBuBBIhhjnkCQNBYWu85t51KGeEsMBCT9MLM7K0viRnbT2Fmk00KwsTBipTbitVDxibLrO7gxweo_h_Nxin8ZlOJBbAFYRdBFlEK42dpquBgiVqwuwi5i3gIoY46IwyjFpf-Z0CVQTdPIQFpwITEqAzx5Pc9vRvnXRXb3-DN6zsdXtezyJT-7zT5H-fXD5O27Nifj9-zpI78_XQGLoe6ntjrPCujubHcbe067s9ts1NuOFRw7PjPCC0IqcEiwJjKQwkDsSQ6nF6G58SzXYaAxDz1phDXM0ILCkFuCJCEVsDF7Gyeh6vmRGujoLw8Hqpeo-kG3qRCBFCFc2PWZ7UXpMFJxkPZVq77fmbYCuceKljzBpm5t5qxOhpHft-o4iY50cqKwhJJw8gub6G_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620
DOI 10.14400/JDC.2016.14.12.165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The Proportion of Game Character and Game Image
EISSN 2713-6442
EndPage 17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304112
JAKO201607564005862
290937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ID FETCH-LOGICAL-e872-c6b85df482f32a39d98b025970c6b88a7b5e7afda27f59b8eb6b4f320f7e31933
ISSN 2713-6434
IngestDate Sun Jun 08 03:20:21 EDT 2025
Fri Dec 22 11:59:32 EST 2023
Mon Sep 08 16:22:29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2
Keywords 등신비율
Character
Proportion
인간형 캐릭터
SD 캐릭터
Game Character
Super Deformation Character
게임캐릭터
Human Character
캐릭터
SD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2-c6b85df482f32a39d98b025970c6b88a7b5e7afda27f59b8eb6b4f320f7e31933
Notes KISTI1.1003/JNL.JAKO201607564005862
G704-002010.2016.14.12.05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756400586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304112
kisti_ndsl_JAKO201607564005862
earticle_primary_29093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6
  text: 2016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SSID ssib042018921
ssib046774051
ssib053377220
Score 1.6242433
Snippet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 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Since the advent of digital games with hardware development a key component of the game characters are changed to retard the rate at which types of users based...
디지털 게임의 등장이후 하드웨어 발전과 더불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캐릭터는 인체비례론을 바탕으로 유저들이 선호하는 등신비율의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등신비율의...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65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게임캐릭터의 특징 2.1 게임캐릭터의 개념 2.2 게임캐릭터의 특성 2.3 등신비율 3. 선행연구 검토 4. 게임캐릭터 비율 분석 4.1 분석 대상 4.2 분석 방법 4.3 사례 분석 5. 결론 REFERENCES
Title 게임캐릭터의 등신비율과 게임이미지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90937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756400586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4710
Volume 1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 14(12), , pp.165-172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EBS
  databaseName: 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
  customDbUrl:
  eissn: 2713-6442
  dateEnd: 99991231
  omitProxy: false
  ssIdentifier: ssib046774051
  issn: 2713-6434
  databaseCode: AKVCP
  dateStart: 201507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search.ebscohost.com/login.aspx?authtype=ip,uid&profile=ehost&defaultdb=bsu
  providerName: EBSCOhos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Qw0CrbA1wQiNfyqFYIn6rAxnFi--g8qtKKx2FBvUXJJkHVol20bC-cOOwNDkhcOFDECbggngdAfFE3_ANjx9kGWkRBiiJrPJ4Zeyx7xolnELokeOYWedG3WCZcC1a_wkpEzqyUFna3z3PHs9UF52vXvdVbdG3D3Vg4dLjx19LWJL3cf7DvvZL_0SrAQK_qluw_aHZOFABQBv3CGzQM7wPpGEcS-wTzAEcBFhHmVBV8iUUXRz6WHpYhjkIF97saJ8SCL6s64WDfViAOeBrbF6a9CLDkmjTgBMv7MwFKPtVMVrDPFUQyXGVLqm1dzYaqp66tZeGGje9qxo4ugGgulkJXMS2vVHAZqFlgUxVQijTOLXRPXUVFNZCmg0BdhM2TDNur4yWauWcYqXYV_fAvcsLoAL7iZmNeyymELkgYlt2llIArboHtVR1d5E1YFdvLLN92lbfCWAJ2lVRozyZDaZVAOwzUr4EeANSJ8rxtM6T3b1vtL0G9B_3N-M4oHoxjcF2uqu-K1Fb5shcJ8zzSQoty_XZws14cKbDijdh1sMEx2oitBmY7OEo6DOm8tybKlpL3yl5plfllpi54Zspd2QQDazguGgZW7xg6ajyjjqxwj6OFwegEIjsfH5cvpuW3J7NXb39M35fbzzqzpx_KRy9nX6fl8zc7n753DMr259m7L-XrhydRbyXqBauWSfNh5ZwRq--l3M0KyknhkMQRmeApGOKCdVUNT1jq5iwpsoSwwhUpz1MPFhKHdAuWw_7hOKdQazga5mdQR7h5ImjCChgBsDwzKFFBuMecDOBZv41O1z2O71XBXGIiumCht9GSHoB4mN2_G6_J9RtEh150PaoSb3qkjS7CyGid_Vl3Zw-CdA4d2Z3851FrMt7KL4BhO0mXjMp_ArxNfCw
linkProvider EBSCOhost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2%8C%EC%9E%84%EC%BA%90%EB%A6%AD%ED%84%B0%EC%9D%98+%EB%93%B1%EC%8B%A0%EB%B9%84%EC%9C%A8%EA%B3%BC+%EA%B2%8C%EC%9E%84%EC%9D%B4%EB%AF%B8%EC%A7%80&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2C+14%2812%29&rft.au=%EC%B5%9C%EC%9A%B0%EC%84%9D&rft.date=2016-12-31&rft.pub=%ED%95%9C%EA%B5%AD%EB%94%94%EC%A7%80%ED%84%B8%EC%A0%95%EC%B1%85%ED%95%99%ED%9A%8C&rft.issn=2713-6434&rft.eissn=2713-6442&rft.spage=165&rft.epage=172&rft_id=info:doi/10.14400%2FJDC.2016.14.12.16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30411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3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