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침해위협 분석 및 보안 대책 연구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 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개인주거 에 필요한 일상용품/기기에 사물인터넷을 융합하는 것으로 개인의 생활 영역 대부분이 포함되는 융합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생활과 가장 밀접한 가정내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 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16; no. 5; pp. 27 - 3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1.10.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16.16.5.27 |
Cover
Abstract |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 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개인주거 에 필요한 일상용품/기기에 사물인터넷을 융합하는 것으로 개인의 생활 영역 대부분이 포함되는 융합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생활과 가장 밀접한 가정내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 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마트홈 서비스는 개인 생활 의 큰 재앙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는 스마트홈 서비스 초기 단계이지만 서비스가 발전 할수록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빅브라더 등장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이상 및 정보의 유출에 따른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형태 를 알아보고, 스마트홈 서비스가 가지는 보안 위협을 도출하고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
AbstractList |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 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개인주거 에 필요한 일상용품/기기에 사물인터넷을 융합하는 것으로 개인의 생활 영역 대부분이 포함되는 융합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생활과 가장 밀접한 가정내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 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마트홈 서비스는 개인 생활 의 큰 재앙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는 스마트홈 서비스 초기 단계이지만 서비스가 발전 할수록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빅브라더 등장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이상 및 정보의 유출에 따른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형태 를 알아보고, 스마트홈 서비스가 가지는 보안 위협을 도출하고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개인주거에 필요한 일상용품/기기에 사물인터넷을 융합하는 것으로 개인의 생활 영역 대부분이 포함되는 융합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생활과 가장 밀접한 가정내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마트홈 서비스는 개인 생활의 큰 재앙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는 스마트홈 서비스 초기 단계이지만 서비스가 발전 할수록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빅브라더 등장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이상 및 정보의 유출에 따른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형태를 알아보고, 스마트홈 서비스가 가지는 보안 위협을 도출하고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general, IoT(Internet of things) designate the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services which interact all necessity information between human and things, things and thing and things and systems with all things connecting through the internet based. The smart home in present of IoT environment fuses the daily supplies/equipment which needs to use for the private life with the internet of things that is the fruit of the converged business through all most private consumption related in vastly. The concept of smart home has been built around early 2000s due to the spread of high speed internet and advanced of smart electronics and internet, furthermore influencing by the enhancement of wireless network and smart devices, it is advanced as a smart home with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Smart home service inside the house which most closely implemented with personal life is being developed and advanced in various forms. These developments may exert a positive effect, but if it does not resolve the security issues for the smart home service, then it may cause a big plague of privacy and personal life. KCI Citation Count: 5 In general, IoT(Internet of things) designate the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services which interact all necessity information between human and things, things and thing and things and systems with all things connecting through the internet based. The smart home in present of IoT environment fuses the daily supplies/equipment which needs to use for the private life with the internet of things that is the fruit of the converged business through all most private consumption related in vastly. The concept of smart home has been built around early 2000s due to the spread of high speed internet and advanced of smart electronics and internet, furthermore influencing by the enhancement of wireless network and smart devices, it is advanced as a smart home with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Smart home service inside the house which most closely implemented with personal life is being developed and advanced in various forms. These developments may exert a positive effect, but if it does not resolve the security issues for the smart home service, then it may cause a big plague of privacy and personal life.