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를 살펴 보고,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383쌍이다.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 레스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근대...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6; no. 2; pp. 33 - 40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5.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를 살펴 보고,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383쌍이다.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 레스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근대적이고 양육참여에 많이 참여할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근대적 성역할태도와 높은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경감 시키기 위해 아버지의 근대적이고 바람직한 성역할태도를 고취시키며 양육참여를 높이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15762901898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3 |
| ISSN: | 2384-0358 2384-0366 |