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기반 가상현실(VR) 미디어에 대한 담론 : 몰입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 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현실을 미디어로 규정하고,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그 확장성에 대한 담론들을 수집·분석(thematic literature review)하였다. 먼저 1990년 가상현실 개념의 초기 논의들을 시작으로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관계, 매체로서 표현 과 상호작용 몰입감, 시뮬레이션, 예술창작론, 그리고 마지막으...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7; no. 2; pp. 333 - 33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5.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Abstract |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 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현실을 미디어로 규정하고,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그 확장성에 대한 담론들을 수집·분석(thematic literature review)하였다. 먼저 1990년 가상현실 개념의 초기 논의들을 시작으로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관계, 매체로서 표현 과 상호작용 몰입감, 시뮬레이션, 예술창작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화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 상현실의 기술에 대한 담론들을 넘어 학술적 대상으로 가상현실의 발전과 진화를 위해 인지과학, 신경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적 쟁점(윤리, 인격 등)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요구됨을 필역하였다. 즉, 가(假)를 넘어 가(加)로 넘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 진화가 논의될 시점이다. |
|---|---|
| AbstractList |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 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현실을 미디어로 규정하고,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그 확장성에 대한 담론들을 수집·분석(thematic literature review)하였다. 먼저 1990년 가상현실 개념의 초기 논의들을 시작으로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관계, 매체로서 표현 과 상호작용 몰입감, 시뮬레이션, 예술창작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화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 상현실의 기술에 대한 담론들을 넘어 학술적 대상으로 가상현실의 발전과 진화를 위해 인지과학, 신경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적 쟁점(윤리, 인격 등)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요구됨을 필역하였다. 즉, 가(假)를 넘어 가(加)로 넘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 진화가 논의될 시점이다.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현실을 미디어로 규정하고,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그 확장성에 대한 담론들을 수집·분석(thematic literature review)하였다. 먼저 1990년 가상현실 개념의 초기 논의들을 시작으로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관계, 매체로서 표현과 상호작용 몰입감, 시뮬레이션, 예술창작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화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의 기술에 대한 담론들을 넘어 학술적 대상으로 가상현실의 발전과 진화를 위해 인지과학, 신경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적 쟁점(윤리, 인격 등)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요구됨을 필역하였다. 즉, 가(假)를 넘어 가(加)로 넘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 진화가 논의될 시점이다. Development of 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s visualizing ideal hyper-connected soc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at the starting point for new expansion and leaps. This work defines virtual reality as media in this context and collects and analyzes discourse on its scalability around space and communication theory. We first elaborated the concept, starting with the early discussions of the virtual reality concept in 1990,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world and digital information, expression and interaction immersion as a medium, simulation, art creation theory, and finally evolutionary development. In conclusion, beyond the discourse on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academic subjects were required to have theoretical frameworks on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ssues (ethics, personality, etc.) for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virtual reality. In other words, it is time for the evolution of virtual reality to be discussed, which can be moved beyond. KCI Citation Count: 6 Development of 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s visualizing ideal hyper-connected soc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at the starting point for new expansion and leaps. This work defines virtual reality as media in this context and collects and analyzes discourse on its scalability around space and communication theory. We first elaborated the concept, starting with the early discussions of the virtual reality concept in 1990,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world and digital information, expression and interaction immersion as a medium, simulation, art creation theory, and finally evolutionary development. In conclusion, beyond the discourse on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academic subjects were required to have theoretical frameworks on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ssues (ethics, personality, etc.) for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virtual reality. In other words, it is time for the evolution of virtual reality to be discussed, which can be moved beyond.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현실을 미디어로 규정하고,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그 확장성에 대한 담론들을 수집·분석(thematic literature review)하였다. 먼저 1990년 가상현실 개념의 초기 논의들을 시작으로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정보의 관계, 매체로서 표현과 상호작용 몰입감, 시뮬레이션, 예술창작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화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의 기술에 대한 담론들을 넘어 학술적 대상으로 가상현실의 발전과 진화를 위해 인지과학, 신경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적 쟁점(윤리, 인격 등)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요구됨을 필역하였다. 즉, 가(假)를 넘어 가(加)로 넘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 진화가 논의될 시점이다. |