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개인주거에 필요한 일상용품/기기에 사물인터넷을 융합하는 것으로 개인의 생활 영역 대부분이 포함되는 융합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생활과 가장 밀접한 가정내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마트홈 서비스는 개인 생활의 큰 재앙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는 스마트홈 서비스 초기 단계이지만 서비스가 발전 할수록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빅브라더 등장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이상 및 정보의 유출에 따른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형태를 알아보고, 스마트홈 서비스가 가지는 보안 위협을 도출하고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Author | 박재표 이명렬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명렬 – sequence: 2 fullname: 박재표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106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MtKw0AYhQdRsF5ewIXMxoWL1rllJlnW4qUqCNL9ME0mElpbSdy4E4lQiqAuxAp2J-iii3pvQV-ombyD0Yrww_k5fBw4ZwZMNpoNDcACRgVBKF_ZKpdXSwWCMC9kZxWImAA5Qmwnjwjjk_8_tafBfBQFVUQRdhhnPAdcc9pLep-mO0jjfhJ_wPS2M3r-MjeXJr4z3Q407fvkoZW2B-ltC2ZeMowzC5rhY3r9au7itHMFk_fYxF2Y9C9g8vJqrlswOT8xT2fQ3PRHb705MOWreqTn_3QWVNbXKqXN_M7uRrlU3MlrW-A8o75mglMLCeX4VCHl-dTiHqsK7Tuo6jBP2Y7Gopp1dpnylE8p0QpTjn2Hu3QWLI9jG6Eva24gmyr41f2mrIWyuFcpS0wEtRHO2KUxWwuio0A2vKgut4rbuz8jUiKYcAS3GM-4xTGnVXgUuHUtD8PgQIXHktgWFxb9BqUZjvw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004 |
DOI | 10.7236/JIIBC.2016.16.5.27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Analysis and Study on Invasion Threat and Security Measures for Smart Home Services in IoT Environment |
EISSN | 2289-0246 |
EndPage | 32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273801 JAKO201632747976546 285675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M~E |
ID | FETCH-LOGICAL-e871-43fe4763507a9f3a0adf356d4b7ef90b94da89e17b236c4adaf332ea1361f96c3 |
ISSN | 2289-0238 |
IngestDate | Tue Nov 21 21:03:08 EST 2023 Fri Dec 22 12:03:37 EST 2023 Tue Apr 22 16:21:11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5 |
Keywords | Home networking Smart Home New convergence service IoT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1-43fe4763507a9f3a0adf356d4b7ef90b94da89e17b236c4adaf332ea1361f96c3 |
Notes | KISTI1.1003/JNL.JAKO201632747976546 G704-001948.2016.16.5.033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3274797654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6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73801 kisti_ndsl_JAKO201632747976546 earticle_primary_285675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610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6-10-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0 year: 2016 text: 201610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Year | 2016 |
Publisher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SSID |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sib022331885 |
Score | 1.9818841 |
Snippet |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 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In general, IoT(Internet of things) designate the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services which interact all necessity information between human and things,...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27 |
SubjectTerms | 컴퓨터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국내 스마트홈 시장 동향
Ⅲ. 스마트홈 정보보호 위협 및 대응 방안
1. 스마트홈 정보보안 위협
2. 스마트홈 위협 시나리오
Ⅳ. 결론
References |
Title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침해위협 분석 및 보안 대책 연구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28567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3274797654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1065 |
Volume | 16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16, 16(5), , pp.27-32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289-024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39 issn: 2289-023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4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R1NaxQxdKj14kUUv-pHGcScll3nI5NJjjO7W9pK9VKht2E-pVa2UtuLBxFZoRRBPZS20N4EPfRQtWoL-oc6s1fPvpeZ2Z3WD6oHYRnCS97L-0j2vYTkRVFuJJQHIY-iuh6LqE55GNf9II7rphEbSRyFpi8TmE7dZuN36eSMNTN04nvl1NLSYtAIH__yXsm_WBVgYFe8JfsXlu0TBQCUwb7wBQvD91g2Ju0m4QZxmqTt4tdtIkS0iMtJu0U4Ja6GVViwawgSggioc4hrELclW9tEaJIQJaLEF7wmQQ5xqKRtE56TdAraQIgXjXI8l7gCyyWarAOQkze3iCvrhERACCdCr0k8VuIBpVYO0ggfy0tmiWjlHYI0TTyegdR1wq1aIQRKCsxZpEgmeb9UkewcOcxrW39QUdG1IyQ3jDi6bMMQESGgCK0kKGTBAW5ypiyp_dwMHFujzjQcwbhvAdWDLZeSg1y1DuK2JelBHsyCEyH7FW1pYuhOB0Gq-zQ6qzg4nFn_QdyB6zAMPAhn5HlzGnEVRg-5K7sS-OT7zEddqm3IN38mJybcJp6EZA34WY0Ss5q__EhccSiD-Vw4692b9-YWPFinTXg63gjDa5cnDZsxfHlk6km79AOGzgxgtB8WQwQLnmeQY8nAbFxisKwHHyVoJU0exGQ2BLp9v0KpTS0hHxXsKya_P4fC3fxZNAxMi0kNa1ZcyM1C6NlZSCqh5_QZ5XSxZlSdvO1ZZWhu_pwSZs-20-2v2dZer7uTdr-ovY31gw_fsrVXWXcz21pXs5U36dvl3speb2NZBVi63wWQmu2_663uZpvd3vprNf3czbpbarrzUk0_7mary2r64mn2_rmare0cfNo-r0yPtaeb4_XixZR6zG29Ts0kpphhUrN9kZi-5keJabGIBnacCC0QNPK5iHU7ALlD6kd-YsKfsq-bTE8EC80LynBnvhNfUlTfjFlk2GGiaxEVicC8nEEkmJVYvtAjPqJcLFXkPczz4ngwl5htjSijUmNeJ3r0wJt0bt1B1Zq4-wVLH4uyEeU6qFKOiN-PjMvHaXRFOTWYaVeV4cWFpfgarBEWg1E5oH4AgdbZ2w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ED%99%98%EA%B2%BD%EC%97%90%EC%84%9C%EC%9D%98+%EC%8A%A4%EB%A7%88%ED%8A%B8%ED%99%88+%EC%84%9C%EB%B9%84%EC%8A%A4+%EC%B9%A8%ED%95%B4%EC%9C%84%ED%98%91+%EB%B6%84%EC%84%9D+%EB%B0%8F+%EB%B3%B4%EC%95%88+%EB%8C%80%EC%B1%85+%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16%285%29&rft.au=%EC%9D%B4%EB%AA%85%EB%A0%AC&rft.au=%EB%B0%95%EC%9E%AC%ED%91%9C&rft.date=2016-10-31&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27&rft.epage=32&rft_id=info:doi/10.7236%2FJIIBC.2016.16.5.2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273801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