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 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 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 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5; no. 1; pp. 169 - 17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8.0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DOI | 10.17703/JCCT.2019.5.1.169 |
Cover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 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 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 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 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
AbstractList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400 children aged 4 to 5 in the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s, and leadership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s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3.0.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prosocial behavior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leadership. In additi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ir leadership. KCI Citation Count: 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 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 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 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 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400 children aged 4 to 5 in the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s, and leadership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s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3.0.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prosocial behavior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leadership. In additi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ir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 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Author | 김상림 김은경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은경 – sequence: 2 fullname: 김상림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4252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0LtKA0EYBeBBIqgxL2Ah21hYZJ2Zf2Z3pwzBS7wgSPphdndWlsREdtPYqdh4QwsvURJIozYRCy0M-ETu-A5GI1bnFB-nOFMo12g2NEIzBNvEdTEsrJbLVZtiImxuE5s4YgxNUvBYEYPj5P479yZQIU1jHzPmMi4ImUQbptMz10em27ZM79ocdczTfnby8Pn6YZlBxxz2v-7PTO_g6-Y4u7gz3Tcre-xn51fm9NncXlrZy7sZtLOTK8u0h-ZhGo1Hqp7qwl_mUXVpsVpeKa5vLlfKpfWi9lxapD7DPgQClMZKuDwSOsSRQzSEARahAtfVAVAVhZoK3wtIyEXg-IKCr4XCHPJofjTbSCJZC2LZVPFvbjdlLZGlrWpFMgbgeXRo50a2FqetWDbCtC5XS2ubP3cRKsDFzCMchm525LRKWnFQ13I3iXdUsieBUxACvgGU34Gi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306 |
DOI | 10.17703/JCCT.2019.5.1.169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DocumentTitleAlternate |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
EISSN | 2384-0366 |
EndPage | 17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4433882 JAKO201912937048153 352399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72-2b40b3c93ae0a975f9ed0f61e3dc09da377ec32afde29b8c1d59c6b923be9a053 |
ISSN | 2384-0358 |
IngestDate | Sun Mar 09 07:51:53 EDT 2025 Fri Dec 22 11:59:43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1 |
Keywords | Prosocial Behaviors Leadership 친사회적행동 Young Children 리더십 유아 정서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2-2b40b3c93ae0a975f9ed0f61e3dc09da377ec32afde29b8c1d59c6b923be9a053 |
Notes | KISTI1.1003/JNL.JAKO201912937048153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28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91293704815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4433882 kisti_ndsl_JAKO201912937048153 earticle_primary_352399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90228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9-02-28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2 year: 2019 text: 20190228 day: 28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PublicationYear | 2019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
Score | 1.6939602 |
Snippet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 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Th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69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행동과 리더십 간의 관계
2.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
Title |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5239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91293704815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42520 |
Volume | 5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19, 5(1), , pp.169-175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Qw0GrLhQsC8SqPKkL4VGVJYie2j0l2q1JUuCxSb1GeCLXaotJeOCBAvVBAcGihoFbqpXAp4gAHKvFFrPsPjJ1sNtAiFS6RM56xPTNeeyZrzyB0nSceySnPzCxNqUltnpqxFzOzSDIiYi9RYcTUaYvb3vRdOjPnzo2MLjROLa0sJ6300ZH3Sv5HqwADvapbsv-g2bpRAEAZ9AtP0DA8j6Vj3AmxCLFv6YKLOdWFNhZ8UpWgAqBQgArAUxCmjjZ0Asx97EOVjwOCg1BjB6JC4g72oQDN-JiHVUPc1hAPc6Hpp7AQVW8BnVQg39NkUAd4eiQcgG2NxLCwSqQpHPBBb7waiaB6APBe9-K7TbNZU4aasq36Vc376jXQrHM-kEHNOnASuBrbxb5QE8lVIakaHz50C0KLQxOqAkAcHLSPROFEj07zWeUDr76WqAta9e1zNb81nVvxrpQQHpcBpR-qcdpaPzCyAJeZTsvlGmwfalqkDETfypswr7lF2GVqmsrasMu8MYc2MgYrsUrSHYZddf5QtNyW3apJm1HD_9jNf4sbPp_ej-4tRvNLEXhHNyNKCQGPahSdcJjnqXwfs487g9XXUd8X3eF_7g6hKrykPXzX-WHr1ZtSRl0x3B3Ab2Ce0PlOa1FUt9QUMzcOsaLMv-qnA56hcpfug4HXWyoaBl73NDpVeWaGX-KeQSPzi2fRrNzakRurcnvTkDsbcnVLfnrSX9v9-fWHIfe35LO9gw8v5c7Tg7fP-6_fy-1vRv_jXv_VunzxWb57Y_S_fJf7m_21dUNuAs7uOdSd6nTDabPKQGLmnMHESaiVkFSQOLdiwdxC5JlVeHZOstQSWUwYy1PixEWWOyLhqZ25IvUS8JmSXMQgkfNorLfYyy8io4hTkRdgS8dUBRG0eMGFxRhJbKD10mIcXRgII3pQxpmJwDcC92EcTWjZRL3s4UI049-6o4SozHSmYz2RcXQNhKZ1_XedXzoO0mV0cvibuYLGlpdW8qtgcy8nE3qq_AIwHKqo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C%A0%EC%95%84%EC%9D%98+%EC%A0%95%EC%84%9C%EC%A7%80%EB%8A%A5%EA%B3%BC+%EC%B9%9C%EC%82%AC%ED%9A%8C%EC%A0%81%ED%96%89%EB%8F%99%EC%9D%B4+%EB%A6%AC%EB%8D%94%EC%8B%AD%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B%AC%B8%ED%99%94%EA%B8%B0%EC%88%A0%EC%9D%98+%EC%9C%B5%ED%95%A9%2C+5%281%29&rft.au=%EA%B9%80%EC%9D%80%EA%B2%BD&rft.au=%EA%B9%80%EC%83%81%EB%A6%BC&rft.date=2019-02-28&rft.pub=%EA%B5%AD%EC%A0%9C%EB%AC%B8%ED%99%94%EA%B8%B0%EC%88%A0%EC%A7%84%ED%9D%A5%EC%9B%9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spage=169&rft.epage=175&rft_id=info:doi/10.17703%2FJCCT.2019.5.1.16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433882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