| Author | 김정규 김종국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정규 – sequence: 2 fullname: 김종국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925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zs1KAlEYBuAhDDLzFuJsglwMzPmbM9NOpB9LEETaHsbxTAyaxoybdkbmRhcFVi40ElxF0IAKLryimeM9NGW0ej94Hz7eXSXRaDbElpJE2CCqhnU98X9TY0dJ-75b0QhhhJoQJhWRz5XDZRAFQxAGbXl_tx52ZG96eFnKgOhrGQ0G8mUuXx9B1G-vn0cg6s2jyTs4AtFHIN8eQDhbhEEnnK2A7PbX3YUc__Ry3AFy-iR7n3K0iiajPWXbseq-SP9lSimfHJdzZ2qheJrPZQuqMBhSLYNWDYc4xDaQsOx4ItZNuwI1jRFGIdOY5mATE11AMzZVhyK7gkxmCmRhm0CcUjKbtw3P4TXb5U3L_c2rJq95PFsq53nMoUFQbA82tub6LZc3qn6dn2cvikhDEDJEEMKmQVns9jdOWF7LteuC33juteXdcmxSqlP8DRiHhkg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JDI ACYCR |
| DEWEY | 306 |
| DatabaseName | e-articles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 DocumentTitleAlternate | Discourse on ICT Virtual Reality Media:Focusing on Immersible Space and Communication Theories |
| EISSN | 2384-0366 |
| EndPage | 338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791842 JAKO202117242239857 395565 |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 ID | FETCH-LOGICAL-e872-a85d8f4f4c82eac745369cb100747517070f39346e194c8df52cb2979e2a3c413 |
| ISSN | 2384-0358 |
| IngestDate | Fri Sep 26 03:51:20 EDT 2025 Fri Dec 22 12:00:39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Immersible Space 정보통신기술 가상현실 진화 소통이론 몰입적 공간 VR Evolution Communication Theory ICT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2-a85d8f4f4c82eac745369cb100747517070f39346e194c8df52cb2979e2a3c41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2117242239857 http://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7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724223985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6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91842 kisti_ndsl_JAKO202117242239857 earticle_primary_395565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10531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1-05-3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21 text: 20210531 day: 31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 PublicationYear | 2021 |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
| Score | 1.7717663 |
| Snippet |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 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Development of 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s visualizing ideal hyper-connected soc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상(理想)적 초연결 사회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VR)기술은 새로운 확장과 도약의 출발점에 놓여있다. 본... |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333 |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가상현실의 발전
Ⅲ. 매체로서의 가상현실
Ⅳ. 예술창작 도구로서의 가상현실
Ⅴ. 가상현실과 진화
Ⅵ. 결론
References |
| Title | ICT기반 가상현실(VR) 미디어에 대한 담론 : 몰입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556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724223985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9250 |
| Volume | 7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21, 7(2), , pp.333-338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QxFA9tT15E8at-lEEMKDIyH8kk8bYzndJWqlDW0tuw8yWlZStre_EgFWsv7UGhag-tWOhJBBfaQg_9g2Rn-j_4kpnpDn6AFpZs5s3Lm5e8TPJLJnlB6A7jYcQMI9UpM1o6iQnVW7Zh6ElMHREZNHZCOd8x9dgZf0omZ-nswMCP2qql5aXwQfTyj_tKzmJVoIFd5S7Z_7DsqVAgQBzsCyFYGMJ_svGE18R-A7scuwb2XRkKfl-RDLmEwfcwtwErYn8UbmBOFMXFDQK4cmZazQhAssaYFAERQeQPeISD3SLCsDAUE_eURBBEsfAKkqu4QICJG4aaXFBX6vEysY85LdSxsUsrvUhFkVJAqiNlg2CISCZIN1qXW1I4UdygujCrbHjqngeSSm7h1cF2f9vbQrUUwpOL7DuFA1Ko94VD0aT2gUEi7kkPyrU_Q6LUFWV5gj6iyAmrnvYbiwXZVhSKS2-X5bSKZVYrAqrWF6AM0Q278CtfdRWs9kZYtWbfLpx5lAjCLvzV_OLH2xYUwPMgGrRNedLG1Cu_avcsObNH-1-7LZtIx45m_1qdzHrabhLCCBX9dhkQO3OEOmn0VGuJrcp6CcMuORaZA_TU7qQ19NS8gM6XVtAaBe9FNDC_eAklUH97R92su6X1uiv5m9cnW6v5-t7dmel7Wvb9KNvczD8e5J_eadnGysmHbS1bP8h2v2gPtexrN__8VuvtH_a6q739Yy1f2zhZO8x35P18Z1XL997n69_y7eNsd_syao75TW9cL4_90BPOLL3FacxTkpKIW4AKIKs2tBqhqY56oCaDPiq1hU2cxBTAE6fUikJLMJFYLTsCTHYFDbUX28k1pHFA_2EIvRYPHZJSDmMdK4xb1GEtAv16OoyuVoUUPC-cuwSFmYbRiCqzoB2_WAgmG4-eyDoCYJ9Y0mEmZcPoNhRmMB_NBdJBu_x_thjMdwIYhk4EoI3JiXX9r_JvoHP9SncTDS11lpNbgG6XwhFVNX4CLVmQcQ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ICT%EA%B8%B0%EB%B0%98+%EA%B0%80%EC%83%81%ED%98%84%EC%8B%A4%28VR%29+%EB%AF%B8%EB%94%94%EC%96%B4%EC%97%90+%EB%8C%80%ED%95%9C+%EB%8B%B4%EB%A1%A0+%3A+%EB%AA%B0%EC%9E%85+%EA%B3%B5%EA%B0%84%EA%B3%BC+%EC%86%8C%ED%86%B5%EC%9D%B4%EB%A1%A0%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A%B9%80%EC%A0%95%EA%B7%9C&rft.au=%EA%B9%80%EC%A2%85%EA%B5%AD&rft.date=2021-05-31&rft.issn=2384-0358&rft.volume=7&rft.issue=2&rft.spage=333&rft.epage=338&rft.externalDocID=395565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